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VALVES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2초

이매패의 Carotenoid 색소성분 1. 홍합과 진주담치 근육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arotenoid Pigments of Bivalves 1.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from Muscle of Mussel and Blue mussel)

  • 하봉석;강동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69-375
    • /
    • 1991
  • 홍합과 진주담치 근육의 carotenoid를 TLC,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고, $NaBH_4$에 의한 환원반응, $I_2$에 의한 이성화반응 및 UV-visible spectro-photometer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혼합 근육의 총 carotenoid함량은 수컷이 0.4mg%, 암컷은 2.7mg%이며, 주 cartenoid는 수컷이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26.3%, pectenoxanthin 24.8% 및 mytiloxanthin 23.4%였고, 그외 pectenolone 14.0%, diatoxanthin 5.1%의 순으로 함유하며, 암컷은 mytiloxanthin 33.4%, pecteno-xanthin 22.8% 및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22.5%였고, 그외 pectenolone 9.9%, diatoxanthin 6.1%의 순으로 함유하여 서로 유사하였다. 진주담치 근육의 총 carotenoid함량은 수컷이 1.1mg%, 암컷은 3.2mg%이며, 주 carotenoid는 수컷이 mytiloxanthin 33.8%, pectenoxanthin 28.4%였고, 그외 diatoxanthin 18.1%, pectenolone 9.7%,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5.5%의 순으로 함유하며, 암컷은 pectenolone 8.7%, diatoxanthin 5.0% 및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 3.1%의 순으로 함유하여 서로 유사하였다. 그러나 홍합과 진주담치의 근육 carotenoid는 암컷이 수컷보다 총 carotenoid 함량이 높은 함량치를 보였고, diatoxanthin과 3, 4, 3'-trihydroxy-7', $8'-didehydro-{\beta}-carotene$의 함량에서 차이를 보였다.

  • PDF

한국 태안 정산포와 황도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계절적 변동과 바지락의 생장 (Seasonal Variations of Microphytobenthos and Growth of Ruditapes philippinarum at Jeongsanpo and Hwangdo Tidal flat, Taean, Korea)

  • 박서경;김보연;오정순;박광재;최한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84-894
    • /
    • 2015
  • 한국 태안군 정산포와 황도 갯벌에서 저서미세조류의 종조성과 생물량의 계절적 변화가 바지락 생장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2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간 동안 저서미세조류는 총 122종이 관찰되었으며, 정산포에서 85종(계절별 30-45종), 황도에서는 92종(32-57종)이었다. 연평균 엽록소 a의 농도는 정산포에서 $79.75mg/m^2$였고 황도에서 $151.50mg/m^2$였다. 갯벌 퇴적물에서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의 연평균 세포수는 정산포에서 $13,255cells/cm^2$이었고 황도에서 $15,943cells/cm^2$였다. 정산포에서 Cylindrotheca closterium, Gyrosigma sp.와 Navicula sp.가 우점하였고 황도에서는 Amphora sp.1., C. closterium, Detonula pumila, Navicula sp.와 Merismopedia sp.였다. 또한, 두 연구정점에서 최대의 세포수를 나타낸 종은 Paralia sulcata였다. 정산포 바지락의 소화기관에서는 계절별로 18-31종의 미세조류가 분류되었으며, 황도 바지락 소화기관에서는 19-25종의 미세조류가 동정되었고 P. sulcata는 모든 계절에 바지락 소화기관에서 확인되었다. 바지락의 연평균 비만도는 정산포에서 연평균 0.42로 황도의 0.57에 비해 0.15가 낮았다. 결과적으로 바지락의 먹이원인 저서미세조류의 풍도와 엽록소 a의 농도는 바지락 생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4종 조개류 유생의 발생과 성장 (Development and Growth of Larvae of Four Bivalve Species)

