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KISH WATER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6초

미세조류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기수산 cyclopoid 요각류 Paracyclopina nana의 섭식 (Grazing of Brackish Water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on Different Microalgae Species and Concentrations)

  • 민병희;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0-314
    • /
    • 2006
  • 본 연구는 기수산 cyclopoid 요각류인 Paracyclopina nana의 먹이 종류와 농도에 따른 섭식률을 조사하였다. 먹이 공급 24 시간 후 먹이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P. nana의 장내용물 함량과 섭취된 먹이의 양을 색소분석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T. suecica는 30 ng chl a/ml, I. galbana와 D. tertiolecta는 40 ng chl a/ml, P. tricornutum는 45 ng chl a/ml 농도로 공급하였을 때 섭취된 먹이의 양과 P. nana의 장내용물 함량이 가장 높았다. T. suecica, I. galbana, P. tricornutum, 그리고 D. tertiolecta에 대한 P. nana 성체 1 개체의 시간당 최대 섭식률은 각 미세조류의 공급 농도가 각각 39.3, 44.7, 44.5와 49.8 ng chl a/ml일 때 각각 0.63, 0.60, 0.41 및 0.52 ng chl a로 나타났다. 따라서 P. nana의 대량배양시 가장 적합한 먹이생물은 공급 농도가 낮으면서도 섭식률이 가장 높은 T. suecica이며, 성체 1 개체당 1일 먹이 공급량은 약 $25{\sim}39$ ng chl a (약 $10{\sim}15{\times}10^4$ cells)가 가장 경제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수은 노출에 따른 기수산 물벼룩의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 (Transcriptional Modulation of Metabolism-Related Genes in Brackish Water Flea Diaphanosoma celebensis Exposed to Mercury )

  • 전민정;유제원;이영미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5-153
    • /
    • 2022
  • 수은은 생물 축적과 먹이사슬을 통한 생물 농축되며, 미량에서도 유해한 영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해양 환경 내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 소형 갑각류에 대한 수은의 생물 영향은 다른 금속에 비해 연구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수산 물벼룩 Diaphanosoma celebensis을 아치사 농도(0.2, 0.4, 0.8 ㎍/l)의 무기 수은(HgCl2)에 48시간 노출시킨 후, 대사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하였다. 해독효소 유전자 5종(cytochrome P450; cyp360A1, cyp361A1, cyp4AP3, cyp4C122, cyp370C5)과 소화효소 6종(alpha amylase (AMY), alpha amylase related protein (AMY-like), trypsin (TRYP), chymotrypsin-like protein (CHY), lipase (LIP), pancreatic lipase-related protein (PLRP))의 유전자 발현을 quantitative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Cyp 유전자의 경우 clan2에 속하는 cyp370C5와 clan4에 속하는 cyp4AP3 유전자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소화효소 유전자 중에서는 단백질 소화와 관련 있는 TRYP 유전자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yp370C5와 cyp4AP3가 수은 독성을 해독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이며, 수은이 소화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해양 소형 갑각류에서 수은에 대한 분자 수준의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시계열 분석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낙동강 하굿둑 염분 예측 (Prediction of Salinity of Nakdong River Estuary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LSTM) for Time Series Analysis)

  • 우정운;김연중;윤종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4호
    • /
    • pp.128-134
    • /
    • 2022
  • 낙동강 하굿둑은 올해 2022년 해수 유입기간을 매월 대조기마다로 확대, 하굿둑 상류 15 km 이내로 기수역 조성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목표 기수역 조성구간 및 염수피해 방지를 위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알고리즘 Long Short-Term Memory(LSTM)을 적용하여 낙동대교(하굿둑 상류 약 5 km)지점의 염분 예측을 수행하였다. 창녕·함안보 방류량 등 낙동강 하구역의 시·공간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입력데이터를 구축하였으며, Sequence length에 따른 정도 변화를 통해 낙동강 하구역의 수리학적 특성을 고려한 최적모델을 구축하였다. 예측 정확도는 결정계수(R-squred)와 RMSE(root mean square error)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equence length가 12일 때 R-squred 0.997, RMSE 0.122로 가장 정도가 높았으며, 선행 예측시간은 12시간 간격까지 R -squred 0.93 이상으로 높은 정도를 보였다.

