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OD 오염부하량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Pollutant Source Database and Water Quality Managemen Ecosystem Model for Juam Reservoir Watershed Using GIS (GIS를 응용한 주암 상수원수계의 오염원 DB 구축과 수질관리 생태계모형)

  • 양홍모;권유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3
    • /
    • pp.209-219
    • /
    • 1999
  • 주암호는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약 1,180,000톤/일의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상수원이다. 상수원수계의 생활하수, 축산폐수, 숙박업소, 식당 등 점오염원과 주거지, 농경지, 산림지역에서 우수와 함께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부하량으로 이들 상수원의 수질은 점점 악화되어 3급수로 전락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들 상수원의 수질관리에 있어 중요한 인자의 파악과 인자들간 상호작용의 이해를 용이하게 해주는 수계수질관리 부분생태계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지리정보체계를 응용하여 수계의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 오염부하량 산출방법, 점원 및 비점오염원의 공간분석, 상수원 보호구역으로부터 완충구역분석, 위성자료 분석을통한 상수원 수계 토지이용분석과 비점오염원 부하량산출 응용 방법등을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주암호수계의 BOD 부하량은 주거지. 생활하수, 축산폐수, 경작지, 식당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총질소 부하량은 경작지, 산림, 생활하수, 추간폐수가 높으며 그리고 총인 부하량은 생활하수, 축산폐수, 경작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오염원인 생활하수, 축산폐수, 식당 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인 경작지도 수질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Estimate of The properties between flush and pollution loads at Kyungan (경안 지점의 강우유출수와 오염부하량의 특성 분석)

  • Kim, Kyung-Hee;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117-2121
    • /
    • 2009
  • 우리나라는 도시화, 산업화로 하천의 환경적인 기능을 고려하지 못하고 심각한 수질오염을 유발하여 왔다. 특히 기술개발로 점오염원에 관리는 어느정도 효과를 보고있으나 정량화가 힘든 비점오염원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의 강우시 수자원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우시 수질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비점오염원의 특성상 유역별, 강우사상별 특징이 매우 다르므로 대표 유역에 대하여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대표유역의 특성을 반영한 제한적인 누가유량-누가오염부하량의 관계식을 도출하여 좀더 정밀한 유역오염부하량을 산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 지점은 수도권 및 인근지역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호로 직 유입되고 정확한 유량자료 확보가 가능한 경안수위관측소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6월$^{\sim}$2008년 12월이었으며 이 기간에 나타난 강우 중 4개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수질측정 및 실시간 수위관측을 실시하였다. 수위-유량관계곡선식으로 산정한 유량자료와 실측한 수질자료를 바탕으로 누가유량-누가오염부하량의 단순회귀식을 도출하였다. 수질항목은 수온, DO, pH, EC, SS, BOD, $COD_{Mn}$, $COD_{Cr}$, T-N, T-P 등이며 단, BOD는 2개의 강우사상에서만 측정되었다. 현장에서 휴대용미터를 이용하여 수온, DO, pH, EC를 측정하였고 나머지 항목은 한국건설 기술연구원내 환경정밀분석센타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각 항목별 실측치를 이용한 누가유량-누가오염부하량 관계식을 도출한 결과 각 도출된 식의 상관계수 값은 전 항목에서 0.9 이상으로 1에 가깝게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항목별로 보면 BOD는 0.95, SS는 0.96, $COD_{Mn}$은 0.98, $COD_{Cr}$은 0.95, T-N은 0.97, T-P는 0.92의 값을 가졌다. 앞으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강우사상별 자료가 축적된다면 좀더 정밀한 유량-부하량 관계식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수자원관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Pollutant Loads of Rainfall Runoff From Agricultural-Forestry (강우시 농지-임야지역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부하량 분석)