  • 허영백;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9-128
    • /
    • 2000
  • 진주담치(Mytilus edulis), 홍합(Mytilus coruscus), 참굴(Crassostrea gigas) 및 진주조개(Pinctata fucata martensii)를 인위적인 방란 방정을 유도하여 이들의 수정란과 부유유생을 사육하여 난 발생, 유생의 성장 및 형태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정란의 크기는 진주담치와 홍합이 각각 65.1 ${\mu}m$, 70.3 ${\mu}m$로 비슷한 크기를 보였고, 참굴과 진주조개는 각각 52.3 ${\mu}m$, 45.3 ${\mu}m$로 비슷한 크기를 보였다. 수정란에서 D형 유생으로 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진주담치와 참담치는 자연수온(17.0$\pm$1$^{\circ}C$)에서 각각 47시간55분, 45시간 55분이 소요되었고, 참굴과 진주조개는 수온 21.$0^{\circ}C$와 26.$0^{\circ}C$에서 각각 23시간 55분과 22시간이 소요되었다. 진주담치, 홍합, 참굴, 진주조개가 초기 D형 유생에서 부착기 유생으로 성장하는 데는 각각의 수온에서 각각 20일, 27일, 22일, 및 21일이 소요되었고 이때의 평균 각장의 크기는 각각 194.1 ${\mu}m$, 233.6 ${\mu}m$, 274.9 ${\mu}m$, 190.9 ${\mu}m$ 였다. 초기 D형 유생에서 초기 부착기 유생까지 각장(L)과 각고(H)의 상관관계는 높으며, 각장에 따른 각고/각장의 비율(H/L)은 진주담치: H/L : 0.002L+0.5334 (($R^2$ = 0.957), 홍합: H/L : 0.001L+0.603 ($R^2$ : 0.944), 참굴: H/L =0.001L+0.871 (($R^2$=0.550) 및 진주조개: H/L =0.001L+0.791 (($R^2$ = 0.700)로 나타났다

  • PDF

충남 연안 조망어업의 어획특성 (Fishing Characteristic of Beam Trawl Fishery in the Coastal Waters of Chungnam Province, Korea)

  • 김시엽;임양재;조현수;차병열;권대현;황학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59-46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충남 연안에서 연안조망의 어획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3월부터 2009년 2월까지 매월 2~4회 연안조망을 사용하여 어획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해역은 동경 125도 50분~126도 05분, 북위 36도 15분~36도 25분의 해역이었고, 총 19목 63과 96종이 채집되었다. 그 중 어류가 54종, 갑각류가 27종, 복족류 및 이매패류가 9종, 그리고 두족류가 6종이었다. 생체량은 어류가 51.4 %로 가장 많았으며, 갑각류는 34.2 %를 차지하였다. 꽃새우는 7월~11월에 출현량이 많았고, 12월부터 5월까지는 적은 양이 출현하였다. 연안조망의 목표종인 꽃새우는 전체 어획물의 2.1 %로 낮은 채집 비율로 출현하였으며, 꽃새우 이외 어종의 부수적 어획물의 양적 비율이 높아, 꽃새우 어획이 부수어획으로 어획되는 종들의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마산만 오염퇴적물 준설토 투기해역의 중금속 오염평가 (Evalu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Dumping Site of the Dredged Sediment, Masan Bay)

  • 권영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81
    • /
    • 2004
  • 고농도로 오염된 마산만 퇴적물 2.1×10/sup 6/ ㎥ 마산시 가포해역에 투기되었다. 준설토가 투기된 가포해역의 한 조석주기 동안 해수 중금속 농도는 Zn 1.15∼2.59, Cu 1.08∼1.96, Pb ND∼0.42 그리고 Ni 0.57∼1.35 ㎍/l로서 진해만의 평균 농도인 Zn 0.80, Cu 1.02, Pb 0.01 그리고 Ni 0.70 ㎎/l 와 비교할 때 높은 농도이었다. 가포지역 퇴적물 표층의 중금속 오염 수준을 미국 EPA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Non polluted∼Moderately polluted level 이었으며, Adverse Biological Effects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때 Cu와 Zn은 ERL∼ERM, Cd, Cr, Pb 그리고 Ni은 ERL 수준이었다. 퇴적층별 중금속 함량은 상층부보다 하층부에서 중금속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오염도 분포 경향은 상대적으로 오염도가 낮은 지역의 준설토가 투기지역 퇴적물의 상층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포지역에서 채집된 굴에서 Zn 238.96, Cu 5.29, 바지락에서 Zn 17.71, Cu 1.00. 진주담치에서 Zn 187.98, Pb 0.28, Cr 0.15, Mn 4.23, Sr 1.45 그리고 Fe 100.33㎍/g wet wt.이 검출되어 투기장 외부 호안에서 채취된 시료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패류의 중금속 측정결과는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의 정밀검사기준(패류)인 Pb 2.0 및 Cd 2.0 ㎍/g과 비교하였을 때 기준치 이하에 해당하였다.