섬진강-광양만 하구 기수 재첩 (Corbicular japonica)의 분자 계통유전학적 분석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r japonica) from Seomjin River to Gwangyang Bay, South Korea)

  • 김지훈;김원석;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5권3호
    • /
    • pp.212-220
    • /
    • 2022
  • 재첩은 하구생태계에 서식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는 섬진강 하구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섬진강 하구에 서식하는 재첩은 담수와 해수생태계의 변화를 잘 반영하는 종이다. 재첩은 외부형태만으로는 종 동정이 어려운 분류군에 속한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서식 재첩의 종 동정을 위해 형태적 관찰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DNA의 COI 유전자 기반 DNA 바코딩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첩 간 다른 두 종을 확인하였으며, COI 염기서열의 다중배열 분석결과 약 98%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재첩과 내 다양한 종들과 계통수 분석으로 계통유 전학적 위치를 확인한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첩은 C. japonica, C. fluminea와 하나의 계통군으로 묶여졌고 진화적 거리는 0.003 이하로 나타났다. 또한 재첩속인 C. leana와 0.089, C. fluminalis와 0.096으로, 재첩과 내 3종과는 약 0.2로 C. japonica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화적 거리가 먼 것으로 나타났다. 계통유전학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재첩은 C. japonica이고, 그중 한 개체가 C. flumine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DNA 바코딩을 이용한 섬진강 하류 지역에 서식하는 재첩의 COI 시컨스를 통해 계통유전학적 정보를 제공하여 형태학적 분석에 어려움이 있는 종에 대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울산 태화강하구습지의 생태적 특성 및 보전을 위한 제안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in the Taehwagang River Estuarine Wetland, Ulsan, South Korea)

  • 김평범;장연희;추연수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71-183
    • /
    • 2023
  • 하구습지는 독특한 기수역이 형성되며 이러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가는 생물에게 중요한 서식처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과도한 개발과 이용에 따른 인위적 간섭으로 하구습지 고유의 기능 및 특성을 변화시킨다. 본 연구는 생태계가 우수한 하구습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태화강하구습지를 대상으로 식생 분포 특성 및 생물상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목림 식생, 정수 및 유수역 다년생 초본식생, 부유·침수식생 등 6개 상관식생형의 25개 식물군락이 확인되었다. 지형다양성이 높은 상류부에서 다양한 유형의 습지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생물종 다양성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7종 포함 총 696종이 확인되었다. 생태적 연결성이 양호하여 감조하천이 형성되는 구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능군을 가지는 기수성 생물종이 분포하며, 하천 구간별 수환경에 따라서 잠수 및 수면성오리류 등 다양한 수조류의 서식을 확인하였다. 태화강하구습지의 생태정보의 수집은 하구 생태계의 보전·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정책 수립을 지원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화호에서 해수유입 전.후의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동태 (Dynamics of Water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Before and After Inflow of Seawater in Shingwa Reservoir)

  • 신재기;김동섭;조경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23
    • /
    • 2000
  • The dynamics of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population had examined by monthly sampling from the upper to the lower part of watergate in an artificial Shihwa Reservoir in which situated near newly cities and incustrial complex on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8. Among environmental factors, yearly average concentration of chl-a, TN and TP seemed to eutrophic or hypertrophic conditions that ranged 146.4~245.8 $\mu\textrm{g}$/$\ell$, 1.6~2.7 mg N/$\ell$, 258~448 $\mu\textrm{g}$ P/$\ell$, 26.9~80.7 $\mu\textrm{g}$/$\ell$, 1.0~2.4 mgN/$\ell$ and 74~239 $\mu\textrm{g}$P/$\ell$ respectively. Water quality was extremely deteriorated to consistently accumulation into inner reservoir by load of pollutants from autochthonous and allochthonous until early July 1997 after embankment. Water pollution of Shihwa Reservoir was remarkble on the biological condition with largely persistent bloom of phytoplankton and increase rate of standing crops was 2.4/yr. The development trend of phytoplankton in water ecosystem were closely related to increse and decrease of physico-chemical factors and those scale seemed to control by nutrient contents. Inflow of seawater into reservoir to object of repair of water quality. As to see dominant species, composition of those composed to mostly freshwater algae before inflow of seawater such as Selenastrum capricornutum of green algae, cyclotella atomus, C. meneghiniana of diatom and Microcystis spp. of blue-green algae and the other hand brackish algae were dominated after inflow of seawater such as Chaetoceros dicipiens, Skeletonema costatum of diatom, Dinophysis acuminata, Gymnodinium mikimotoi, G. sanguineum, Gyrodinium spirale, Prorocentrum minmum of dinoflagellate and Eutreptiella gymnastica of euglenoid. Moreover, small flagellates including Chroomonas spp. of cryptomonad were abundant throughout the year. The cause of water deterioration during fill of the freshwater were complexly supported with extra and intra parameters. The variation pattern of phytoplankton were related to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by inflow of seawater based to plentiful nutrients.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were assessed to ecosystem that clearly condition of dominant by unique or a few angel species seasonally.

