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MV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6초

Molecular Analysis of Korean Isolate of Barley mild mosaic virus (Iks Isolate)

  • Choi, Min-Kyung;Kamala-Kannan, Seralathan;Oh, Byung-Taek;Park, Jong-Chul;Lee, Gun-Woong;Lee, Kui-Jae;Park, Yool-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57-164
    • /
    • 2009
  • The complete nucleotide sequences of both RNA of an isolated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from Iksan, Korea, have been determined. RNA1 was 7273 nucleotides long and encodes for a polyprotein of 2261 amino acids, which contains the eight putative functional proteins. RNA2 was 3520 nucleotides long and encodes for a polyprotein of 894 amino acids, which contains two functional proteins. Results of multiple sequence alignment showed 92.9% similarity with Na1 isolate, followed by Sil, UK(F), Asl1, Remis M and UK(M) isolates, respectively. Comparison of the BaMMV-Iks polyproteins with the corresponding proteins of BaMMV-Na1 isolates showed 95%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The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Iks isolate was closely related to Na1 strain and have a common origin.

Direct Stem Blot Immunoassay (DSBIA): A Rapid, Reliable and Economical Detection Technique Suitable for Testing Large Number of Barley Materials for Field Monitoring and Resistance Screening to Barley mild mosaic virus and Barley yellow mosaic virus

  • Jonson, Gilda;Park, Jong-Chul;Kim, Yang-Kil;Kim, Mi-Jung;Lee, Mi-Ja;Hyun, Jong-Nae;Kim, Jung-G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60-265
    • /
    • 2007
  • Testing a large number of samples from field monitoring and routine indexing is cumbersome and the available virus detection tools were labor intensive and expensive. To circumvent these problems we established tissue blot immunoassay (TBIA) method an alternative detection tool to detect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and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infection in the field and greenhouse inoculated plants for monitoring and routine indexing applications, respectively. Initially, leaf and stem were tested to determine suitable plant tissue for direct blotting on nitrocellulose membrane. The dilutions of antibodies were optimized for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purposes. Results showed that stem tissue was more suitable for direct blotting for it had no background that interferes in the reaction. Therefore, this technique was referred as direct stem blot immunoassay or DSBIA, in this study. Re-used diluted (1:1000) antiserum and conjugate up to 3 times with the addition of half strength amount of concentrated antibodies was more effective in detecting the virus. The virus blotted on the nitrocellulose membrane from stem tissues kept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were still detectable. The efficiency of DSBIA and RT-PCR in detecting BaMMV and BaYMV were relatively comparable. Results further proved that DSBIA is a rapid, reliable and economical detection method suitable for monitoring BaMMV and BaYMV infection in the field and practical method in indexing large scale of barley materials for virus resistance screening.

국내 맥류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 동시진단 방법 (Simultaneous Detection of Barley Virus Diseases in Korea)

  • 이봉춘;배주영;김상민;나지은;최낙중;최만영;박기도
    • 식물병연구
    • /
    • 제23권4호
    • /
    • pp.363-366
    • /
    • 2017
  • 최근 국내 맥류 재배지에서는 대부분 BaMMV, BaYMV, BYDV의 발생이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ultiplex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se chain reaction (mRT-PCR) 방법에 의해 이들 3종류의 바이러스를 동시에 진단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이들 3종 바이러스의 외피단백질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각 바이러스에 대한 primer를 제작하였다. mRT-PCR에 사용한 primer는 RT-PCR 반응의 민감도와 특이성에 의해 선발하여 primer 농도와 mRT-PCR의 조건을 설정하였다. 각 바이러스에 대하여 선발된 primer 사용에 의한 mRT-PCR 결과 BaMMV 594 bp, BaYMV 461 bp, BYDV 290 bp의 PCR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맥류 바이러스 동시진단방법은 신속하고 특이적인 진단 뿐 아니라 맥류 바이러스병의 전염 등 역학 연구에도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at Protein Gene-Mediated Resistance to Barely Yellow Mosaic Virus-HN and Barely Mild Mosaic Virus-Kor in Transgenic Barely

  • Lee, Kui-Jae;Kim, Hyung-Moo;Park, Min-Kyung;Lee, Wang-Hyu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75.1-75
    • /
    • 2003
  • Barely yellow mosaic(BaYMV) and barely mild mosaic (BaMMV) bymoviruses are both transmitted by the soil-inhabiting fungus Polymyxa gramnis, and are responsible for economic losses in barley crops in Asia and Europe. Because chemical control of the vector is ineffective, the losses can only be prevented by growing resistant barley cultiva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resistant barley plants by transformation with viral coat protein(cp) genes. Resistance tests of T1 plants transformed with the BaYMV CP gene showed that at least four independent lines had clear resistance to BaYMV but two other lines were highly susceptible with severe symptoms. The CP gene was detected in all resistant T1 plants by genomic PCR. Most of T2 progenies derived from the resistant T1 lines also showed resistance. In contrast, only one out of 21 independent T2 lines transformed with the BAMMV CP gene tested showed clear resistance to BaMMV, and others were very susceptible. Further analyses of resistance and CP gene expression are in progress.