  • PDF

이원방조제 주변의 조간대 및 조하대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Effect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Inter- and Subtidal Macrobenthic Communities in the Iwon Dike Area)

  • 이재학;유옥환;이형곤;박자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5-306
    • /
    • 2004
  • Spatial patterns in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the inter- and subtidal zones in front of the Iwon Dik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examined in August 2001, In total, 156 macrobenthic species(123 intertidal species and 90 subtidal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this study, predominately polychaetes $(40{\%})$, bivalves $(22{\%})$, and crustaceans $(22{\%})$. Polychaetes made up less than $40{\%}$ of the intertidal communitr, but more than $50{\%}$ of the subtidal community. The mean density during this study was $1,456ind./m^{2}.$ Multivariate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tructure among four regions: near the Iwon dike (B1), the high and middle intertidal zone (B2), low intertidal zone (Al), and subtidal zone (A2). The number of species, total density, and diversity (H') varied significantly among the four regions. The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was affected by environmental variables, such as ${\%}$ silt/clay content, total sulfide, lose of ignition, and chemical oxygen demand. These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ominant species (Nephtys polybranchia, Umbonium thomasi, and Scoloplos armiger) in the intertidal area,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ominant species (Lumbrineris cruzensis, Notomastus latericeus, and Moerella sp.) in the subtidal area. Environmental variables $({\%}\;silt/clay content and total sulfid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dominant species (Heteromastus filiformis) in region Bl,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dominant species (Umbonium thomasi and Scoloplos koreanus) in region B2. Amphipods Urothoe spp. and Monoculodes koreanus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region Al. Umbonium thomasi, the dominant species in region B2, was not found in regions Bl or Al. We suggest that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for territory and exposure to seawater may be important factors controlling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the inter- and subtidal zones in front of the Iwon Dike.

Spermiogenesis and Taxonomic Value of Sperm Morphologies of Two Species in Veneridae (Bivalvia: Heterodonta)

  • Kim, Jin-Hee;Kim, Sung-Ha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9-157
    • /
    • 2011
  • Som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ons of acrosomal vesicles during the late stage of spermatids during spermiogenesis and taxonomical charateristics of sperm morphology in male two species (Saxidomus purpurata and Meretrix petechialis) in the family Veneridae were investigated by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In two species, the morphologies of the spermatozoa have the primitive type and are similar to those of other bivalves in that it contains a short midpiece with five mitochondria surrounding the centrioles. The morphologies of the sperm nuclear types of S. purpurata and M. petechialis in Veneridae have the curved cylindrical and cylinderical type, respectively. And the acrosome shapes of two species are the same cap-shape type. In particular, the axial filament is not found in the lumen of the acrosome of two species, however, subacrosomal material are observed in the subacrosomal spaces between the anterior nuclear fossa and the acrosomal vesicle of two species. The spermatozoon of S. purpurata is approximately 46-$52{\mu}m$ in length, including a curved sperm nucleus (about $3.75{\mu}m$ in length), a long acrosome (about $0.40{\mu}m$ in length),and a tail flagellum (about 45-$47{\mu}m$ long). And the spermatozoon of M. petechialis is approximately 47-$50{\mu}m$ in length including a slightly curved sperm nucleus (about $1.50{\mu}m$ in length), an acrosome (about $0.56{\mu}m$ in length) and tail flagellum (44-$48{\mu}m$ in length). In two species,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flagellum of each species consists of nine pairs of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of cental doublets at the center. Therefore,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flagellum shows a 9 + 2 structure. In particular, taxonomically important some charateristics of sperm morphologies of two species in the family Veneridae are acrosomal morphology of the sperm, The axial filament is not found in the acrosome as seen in a few species of the family Veneridae in the subclass Heterodonta. The acrosomal vesicle is composed of right, left basal rings and the apex part of the acrosomal vesicle. In particular, right and left basal rings show electron opaque part (region), while the apex part of the acrosomal vesicle shows electron lucent part (region). These charateristics belong to the subclass Heterodonta, unlikely a characteristic of the subclass Pteriomorphia showing all part of the acrosome being composed of electron opaque part (region). Therefore, it is easy to distinguish the families or the subclasses by the acrosomal structures.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of S. purpurata and M. petechialis in Veneridae are five. However,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midpiece of the sperm in most species of Veneridae in the subclass Heterodonta are four. Therefore, the number of mitochondria of the sperm midpiece of two species are exceptionally 5, and it is only exceptional case in the species in Veneridae in the subclass Heterodonta. Except these cases,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sperm midpiece in all families in the subclass Heterodontaare are 4, and now widely used in taxonomic analyses.

