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S method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4초

수정된 BLS 가중치보정법 (Modified BLS Weight Adjustment)

  • 박정준;조기종;이상은;신기일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8권3호
    • /
    • pp.367-376
    • /
    • 2011
  • BLS 가중치보정법은 사업체 조사 시 발생한 무응답 및 이상점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중치 보정방법중의 하나이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총계 추정에 있어 BLS 무응답 가중치보정법의 결과가 비추정법을 사용한 대체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점과 무응답이 동시에 있는 경우, BLS 무응답 가중치보정법을 비추정 대체법으로 바꾸어 총계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매월 노동 통계 자료를 이용한 모의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상관관계와 표본 크기에 따른 BLS 무응답 보정의 효율성 비교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the BLS Nonrespons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d Sample Size)

  • 김석;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6호
    • /
    • pp.1301-1313
    • /
    • 2009
  • 미국 노동통계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BLS 방법의 효율성과 민감성에 관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표본 틀 (Sample frame) 자료와 조사된 자료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BLS 무응답 보정 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석진과 신기일, 2008). 그러나 표본 틀 자료와 조사된 자료의 상관계수가 층별로 크기가 다른 경우, BLS 보정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표본 설계에서는 층화추출 방법이 사용되기 때문에 각 층의 표본 크기와 상관계수가 다른 경우의 BLS 보정 효과률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층의 표본 크기와 상관계수 그리고 무응답 비율에 따른 BLS 무응답 보정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용된 자료는 노동부의 월별 자료인 2007년 매월노동통계 자료이다.

BLS 무응답 보정법을 이용한 대체법과 이월대체법에 관한 연구 (A Comparison of BLS Non-Response Adjustment and Cross-Wave Regression Imputation Methods)

  • 이상은;신기일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5호
    • /
    • pp.909-921
    • /
    • 2010
  • 패널 자료에서 무응답이 발생한 경우에는 횡시점회귀대체법(cross-wave regression imputation) 등과 같은 대체법을 이용하여 무응답 문제를 해결한다. 최근 표본 틀(sampling frame) 자료를 이용하여 무응답 가중치 보정을 하는 BLS 무응답 보정법은 패널 자료에도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 알려져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널자료에서 BLS 무응답 보정법을 이용한 대체법을 연구하였으며 자료가 경향이 있는 비정상시계열(nonstationary process with drift)을 따른 다는 조건하에서 BLS 무응답 보정법과 횡시점회귀대체법의 하나인 이월대체법(carry-over imputation)과의 이론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이론적인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2007년 매월노동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두 방법의 우수성을 비교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 자격과정 교육 경험 (The Meaning of BLS-Provider Certification Course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 신상춘;김기련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1-31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BLS-Provider Certification Course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henomenological method developed by Giorgi was used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7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BLS-Provider Certification Course.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February, 2013 and May, 2013 by face to face interview. The interview was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Results. The constituents associated with the meaning of the Nursing students's experiences on BLS-Provider Certification Course were as followings 'To obtain the information', 'Complicated preparation process', 'Unfamiliar education', 'Fear on the BLS ', 'Satisfaction after getting of BLS-Provider Certification '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BLS-Provider Certification Course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The highlights of this study are that, although the students had much inconvenience on the preparation process of BLS-P and fear on the BLS-Provider Certification Course, they were satisfied much after getting the BLS-Provider Certificate. It can give the better quality of BLS-Provider Certification Course if these results are provided in the program.

  • PDF

중소병원 간호사의 BLS 지식, 자신감 및 수행의도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Intention of BLS of Clinical Nurses Who Work at Small-medium Sized Hospitals)

  • 엄동춘;전명희;박영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46-45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intention of basic life support (BLS) and identify the reason why clinical nurses lack confidence to initiate BLS at the cardiac arrest scene. Method: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with questionnaires which authors developed; a BLS knowledge questionnaire and a tool for measuring the level of self-confidence and intention of performing BLS. The subjects consisted of 396 nurses by convenient sampling from ten small to medium sized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ugust, 2008.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WIN 14.0 program with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percentile score of BLS knowledge was 40.6%, self-confidence 62.1%, and intention 73.0%. Clinical career rather than BLS knowled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the self-confidence and intention of performing BLS. A major reason for not performing BLS was lack of confidence in operating an AED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Conclusion: An effective and continuous training program especially including AED for CPR should be provided with clinical nurses to increase self-confidence and intention of performing BLS and to improve the survival of cardiac arrest patients in the hospital.