  • PDF

Isola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arley mild mosaic virus(BaMMV) Mild and Severe Strains in Korea

  • Jonson, Gilda;Park, Jong-Chul;Noh, Tae-Hwan;Kim, Mi-Jung;Hyun, Jong-Nae;Kim, Jung-G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2권4호
    • /
    • pp.329-333
    • /
    • 2006
  • Two distinct and stable isolates of Barley mild mosaic virus(BaMMV) designated as Naju82-S(severe) and Naju82-M(mild) were obtained. These two isolates differed in their symptomatology, virus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cultivar specificity at various temperature. Thus, these isolates were referred to as strains in this study. BaMMV Naju-S strain showed severe mosaic symptoms accompanied by necrosis on the infected leaves. Naju82-S strain is more virulent demonstrated by shorter incubation period and relatively high virus concentration than Naju82-M strain. Five Korean cultivars were tested for their pathogenicity to different strains based on the rate of infection. Results showed that infection rate of cultivars to both strai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d from each other. However,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the pathogenicity on the two cultivars such as cultivars Hopumbori and Sessalbori were significantly affected. Hopumbori was moderately resistant to both strains at $10-12^{\circ}C$ and susceptible at $15-18^{\circ}C$. Similarly, Sessalbori was moderately resistant at $10-12^{\circ}C$ to both strains but distinctly differentiated at $15-18^{\circ}C$ wherein it was resistant to mild strain and highly susceptible to severe strain. Other cultivars including Baegdong, Jinyangbori and Neahanssalbori consistently showed susceptible reaction to both strains at varying temperatures tested in this study.

맥류의 토양 전염성 Bymovirus의 감염이 국내 육성 맥주보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Growth and Yield of Korean Malting Barley Cultivars by Soil-borne Bymovirus Infection)

  • 박종철;김미정;이은숙;박철수;강천식;현종내;이정준;김태수;김기종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21-26
    • /
    • 2010
  • 우리나라에서 가장 우점하는 BaYMV(Barley yellow mosaic virus)에 의한 국내 육성 맥주보리의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룬 생육 및 수량 피해를 조사하였다. 바이러스 감염 검정에서 두산 29호는 BaYMV와 BaMMV(Barley mild mosaic virus)에 감염되어 있었으나 진양보리와 호훔보리는 BaYMV에 만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월동후 초장과 수확기 간징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폼종별 저항성 정도에 따라 8~29%의 신장 억제율을 보였다. 생육 후기의 간장 단축률은 9~12%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월동후 경수는 호품에서는 발병포장와 건전포장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감수성인 두산 29호와 진양에서는 10~14%감소되었다. 그러나 수확기경 수수는 BaYMV 감염에 의해 26~33%까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출수기는 발병 포장에서 1~3일까지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수확후 수량구성요소의 피해정도를 조사하였다. 천립중과 l 중도 품종별 저항성 정도에 따라 피해를 받아 각각 4.0~6.6%와1.0~ 4.2% 감소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aYMV 감염시 6.0~8.6% 정 도의 비립이 발생하였으나 건정포장에서는 2.9~3.6%로 감소되어 두배 이상 비립발생이 증가하였다. 품종간 종실 수량 피해를 조사한 결과 건전한 포장에서의 품종간 평균 수량은 약 509kg~632kg/10a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병 포장에서는 품종별 저항성 정도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중저항성인 호품의 경우 약 467kg/10a, 중약과 감수성인 진양과 두산29호에서는 각각 390kg과 290kg으로 조사되어 감수성인 두 품종에서는 77~177kg/10a의 수량 감소를 보였다. BaYMV 감염에 의해 수량성은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라 26~43%의 감소되었다.