  • Yur, Joong Hyun;Kim, Geon Ha;Seo, Jung M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88-892
    • /
    • 2004
  • 농지, 임야지역에서의 강우유출수 수질의 파악은 수자원 수질관리에 있어서 바탕수질(Background water quality)이기 때문에 물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다. 본 연구는 농지와 임야가 혼합된 도시외곽지역에서 강우시에 발생하는 강우유출수의 수질 및 오염부하량에 대하여 유역특성이 다른 두 지역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유역은 임야와 농경지가 주를 이루는 지역으로 농지의 비율이 자자 $0.4\%$$35.9\%$인 유역이다. 측정은 건기에서부터 강우기 때까지 각 유역 당 10개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측정 대상 항목으로는 pH, SS, TCOD, SCOD, BOD, TP, TN, $NH_3-N$, $NO_3-N$, $PO_4-P$, Total coliform, Escherchia Coli를 측정하였고, pollutograph, loadgraph을 작성하였다. 분석 결과 농지의 비율이 큰 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부하량이 모든 수질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SS, 유기물, 미생물 항목에서 초기강우세척철상(first flush)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측정 자료에 내한 동계분석결과 SS항목과 유기물 항목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강우에 따른 오염부하량은 누승함수, 2차함수의 형태로 증가하였다.

  • PDF

Assessment of 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s on Agricultural Watershed in Jeonbuk Province (전북지역 농업용 하천유역의 수질과 부하량 특성)

  • Uhm, Mi-Jeong;Moon, Young-Hun;Ahn, Byung-Koo;Shin, Yong-Ky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7 no.2
    • /
    • pp.111-119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s on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in Jeonbuk province. The EC level of investigated watershed ranged from 0.07 to 0.52 dS/m, BOD level ranged from 0.1 to 5.0 mg/L, and $COD_{Cr}$ level ranged from 0.6 to 17.7 mg/L. As above, contents of water quality indicators covered wide range, but each indicator was alike in mean content every other year. The contents of EC, $Ca^{2+},\;Mg^{2+},\;K^+\;and\;Na^+$ were decreased in rainy season, but the contents of BOD, $COD_{Cr},\;COD_{Mn}$, T-N and T-P were not greatly different as compared to dry season. And high content of SS showed substantial sediments near the surface flow out and influence on water system in rainy season. The pollutant loads measured in terminal of watershed were $9.6{\sim}757.9$ kg/day for BOD, $51.2{\sim}1418.5$ kg/day for T-N and $0.3{\sim}44.7$ kg/day for T-P. The pollutant loads of BOD, T-N and T-P in rainy season increased several times as compared to dry season. In rainy season, watershed with more than 30% in the proportion of paddy field to land showed relatively low discharge and pollutant loads in comparison to watershed with less than 30%. The discharge of watershed in rainy season increased 5.7times compared with the dry season in watershed with less than 30% in the proportion of paddy field to land, whereas was only 2.3times in watershed with more than 30%. The correlation coefficient($R^2$) of regression between discharge and pollutant loads of T-N were higher than those of BOD and T-P.

Unit Mass Estimation and Analysis from Fiber Dyeing and Finishing Facility Nearby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에서 섬유염색 및 가공 업체에 대한 공정별 원단위산정 및 분석)

  • Gu, Jung-Eun;Nah, Dong-Hoon;Lee, Seu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9
    • /
    • pp.765-774
    • /
    • 2009
  • Fiber Dyeing and Finishing facil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pollution source due to its consumption of large volumes of water and chemicals. Unit mass discharge for the conventional water quality parameters such as flowrate, SS, $BOD_5,\;COD_{Mn},\;COD_{Cr}$, TN, TP were estimated. To represent the respective industries, three companies were carefully selected based on its manufacturing goods, flowrate and location at various unit operations and processes. More than 90% of decrease in unit mass estimation between influent and effluent of BOD was observed. But the values themselves were similar to those of Fiber Manufacturing facility due to the high loadings of organic matter. Biodegradability of influent was almost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effluent. Unit mass discharge estimations of unit process (estimated in this study) based on space, products and raw material were similar to those of composite process (estimated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while big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ther factors. Unit mass discharge factors calcula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reference for the estimation of water pollution loading costs in Nakdong river basin. For the effective water pollution control and management, it is essential to characterize the various type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from the effluents of individual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 Study on the Simulation of Non-Point Pollutant in Hapcheon Dam Watershed Using HSPF Model (HSPF 모델을 이용한 합천댐 유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 모의 방안에 대한 연구)

