• 제목/요약/키워드: Bacillus natto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초

Antimutagenic Effect of Bacillus natto Isolated from Natto

  • Yun, Soon-Il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133-137
    • /
    • 2005
  • In vitro antimutagenicity of Bacillus natto islolated from Natto, Japanese traditional fermented food, was investigated using umu-test. Mutagenicity of S9-activated metabolites of Trp-P-2 and IQ for Salmonella typhimurium TA 1535/pSK1002 was remarkably inhibited by addition of bacterial cells and their cytoplasmic fraction. Desmutagenicity by cytoplasmic frac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fraction. Bioantimutagenic effect of cytoplasm on Salmonella typhimurium SD-100 did not show bioantimutagenic activity against mutated bacterial cells induced by Trp-P-2. Cytoplasmic fraction exhibited 17% bioantimutagenicity due to desmutation caused by IQ.

Bacillus natto 및 Bacillus megaterium의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Vitamin $B_{12}$의 생산 (Production of Vitamin $B_{12}$ by Using Protoplast Fusion between Bacillus natto and Bacillus megaterium)

  • 진성현;박법규;노명훈;김동규;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11-617
    • /
    • 1990
  • Vitamin $B_{12}$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Bacillus natto와 vitamin $B_{12}$ 생산균주로 알려진 Bacillus megaterium IAM 1166 균주간의 종간 원형질체 융합을 시도하였다. 변이원 처리에 의해 활성이 우수하며 genetic marker로써 $thr^-try^-rif^r$인 Bacillus natto SH-34 및 $arg^-ade^-lys ^-str^r$의 genetic marker를 가진 Bacillus megaterium BK-13을 분리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을 행하기 위하여 $500\;{\mu}g/ml$ lysozyme 처리시 원형질체 형성률과 재생률은 99% 및 67%를 나타내었다. 변이주 Bacillus natto SH-34 및 Bacillus megaterium BK-13간에 $1.0{\times}10^{-5}$을 나타내었다. 융합주 MNF-72는 vitamin $B_{12}$ 생산용 배지에서 $7.85\;{\mu}g/ml$의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었으며, 융합주 MNF-72를 sodium alginate로 고정화를 하여 회분식 및 연속식 발효를 행하였을 때 72시간에 $0.58\;{\mu}g/ml.hr$$0.80\;{\mu}g/ml.hr$의 vitamin $B_{12}$를 생산하였다.

  • PDF

균주(菌株)를 달리한 청국장 제조(製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三報) : 청국장의 유리(遊離) 아미노산(酸) 함량(含量)과 질소성분(窒素成分)-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 -III. Changes of the Free Amino Acid Contents and Nitrogen Compounds during Chungkookjang Koji Preparation-)

  • 서정숙;류명기;허윤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85-391
    • /
    • 1983
  • Bacillus natto 및 Bacillus subtilis 균(菌)을 이용(利用)한 청국장메주 발효과정중(醱酵過程中)의 아미노산(酸) 함량(含量)과 질소성분(窒素成分)의 변화(變化)는 다음과 같았다. (1) 발효과정(醱酵過程)중에 pH는 시험구(試驗區) 모두 증가(增加)되어 발효초기(醱酵初期)에 6.37에서 72시간(時間) 후(後)에는 8.2로 나타났으며 조단백질(粗蛋白質) 함량(含量)은 16.82%에서 18%로서 불규칙적(不規則的)인 증감현상을 보였고 총당(總糖)은 시험구(試驗區) 모두 감소한 반면에 Reducing sugar는 발효(醱酵) 24시간(時問)에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다가 다소(多小)감소 하였으며 protease활성(活性)은 발효시간(醱酵時間)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增加)하여 $48{\sim}60$시간(時間)에서 최대활성(最大活性)을 보였으며 Bac. subtilis보다 Bac. natto구(區)가 높은 활성(活性)을 보였다. (2) Amino nitrogen과 수용성질소도 서서히 증가(增價)하였으며 Bac. natto구(區)가 더 높았다. 단백분해율(蛋白分解率)에 있어 Bac. natto시험구(試驗區)가 Bac. subtilis 보다 발효(醱酵) 72시간(時間)후에 4.4%가 더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함량(含量)에 있어 두 시험구(試驗區) 모두 glutamic acid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leucine, phenylala nine, histidine, alanine, arginine순(順) 이었으며 Bac. natto구(區)가 Bac. subtilis구(區)에 비(比)하여 다소(多小) 높았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보아 청국장 제조(製造) 균주(菌株)로서 Bac. subtilis보다 Bac. natto가 더욱 우수 하였다.