작부형태가 보리의 토양전염성 Bymovirus 발생과 매개균(Polymyxa graminis)의 밀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opping System on Disease Incidence by Soil-borne Bymovirus in Barley and on Density of the Vector, Polymyxa graminis)

  • 박종철;노태환;김미정;이상복;박철수;강천식;이정준;김태수
    • 식물병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5-120
    • /
    • 2010
  • 보리바이러스 발생 상습 논에서 관행(벼+보리)과 콩+보리의 작부체계가 보리의 바이러스병 발생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5개년간 조사하였고, 윤작과 바이러스 매개균(Polymyxa graminis)의 밀도 변화를 검정하였다. 보리 감염 바이러스 종류를 검정한 결과 Barley yellow mosaic virus(BaYMV)와 Barley mild mosaic virus(BaMMV)가 혼합감염 되어 나타났다. 발병정도는 관행에서는 4년차를 제외하고는 7~9로 조사되었다. 반면 콩+보리 연작이나 3년 동안 휴경한 경우는 발병정도가 7정도로 관행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콩+벼 작부체계 중에서 보리를 1년 또는 2년(1년/2년) 휴경하면서 콩을 재배한 경우 발병정도가 중 정도(5)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작부형태에 따른 BaYMV와 BaMMV의 매개균인 P. graminis의 보리 뿌리와 토양 중 밀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보리를 1년 휴경한 처리에서 보리 뿌리와 토양 중 매개균의 밀도가 가장 낮아졌다. 콩을 재배하면서 보리를 1년 휴경한 처리에서 5년차에는 관행에 비해 초장은 비슷하였으나, 경수는 158개/$m^2$ 많아 생육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콩과 보리를 연작하거나 3년간 보리와 콩을 재배하지 않고 휴경한 경우에는 관행에 비해 초장이나 경수 등 생육이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수확기에 간장 등 수량 구성요소가 관행에 비해 보리+콩의 윤작처리에서 좋은 경향을 보여 콩과의 윤작 처리가 수량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은 보리를 1년/2년 휴경한 처리에서 5년차에 관행과 보리+콩 연작 처리에 비해 1.3~2.8 cm 컸고, 수수도 36~90개/$m^2$ 많게 조사되었다. 그러나 콩+보리 연작이나 3년간 휴경한 처리에서는 관행에 비해 낮게 조사되었다. 수량성에서도 보리를 1년/2년 휴경한 처리에서는 3년차, 4년차, 5년차에서 모두 관행에 비해 수량이 많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토양 전염성 바이러스 감염이 청보리 품종별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Growth and Yield Whole-crop Barley by Soil-borne Virus Infection)

  • 김경훈;서은조;신상현;최재성;이미자;박태일;박종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7-244
    • /
    • 2012
  • 우리나라에서 가장 우점하는 BaYMV (Barley yellow mosaic virus)에 의한 국내 육성 청보리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 피해를 조사하였다. 바이러스 감염 검정에서 선우는 BaYMV와 BaMMV (Barley mild mosaic virus)에 감염되어 있었으나 영양보리와 유연보리는 BaYMV에만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병징 발생정도에 따라 선우와 유연보리가 각각 7~9와 5의 이병 정도를 보였으며 저항성 품종인 영양은 3정도의 저항성이 조사 되었다. 월동 후 초장과 분얼 경수의 생육을 조사한 결과 품종별 저항성 정도에 따라 14.6~32.9%의 신장억제율을 보였으며, 생육 후기의 분얼 경수 단축률은 8.7~19.7%로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수량구성 요소의 피해를 건전포장 결과와 비교했을 때 중도 저항성과 감수성 품종에서 저항성 품종에 비해 간장에서 특히 큰 차이가 났으며, 수량 구성요소인 간장, 수수 및 수장 등을 발병포장과 건전포장에서 수확한 재료에 대해 조사하였다. 간장 단축 피해율을 조사한 결과 영양보리는 14.5%가, 유연 및 선우보리는 각각 24.8%와 42.7%의 신장 피해를 보였다. 수장과 수수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도 간장의 피해정도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수장과 수수는 품종의 저항성 정도에 따라 각각 8.9~21.3%와 24.3~31.0%의 감소율을 보였다. 총체 건물 수량성을 조사한 결과 저항성 정도에 따라 건전 포장에 비해 21.6~58.0% 감소를 보여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특히, 감수성이 큰 선우보리에서는 건전포장의 8.0톤/ha에 비해 58.0%의 감소 피해를 나타내었다. 종실수량은 약 30.0~61.2%의 감소율로 총체 수량의 피해와 비슷한 결과였다. 감수성인 선우보리에서 감염포장에서 60% 이상의 종실 수량이 감소하여 가장 큰 피해정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