  • Cho, Hyun Kyung;Kim, S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21-42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HSPF 모델을 이용하여 비점오염물질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합천댐 유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입력자료는 유역도, 하천도, 토지이용도, 수치표고모델 및 기상자료 등을 이용하였다. HSPF 모형은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실측값을 이용하여 보정 및 검증이 이루어졌다. 수문 보정을 위한 매개변수는 사용자 설명서와 참고문헌에 근거하여 선정하였으며, 시행착오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모델의 적용성 평가는 $R^2$, RMSE, RMAE, NSE를 사용하였고 $R^2$가 0.78에서 0.83, RMSE는 2.55에서 2.76mm/day, RMAE는 0.46에서 0.48mm/day, NSE는 0.81에서 0.82까지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연간 유출량이 ${\pm}4%$ 오차 이내로 산정되었다. 수질 모형을 구동하기 위한 수질 자료는 환경부에서 제시한 지침에 따라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이용량에 따른 발생 부하량과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수질 모형 또한 수문과 같은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정 및 검정이 이루어졌다. 보정 결과 연평균 BOD의 차이가 0.22mg/L이고 오차범위는 13%였으며, T-N과 T-P는 0.66mg/L, 0.027mg/L의 차이를 가지며 오차범위는 각각 16%, 13%로 나타났다. 수질항목 중에서도 비점오염 관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점오염물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축산계에 감소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축산계의 배출부하량 감소율이 20%일때의 BOD, T-N, T-P는 각각 3%, 1%, 3% 감소하였으며 40% 감소율을 적용하였을때는 5%, 3%, 4% 감소하였다. 이러한 수질 해석을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오염물질 방법을 적용하여 수질 개선과 합천댐 유역의 목표수질을 달성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cision of Permissible discharge Pollutional Load of Subbasin (소유역별 허용 배출오염부하량 결정에 관한 연구)

  • Park, Sung-Chun;Kim, Yong-Gu;Roh, Moo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23-1026
    • /
    • 2004
  • 우리나라는 토지이용이 고도화 되어 있고 상수원에 각종 오염시설이 이미 입지해 있으며 개발압력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환경기초시설 확충 및 배출기준 강화 등 사후적 관리방법으로는 상수원의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상수원수질보전을 위한 기존의 토지이용 규제정책도 일정 규모 이하는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소규모 시설에 대한 효율적 규제가 안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 규제에 의한 주민의 재산권 제한으로 민원도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오염원의 총량적인 증가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주민이 스스로 오염원 총량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환경친화적으로 지역을 개발할 수 있는 새로운 수질관리 기법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을 대상하천으로 각 배수구역별 유황분석을 실시하고, 오염원조사, 부하량 산정, 수질모델링의 불확실성등 안전율을 고려하여, 오염원 총량관리 기본방침을 기준으로 오염총량관리대상 오염물질의 종류인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에 대하여 2006년과 2011년의 장래수질예측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목표수질을 달성할 수 있는 배수구역별 부하량을 할당하였다.