  • PDF

Bacillus natto와 B. licheniformis 혼합 Starter로 제초된 청국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 연규춘;김동호;김정옥;육홍선;조재민;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4-210
    • /
    • 2002
  • 청국장의 산업적인 대량생산 system에 B. subtilis, B. natto, B. licheniformis 그리고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균주를 starter로 하여 45시간 동안 청국장을 발효시키면서 각 시험제품의 미생물 생장, 일반성분, 효소활성, 향기성분 등을 분석하고 관능을 평가하였다. 청국장의 수분은 점질물의 형성이 많은 B.subtilis와 B. natto 시험구에서 다소높았으며 pH는 B. licheniformis에서 8.68로 가장 높았고 B. subtilis 에서 8.13으로 가장 낮았다. 미생물의 생장정도는 B. subtilis가 $10^{9}$ CFU/g까지, B. licheniformis는 $10^{8}$ CFU/g까지 생장하였으며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은 B. subtilis에서 1.35 unit/g으로 가장 높았고 B. licheniformis에서 0.45 unit/g으로 가장 낮았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 은미생물의 생장률 및 단백질분해 효소의 활성에 비례하여 B. subtilis > B. natto> B. licheniformis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균주를 starter로 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일반 품질은 B. natto와 B. licheniformis를 단독 접종한 제품의 평균치에 해당하는 특성을 보였다. 검출된 향기성분의 화학적 구성은 ketones 9종, alcohols 11종, aldehyde 6종, heterocyclic compounds 4종, ester 6종, acids 4종, hydrocarbons 4종, 기타 14종이었으며 균주별로는 B. subtilis에서 25종, B. natto에서 30종, B. licheniformis에서 28종, B. natto와 B. licheniformis를 혼합하여 접종한 청국장에서는 41종의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유기산의 총량은 B. subtilis를 접종한 청국장에서 3.98%로 가장 높았고 B. natto는 2.24%, B. licheniformis는 1.53%이었으며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시험구에서 는 1.67%의 함량을 보였다. 분석된 향기성분과 유기산은 starter로 접종된 Bacillus의 종류에 따라 각각 특징적 인 조성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색, 향, 맛 그리고 전체적인 선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B. natto와 B. licheniformis의 혼합 시료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B. subtilis를 starter로 한 시료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Bacillus subtilis S. N. U 816 균주를 이용한 Natto 제조중 유리당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of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 during the Natto Fermentation used by Bacillus subtilis S.N.U 816)

  • 김복란;한용봉;박창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92-197
    • /
    • 1987
  • Bacillus subtilis S.N.U. 816 균주를 이용하여 natto 제조 중 발효시간에 따른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아미노태질소 및 수용성질소의 함량은 발효 20시간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pretense 역가는 16시간 후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그 후 강소하는 경향이었다. 동정된 유리당(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중 fructose와 glucose는 발효 4시간에 최고치를 나타냈으나, 후에는 차츰 감소하였고 sucrose는 증자 직후 최고치였으나 발효됨에 따라 10% 수준까지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증자 직후 보다 발효 20시간후에 11배에 달하였으며, 24시간 후에는 그 함량이 반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20시간 발효한 natto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나 성분치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상기 균주로 제조한 natto의 최적발효조건은 $42^{\circ}C$에서 20시간이었다.

  • PDF

균주를 달리한 된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Histological Changes of Doenjang during the Fermentation with Different Strains)

  • 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77-481
    • /
    • 1992
  • 품질이 좋은 된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재래식 된장과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를 혼합한 된장을 제조해서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조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가압, 가열처리에 의하여 세포벽이 붕괴되거나 ghost 상태를 보였고 표피부와 내부의 세포질은 원형질 분리가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protease에 의한 당단백 구상체의 융합과 amylase에 의하여 전분이 분해되어 작은 공포를 보였으며 발효에 의한 균침투 과정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표피부에서 내부로 이행되어지며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 된장의 표피부와 유세포에서 점질물이 보인다. 또한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염색성이 나빠지고 세포벽이 다각형으로 되는데 재래식 보다는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구가 현저하였다.

  • PDF

Bacillus속과 Aspergillus oryzae로 만든 메주가 개량식 된장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Paste)

  • 서정숙;한은미;이택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
    • /
    • 1986
  • Aspergillus oryzae, Bacillus subtilis 및 Bacillus natto를 접종하여 만든 메주와 재래식메주로 된장을 각각 담금한 후 숙성과정중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Aspergillus oryzae구와 재래식 메주구가 Bacillus subtilis구와 Bacillus natto구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총당, 환원당은 재래식 메주구가 다소 많았고 pH는 Aspergillus oryzae구가 경시적으로 pH 5.0이상을 나타냈으나 Bacillus subtilis구는 4.5미만으로 pH저하가 심하였다. 숙성 90일 된장의 유리아미노산 중 Asp. Thr. Ser. Glu. Gly. Ala. Cys. Val. Met. Leu. Lys. His.은 Aspergillus oryzae구의 된장에서 Tyr. Arg. Pro.은 재래식구의 뒨장에서, Ileu. Phe.의 함량은 Bacillus subtilits구의 된장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Aspergillus oryzae구가 타시험구보다 월등히 높았다.