  • PDF

국내 하구역 부착돌말의 시, 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몬순의 영향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Major Harbors of Korean Peninsula)

  • 김하경;김용재;원두희;황순진;황수옥;김백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98-609
    • /
    • 2013
  •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in major rivers (30 rivers and 58 sampling points)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surveyed each one time before (May) and after the monsoon (October) 2012. The stream of the east harbor (EAST), the south harbor (SOUTH), and the west harbor (WEST) was sampled in order. Over the survey, a total of 284 taxa were classified, and the number of diatom species in each harbor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after the monsoon, but a biomass significantly decreased. Results also showed that EAST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after the monsoon, was opposite to SOUTH. Five major dominant species including Nitzschia inconspicua, which contained higher biomass over the survey, were common species which widely distributed in brackish water. Indicator Species Analysis showed that a large number of clean water species in EAST and polluted water species in SOUTH and WEST were emerged respectively. In sum, the Asian monsoon significantly decreased a biomass of epilithic diatoms and water qualities over the harbors (lower stream) in the Korean peninsula, but did not change the major species indicating water quality.

Morphology of Digestive Tract and Its Goblet Cells of Giurine Goby Rhinogobius giurinus

  • Hur Sang-Woo;Song Young-Bo;Lee Chi-Hoon;Lim Bong-Soo;Lee Young-D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83-89
    • /
    • 2005
  • Morphology, histology, and 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gestive tract of the guirine goby (Rhinogobius giurinus: Gobiidae), collected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Korea, were investigated. The digestive tract of R. giurinus, which is a brackish water species, has a short (relative length of gut=0.42), simple, and narrow gut. The gastric glands are well developed in the stomach, but pyloric caeca are absent. The mucosal folds are regularly branched, and the muscularis extern a is thickest in the esophagus, which also contained the most mucus-secreting goblet cells (P<0.05). In R. giurinus, digestive function occurs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digestive tract, where mucus protects the tract from the actions of digestive enzymes and functions to activate digestion.

Three Ecotypes of Compsopogon coeruleus (Rhodophyta) from Orissa State, East Coast of India

  • Ratha, Sachitra Kumar;Jena, Mrutyunjay;Rath, Jnanendra;Adhikary, Siba Prasad
    • ALGAE
    • /
    • 제22권2호
    • /
    • pp.87-93
    • /
    • 2007
  • Three ecotypes of the freshwater red alga Compsopogon coeruleus (Balbis) Montagne were recorded from different freshwater and brackish water habitats of Orissa state in the east coast of India. These three had persistent differences in their branching pattern, e.g. (i) acute angle between main axis and lateral branch, (ii) equal or near to right angle between main axis and lateral branch, and (iii) short spine-like outgrowth instead of a branch in older filaments, besides having differences in the length, breadth and thickness of cortex of the thallus.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these taxa,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of their occurrence is presented.

Four Human Cases of Acanthotrema felis (Digenea: Heterophyidae) Infection in Korea

  • Chai, Jong-Yil;Kim, Jae-Lip;Seo, M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3호
    • /
    • pp.291-294
    • /
    • 2014
  • Acanthotrema felis is an intestinal trematode of cats originally reported from the Republic of Korea. Only 1 human case infected with a single adult worm has been previously recorded.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4 human cases infected with a total of 10 worms recovered after anthelmintic treatment and purging. All 4 patients reside in coastal areas of Jeollanam-do, Korea, and have consumed brackish water fish including the gobies, Acanthogobius flavimanus. The worms averaged 0.47 mm in length and 0.27 mm in width, and had 3 sclerites on the ventrogenital sac; 1 was short and thumb-like, another was long and blunt-ended, and the 3rd was long and broad-tipped. They were identified as A. felis Sohn, Han, & Chai, 2003. Surveys on coastal areas to detect further human cases infected with A. felis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