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TL(Build-Transfer-Operat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4초

BTL방식과 BTO방식을 혼합한 군시설 민간 투자사업의 활성화 방안의 연구 (Promotion of the Private Investments in the Military Facilities through Integration of BTL and BTO Methods)

  • 곽수남;박상혁;한승헌;김형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8-283
    • /
    • 2006
  • 2005년 공공시설의 조기 공급을 통해 국민의 시설편익을 향상시키고자 도입된 BTL(Build - Transfer - Lease: 임대형 민자사업)을 통해 2006년 15개 시설유형, 84개 사업에 총 8조 3147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그러나 일부 대형업체는 수익률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BTL사업에 대한 투자를 꺼리고 있고, 특히 부분적으로 수익이 발생하는 사업에 대해서도 일괄적으로 BTL방식을 적용할 경우 수익률이 더욱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익성이 낮은 부분은 BTL방식으로 운영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익을 도모하고, 한편 수익성이 높은 부분은 민간투자자에게 운영권을 부여는 BTO방식으로 운영함으로써 사업의 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BTL+BTO방식을 제안하고 운영기간을 기반으로 하는 BTL+BTO방식의 수익성 산정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모델을 실제 00지역 관사사업을 적용함으로써 BTL+BTO방식의 운영기간을 산정하여 BTL방식의 운영기간을 비교함으로써 BTL+BTO방식의 모델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 PDF

실무적 관점에서의 BTL사업 문제영역 도출 및 분석 (An Extraction and Analysis of Problem Areas for BTL Projects from the Practical Perspective)

  • 김수용;손명찬;양진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57-166
    • /
    • 2013
  • BTL(Build-Transfer-Lease) 사업의 목적은 종래 BTO(Build-Transfer-Operate) 방식과는 달리 학교, 사회복지시설 등 최종 이용자로부터 이용료를 부과할 수 없는 공공시설에 대하여 민간자금을 유치함으로써 정부의 재정부족을 해결하고 사회기반시설의 조기 확충을 위한 방안으로 도입되었다. 하지만 BTL 사업은 그 진행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BTL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자료와 국내보다 앞서 BTL 사업을 활용하고 있는 국외 자료를 분석하여 문제 영역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친화도 기법, 매트릭스 비교분석, AHP 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BTL 사업의 실질적 문제 영역 및 중요도 제시를 통하여 관리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민간투자사업 혼합방식(BTO+BTL)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Mixed Model (BTO+BTL) for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s)

  • 김도일;김윤식;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53-63
    • /
    • 2012
  • 우리나라의 SOC 민간투자사업은 수익형(BTO) 및 임대형(BTL) 방식을 주축으로 사회기반시설을 조기에 효율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국민의 편익증대 및 정부의 탄력적인 재정운용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최소운영수입보장(MRG) 제도의 폐지와 최근 국제적인 금융위기 등 사업 환경의 변화로 민간투자사업의 위험이 증가되어 민간투자자들이 수익형 민간투자사업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수익형 민간투자사업은 상당히 위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할 경우 정부와 민간사업자가 위험을 분담하는 방식, 즉 기존의 수익형 방식과 임대형 방식의 중간적인 성격을 갖는 위험분담 방식의 혼합형 민간투자 방식을 검토하였고, 우리나라 민간투자사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사례적용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민간투자사업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철도 BTL 민자적격성조사의 위험계량화방안 연구 (A Risk Quantification of Public Sector Comparator in the Financial Analysis of the BTL (Build-Transfer-Lease) Scheme of Railway Projects: a Case Study of the Haman-Jinju Link)

  • 장수은;강지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7-74
    • /
    • 2006
  • 지금까지 민간투자사업은 대부분 수익형 민자사업(BTO; Build-Transfer-Operate) 방식으로 추진되었다. BTO 방식은 수요위험을 민간투자자가 부담하므로 철도부문처럼 투자의 필요성에 비해 수익이 보장되기 힘든 분야의 투자는 저조할 수밖에 없었다. 2005년 민간투자법의 개정과 함께 도입된 임대형 민자사업(BTL, Build-Transfer-Lease) 방식은 민간의 투자비를 국가나 지자체의 임대료로 회수하므로 수익성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그 결과 BTO 방식보다 민간투자 도입의 본 취지에 더욱 충실한 방식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BTL 방식은 미래세대로부터 재원을 차입함으로써 미래세대에 부담을 전가하고 재원배분의 자유를 제약한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대상사업의 규모와 범위를 과학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 중요하며 이는 1차적으로 민자적격성조사(VfM Test ; Value for Money Test)에 의해 결정된다. 민자적격성조사는 특정사업의 재정대안과 민자대안의 각종 정량적 정성적 생애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을 비교 검토하는 절차이므로 각 대안의 핵심 비용항목이 반드시 포함되어 평가될 때 신뢰성 높은 조사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고시된 BTL사업은 위험계량화비용이 반영되지 않음으로써 그 완결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경전선 함안${\sim}$진주간 BTL사업을 대상으로 재정사업의 위험을 계량화할 수 있는 방안을 실증적으로 예시하며, 이를 통해 보다 합리적인 민자적격성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임대형 민자사업(BTL) 적격성 조사의 정성적 VFM 평가항목 설정 및 중요도 분석 (Item Establishment and Importance Analysis for Qualitative VFM of BTL System)