  • PDF

Effect of Feeding Bacillus subtilis natto on Hindgut Fermentation and Microbiota of Holstein Dairy Cows

  • Song, D.J.;Kang, H.Y.;Wang, J.Q.;Peng, H.;Bu, D.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495-502
    • /
    • 2014
  • The effect of Bacillus subtilis natto on hindgut fermentation and microbiota of early lactation Holstein dairy cows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irty-six Holstein dairy cows in early lactation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s: no B. subtilis natto as the control group, B. subtilis natto with $0.5{\times}10^{11}cfu$ as DMF1 group and B. subtilis natto with $1.0{\times}10^{11}cfu$ as DMF2 group. After 14 days of adaptation period, the formal experiment was started and lasted for 63 days.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directly from the rectum of each animal on the morning at the end of eighth week and placed into sterile plastic bags. The pH, $NH_3$-N and VFA concentration were determined and fecal bacteria DNA was extracted and analyzed by DG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B. subtilus natto at either treatment level resulted in a decrease in fecal $NH_3$-N concentration but had no effect on fecal pH and VFA. The DGGE profile revealed that B. subtilis natto affected the population of fecal bacteria. The diversity index of Shannon-Wiener in DFM1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Fecal Alistipes sp., Clostridium sp., Roseospira sp., beta proteobacterium were decreased and Bifidobacterium was increased after supplementing with B. subtilis natto.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 subtilis natto had a tendency to change fecal microbiota balance.

Bacillus subtilis natto 균주로 발효한 병아리콩 낫토를 이용한 mask pack의 피부 개선 효과 (The Skin Improvement Effect of Facial mask pack using Chickpea natto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natto)

  • 엄미선;류희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2-69
    • /
    • 2018
  • 건강 식품인 병아리콩을 화장품의 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Bacillus subtilis Natto 균주로 병아리콩을 발효한 낫토를 마스크 팩에 적용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연구하였다. 병아리콩 낫토를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paste 제형으로 얼굴 마사지 팩에 적용하였다. 5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낫토 팩의 피부개선 효과를 조사하였다. 낫토 팩의 처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가 개선되며 4회 처치 후 개선효과가 두드러졌다. 4회 처치 후 수분 함량과 피지 분비량이 각각 $8.4{\pm}3.6%p$$4.0{\pm}2.3%p$ 증가하였고, 피부 모공과 주름도 각각 $1.8{\pm}0.3%p$$1.8{\pm}0.9%p$ 감소하였다. 피부 색소침착은 $1.3{\pm}0.2%p$ 감소되었고, 피부 톤은 55.2%에서 55.9%로 $0.7{\pm}0.2%p$ 밝아졌다. 병아리콩을 발효하여 얻은 낫토 발효물이 보습, 모공, 주름, 색소침착, 피지분비, 피부톤 등의 피부개선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납두 발효과정 중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물질의 생성 및 분리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during Natto Fermentation)

  • 조영제;차원섭;복수경;김명욱;천성숙;최웅규;김순희;박경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37-742
    • /
    • 2000
  • 대두발효식품의 기능성 탐색 연구의 일환으로 Bacillus natto 를 접종한 납두의 발효과정 중 고혈압을 유발하는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의 저해 peptide를 분리하고 저해효과를 검토함으로서 대두발효식품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한 과학 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납두는 Bacillus natto균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2$0^{\circ}C$, 3$0^{\circ}C$, 4$0^{\circ}C$, 5$0^{\circ}C$, 6$0^{\circ}C$에서 0~7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protein량, protease activity, ACE 저해율 을 측정하고 저해활성을 가지는 peptide를 정제 후 아미노산 조상을 분석하였다. Bacillus natto에 의한 납두의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rotein 함량이 증가하여 4$0^{\circ}C$, 60시간에서 최대를 나타낸 후 감소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른 protease activity는 4$0^{\circ}C$, 60 시간 배양이 최적의 조건이었으며, 최적 발효조건에 따라 납두를 제조한 후 20 mM sodium phosphate buffer(pH 7.0)를 가해 추출한 추출물을 Amicon membrane YM-3 filtration 과 Sephadex G-10, G-25를 이용한 gel filtration으로 부분정제하였다. 또한 정제한 peptide는 첨가함량이 높아질수록 저해활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1 mg 정도의 peptide 함량으로 74.74%의 저해율 을 나타내었다. 정제한 peptide의 아미노산 조성은 alanine(30.84%), phenylalanine(30.03%), histidine(20.24%) 순서로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