  • PDF

Waste Load Allocation of Hwanggujicheon Watershed Using Optimization Technique (최적화기법을 이용한 황구지천유역의 오염부하량 할당)

  • Cho, Jae Heon;Chung, Wook Jin;Lee, Jong 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19 no.6
    • /
    • pp.728-737
    • /
    • 2005
  • Water quality of the Hwanggujicheon is poor because of the rapid housing and development in the large area of the basin. Establishmen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pollution sources survey and pollutant loads estimation, has to be established for the preservation of the stream water quality of the region. In this study, waste load allocation model to achieve the water quality goal of the stream and the optimization of pollutant load reduction, was developed. Nonpoint pollutant loads calculated by runoff model in the previous study are utilized for pollutant loads estimation of the drainage areas in this study. From the application result of the allocation model, water quality goals of the Hwanggujicheon that can be achieved as a matter of fact are BOD 8 mg/L. To achieve these goals, 23% of effluent BOD loads have to be reduced in the basin.

A BOD Simulation by Improved Hydrology and Water Quality Module in SWAT (SWAT 모형의 수문.수질 모듈 개선에 의한 BOD 모의)

  • Kim, Nam-Won;Shin, Ah-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68-20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 유역모형인 SWAT 모형의 한계를 인식하고 유출해석모듈과 하도수질모듈을 개선한 SWAT-K(Korea) 모형이 현재 오염총량관리 대상물질로 지정되어 있는 BOD 모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충주댐유역을 대상으로 각 개선모듈별 BOD 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출해석모듈의 개선결과 하도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BOD 항목의 모의 특성 상 유출 구조의 개선에 의하여 BOD 부하량의 지체가 감소되며 첨두 부하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도수질모듈의 개선결과 저유량 시 매개변수 산정에도 불구하고 증가하지 않던 값들이 모형의 개선에 의하여 정상적인 범위로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체적인 개선에 의하여 각 모듈별 개선효과와 함께 충주댐 지점의 개선 전 후 일대일 비교를 수행한 결과 결정 계수($R^2$)가 0.54에서 0.88로 상승하며 개선 후 모의값이 실측값에 근사하게 모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eparation of Runoff Components using Digital Filter Method and Non-point Source Load Estimation (Digital Filter 기법을 이용한 유출성분 분리 및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 Cho, Young-Sik;Lee, Heung-Soo;Jung, Yong-Rak;Choi, Jung-Kyu;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69-2073
    • /
    • 2007
  • 효과적인 저수지 수질관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상류 유역으로부터 오염원의 유출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강우시 대부분 유입하는 비점오염원은 실측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부하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어 전체 부하량에서 차지하는 기여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igital Filter 기법을 이용하여 댐 유입량 수문곡선으로부터 유출성분을 분리하고, 강우시 유출하는 비점오염부하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지역은 대청호를 선택하였다. 유출성분별 오염부하량을 정량화하기 위해 댐 유입량을 각각 지표유출, 중간유출 및 기저유출 성분으로 분리하고, 강우시 지표유출과 중간유출을 합하여 비점오염원 부하량(직접유출)으로 산정하였다. 유출성분별 일별 부하량은 실측된 유량 및 수질자료로부터 유도된 유량-부하량의 상관관계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청호 유입량의 유출성분비는 각각 지표유출 49.2%, 중간유출 25.5% 및 기저유출 25.4%로 산정되었다. 2001년 옥천지점에서 유출성분분리 결과, 총 유출량 중 기저유출, 지표유출, 중간유출의 비가 각각 35.1%, 39.5%, 25.5%로 산정되었고, 청성지점은 각각 39.7%, 36.1%, 24.2%로 나타났다. $2001{\sim}2005$년까지 유출 성분별 비점오염원 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대청호에 비점오염원 부하량 기여율의 범위(평균값)는 각각 BOD $65.2{\sim}88.0%$(평균 83.5%), COD $68.1{\sim}$ 89.3%(평균 86.8%), T-N $60.4{\sim}88.6%$(평균 84.2%), 그리고 T-P $77.7{\sim}96.6%$(평균 94.3%)로 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청호로 유입하는 유기물과 영양염류 연간 부하량의 80% 이상이 강우-유출과 함께 유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유역차원의 비점오염원 관리가 시급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