  • 양진국;이민현;김수용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92-100
    • /
    • 2007
  • 민간투자사업은 민간의 참여를 통해 사회기반시설을 효율적으로 확충하기 위하여 시행되고 있다. 2005년도부터는 기존의 도로, 항만 등을 비롯한 산업기반시설 뿐만 아니라 학교시설, 환경시설 등을 포함한 생활기반시설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게 되었다. 따라서 사업의 추진방식도 기존에는 BTO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지만 새로이 추가된 민간투자사업에서는 BTL 방식이 도입되게 되었다. BTL 방식은 민간투자 적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를 실시하며 이는 정량적 VFM과 정성적 VFM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명확한 결과 도출이 어려운 정성적 VFM의 평가항목을 설정하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AHP 기법을 활용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상의 내용은 정량적 VFM과 더불어 정성적 측면의 효율성 및 발생편익을 효과적으로 평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BTL 시행여부에 대한 합리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시설 민자 사업의 효율화 방안 -공공서비스 시설의 복합화 중심으로- (Programs for Higher Efficiency of Private Sector Investm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With Focus on Combining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 강현빈;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8권1호
    • /
    • pp.11-22
    • /
    • 2009
  • School is a basic and the most fundamental facility of city planning just like other basic public facilities including the village office. Every plan i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school. However, the problems such as the population reduction resulting from the nuclear family-zation and low birth rate, employment and welfare of the aged people resulting from "the old aged society", and the infant nursing and education resulting from a rapid increase of the working couples become notable and accordingly more requirements are being made. Reflecting this trend, the concept and operation system should be changed. Up to now, the BTL projects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are gaining a reputation of being efficient in terms of national budget running, but at the same time receiving negative reputation in terms of budget saving under the civil creativity and efficiency. Through upgrading the private sector investment projects into the BTO+BTL system and further into the BTO(Build Transfer Operate), we can accomplish the original goals of the private sector investment projects, and can make the education budget operation more efficient, and can greatly improve the education environments. However, we should not underestimate in this process that these facilities should not negatively affect the education environments. In any situation, the owners of schools are students.

  • PDF

BTL 사업주체별 문제분석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n Improved BTL Project Delivery Method)

  • 김창덕;박혜신;이민재;유정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53-63
    • /
    • 2006
  • 2005년부터 장부는 국민경제 선순환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 하에, 높은 수준의 공공서비스를 조기 또는 적기에 제공하기 위한 방책의 일환으로 BTL 사업의 시행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시행 초기부터 낮은 사업수익률, 사업제안 비용의 부담, 제도적 구조적 사업 진입 장벽으로 인한 지방 중소규모 건설업체의 불만 등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어 성공적인 BTL 사업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방 중소업체의 참여율을 시공 비율 규정으로 정하고 사업성이 떨어지는 적정 이하 규모 공사를 BTL사업에서 제외하는 등의 대책을 세웠으나 근본적이 해결책으로서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TL 사업 추진 중 개선되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문헌조사 및 전문가와의 심층 면담조사 등을 통해 조사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가장 근본적인 개선사항으로 BTL 사업 수행 주체의 구성 방식이 시공자 중심으로 되어있는 DBFO(Design, Build, Finance, and Operate) 방식에 있음을 확인하고, 이러한 사업 수행 주체의 구성 방식을 재무적 투자자가 건설사업 관리자의 전문지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FCDO(Finance, Construction Management, Development and Operate) 방식으로의 전환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BTL민간투자사업의 리스크 식별 및 영향도 분석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and Effect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Build Transfer Lease Projects)

  • 정정만;박영민;김수용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47-56
    • /
    • 2007
  • 우리나라의 민간투자사업은 잦은 제도 변경, 정부의 지원정책 변경 등으로 많은 혼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BTO 사업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민간투자사업에 2005년부터 BTL 사업이 도입되면서 그 무게추가 BTL 사업으로 옮겨지고 있지만 아직 BTL 사업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TL 사업 중 실시협약이 이루어진 몇 개의 사업에 대하여 사업 전반에 내재된 리스크 인자들을 도출하고 각 인자의 중요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중요도가 높은 리스크 인자에 대한 영향도 분석을 통하여 각 리스크 인자가 프로젝트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는 BTL 사업의 계획, 시공, 운영 등 전반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리스크 인자들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영향 정도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업을 추진하는 이해관계자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거부문(住居部門) BTL사업(事業)에서 프로젝트금용의 위험분석(危險分析)에 관한 연구(硏究) (on the Risk Analysis of Project Finance in BTL Project)

  • 송규열;정을규;임칠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83-9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efficiently a successful Project Finance in BTL. To use Project Finance, it is necessary to Risk Analysis of each work step. This Risk Analysis have to repeatedly progress in overall Project Process. The differences between Corporate Finance and Project Finance are remarkably appeared in Risk Allocation and Limited Resource. To use successful Project Finance in construction industry, first, raising project confidence, second, technical : economical : lawful evaluation by Finance Expert, third, Income Guarantee for Lender or Consortium of Lending Banks, forth, Leverage Effect of Project Sponsor must be preceded.

BTL과 BTO사업의 인과순환구조 분석과 경제성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al Loop Analysis and the Economics of BTO and BTL System of PFI)

  • 최남희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2권4호
    • /
    • pp.35-62
    • /
    • 2011
  • PFI(Private Finance Initiative) for suppling SOC and public facilities instead of Government Infrastructure Project introduced from 1994. BTO(Build-Transfer-Operate) project had been major type of PFI system from 1994 to 2005. But after changed the Law of PFI on SOC, the BTL project newly introduced. In BTO system, the Government retrieves the investment through the operating income, but in BTL system, the government lease the facilities. As the BTO and BTL projects are widely adopted and implemented to ease the fiscal burden of government, but it has caused the tremendous fiscal burden each year over the period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question, that is, why government fiscal burden tipping? Hence, this paper, compares the difference of business structure between BTO and BTL project and explore the vicious and virtuous business structure, with the method of circular causal loop analysis. As a result, it has shown that there are some positive feedback and negative feedback loops cause the tipping and easing of government fiscal burd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