미국심장협회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과 술기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효과 (The Effects and Retention of the AHA's BLS Training on Knowledge and Skill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권말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22-228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and retention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s basic cardiac life support (BLS) training on knowledge and skill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Method: The study wa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included 41 junior nursing students from D college who participated in an AHA BLS course for healthcare providers in K hospital from January 18 to June 7, 2010. The instruction was based on ‘BLS knowledge and skill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using the SPSS/PC 12.0 win. Result: First, knowledge (t=-7.648, p=.000) and skills (t=-12.988, p=.00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BLS training. Second, knowledge (t=4.098, p=.000) and skills (t=50.350, p=.000) of BLS after 4 month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right after BLS training. Conclusion: Knowledge and skills were decreased 4 months after BLS training. Therefore, retraining in BLS is required within 4 months. To maintain the knowledge and skills of BLS, appropriate renewal time and retraining programs are needed.

119구급대원의 기본소생술 교육 개선 방안 - 자동제세동기 교육을 중심으로 - (Improvement Method for BLS Training for 119Fire-Paramedics - Focused on AED Training -)

  • 이정혁;채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3호
    • /
    • pp.127-136
    • /
    • 2017
  • 우리나라는 1994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응급처치 교육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현재 일반인 대상 AED내용이 포함된 응급처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반인의 AED사용 실적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획일화된 BLS교육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AED사용 의향을 저해하는 개인적 사회적 요인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개선된 BLS교육에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로 대상자 총 481명 중 기존 AED사용 의향이 없던 대상자는 200명(41.6%)이었으며, 개선된 BLS교육 후 43명(8.9%)으로 감소하였다. AED사용 의향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교육 후에는 AED위치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AED교육 시 정확한 내용의 전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더불어 생활 주변 AED의 위치인식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가구 패널조사에서의 가중치 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Adjustment Method for Household Panel Survey)

  • 남궁평;변종석;임찬수
    • 응용통계연구
    • /
    • 제22권6호
    • /
    • pp.1315-1329
    • /
    • 2009
  • 미국 노동통계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BLS 방법의 효율성과 민감성에 관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표본 틀(Sample frame) 자료와 조사된 자료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BLS 무응답 보정 효과는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석진과 신기일, 2008). 그러나 표본 틀 자료와 조사된 자료의 상관계수가 층별로 크기가 다른 경우, BLS 보정 효과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표본 설계에서는 층화추출 방법이 사용되기 때문에 각 층의 표본 크기와 상관계수가 다른 경우의 BLS 보정 효과률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층의 표본 크기와 상관계수 그리고 무응답 비율에 따른 BLS 무응답 보정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사용된 자료는 노동부의 월별 자료인 2007년 매월노동통계 자료이다.

표본조사에 따른 추정방법 비교: 가중치 조정기법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Estimation on Sample Survey: Focusing on Weight Adjustment)

  • 이상은
    • 응용통계연구
    • /
    • 제21권3호
    • /
    • pp.413-427
    • /
    • 2008
  • 표본설계는 대표성 있는 표본추출과 이에 따른 적절한 추정식을 산출해 주어야 한다. 이때 조사결과가 모집단의 대표성을 갖기 위해서는 적절한 가중치가 부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표본설계시 제시된 기본가중치는 추출확률에 의해 계산된다. 그러나 조사 후 무응답등과 같은 요인이 발생된 경우 모집단의 대표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본가중치의 보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조사 후 가중치 보정방법으로 기존에 흔히 사용하고 있는 갈퀴법(Raking)과 현재 BLS에서 적용하고 있는 방법(BLS) 그리고 최근 표본조사의 추정식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일반화회귀식(GREG)에 의한 방법을 비교하였다. 자료분석은 산업단지공단내의 산업분류별 총 종사자수가 사용되었으며 MSE, Coverage, CV, Large Error(LE), NOn-Centrality(NC) 등의 비교통계량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표준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용 비디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간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Using a Standardized Basic Life Support Video Program in Nurs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 박정숙;전현례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01-311
    • /
    • 2010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dentify variations in Nurses' CPR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BLS Education. Metho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Nurses' CPR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For the study we selected 167 nurses working in Daegu K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group was given a test before (pre test) and after (post test) BLS education. The BLS education was given by two BLS instructors certified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using a DVD and manikin. Result: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nurse's knowledge, belief, emotion and performanc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behavior after BLS education. CPR knowledge and performance was higher among emergency room nurses compared to surgical ward nurses. Conclusion: CPR education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nurses' attitudes towards CPR. It also improved their related knowledge and performance. Therefore, cardiopulmonary education should be given continuously, and different steps of CP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fill the knowledge deficiency g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