Ultrastructure of the Testis and Germ Cell Development During Spermatogenesis in Male Crassostrea gigas (Bivalvia: Ostreidae) in Western Korea

  • Kim, Jin-Hee;Chung, Ee-Yung;Choi, Ki-Ho;Lee, Ki-Young;Choi, Moon-Sul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5-244
    • /
    • 2010
  •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estis and spermatogenesis of Crassostrea gigas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The testis is a diffuse organ consisting of branching acini containing differentiating germ cells in a variety of stages. The acinus is surrounded by an intermitent layer of myoepithelial cells andis divided into subcompartments that are partially separated by pleomorphic accessory cells which remain in close contact with germ cells until late stages of development. these accessory cells contain a large quantity of glycogen particles and lipid droplets in the cytoplasm.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y are involved in the supplying of the nutrients for germ cell development, while any phenomena associated with phagocytosis of undischarged, residual sperms by lysosomes could be find in the cytoplasm of the accessory cells. The morphology of the spermatozoon has a primitive type and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bivalves. Mature spermatozoa consist of broad, cap-shaped acrosomal vesicle, subacrosomal material (containing axial rod embedded in a granular matrix), a oval nucleus showing deeply invaginated anteriorly, two triplet substructure centrioles surrounded by four spherical mitochondria, and satelite fibres appear to the distal centriole and plasma membrane. Spermatozoa of C. gigas resemble to those of other investigated ostreids. In particular, the anterior region of the acrosomal vesicle is transversely banded. It is assumed that differences in this acrosomal substructure are associated with the inability of fertilization between the genus Crassostrea and other genus species in Ostreidae. Therefore, we can use sperm morphology in the resolution of taxonomic relationships within the Ostreidea. The spermatozoon is approximately $42-47{\mu}m$ in length including an oval sperm nucleus (about $0.91{\mu}m$ in length), an acrosome (about $0.42{\mu}m$ in length) and tail flagellum ($40-45{\mu}m$).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flagellum consists of nine pairs of microtubules at the periphery and a pair at the center. The axoneme of the sperm tail shows a 9 + 2 structure. These morphological charateristics of acrosomal vesicle belong to the family Ostreidae in the subclass Pteriomorphia.

낙동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자치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Larval Acanthogobius flavimanus from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최희찬;조정현;허성회;박주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50-158
    • /
    • 2019
  • 낙동강 하구역에 서식하는 문절망둑 자치어의 식성을 밝히기 위해 2011년 2월부터 4월까지 RN80 네트를 이용하여 채집하였고, 그 중 260개체를 해부현미경을 이용하여 장내용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문절망둑 자치어는 요각류와 유종섬모충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그 외에도 갯지렁이 유생, 거구목(편형동물), 이매패류 유생, 윤충류, 따개비 유생, 규조류 등을 섭식하였다. 문절망둑 자치어는 시간대별로 다른 섭식강도를 보였는데, 18~19시 사이에 가장 높은 섭식참여율 보였고, 개체당 먹이생물 개체수는 18~01시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성장에 따른 문절망둑 자치어의 식성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발생단계(3단계: 전기, 중기, 후기자어) 별로 먹이생물을 분석한 결과, 전기자어 시기에는 유종섬모충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중기자어기에는 요각류, 후기자어 시기에는 갯지렁이 유생을 주로 섭식하였다. 문절망둑 자치어의 먹이생물의 평균크기는 성장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개체당 평균먹이생물 평균 개체수와 평균 부피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먹이생물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먹이 섭식 폭 지수는 중기자어 시기까지는 증가하다가 후기자어에 들어 급격히 감소하였다.

유독 와편모조류 Alexandrium pacificum의 조기 탐지를 위한 이매패류 패각운동 생물모니터링 시스템 연구 (Bio-monitoring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Toxic Dinoflagellate Alexandrium pacificum Using the Shell Valve Movements of Bivalves)

  • 정수용;김대현;오석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3호
    • /
    • pp.979-989
    • /
    • 2022
  • 본 연구는 유독 와편모조류 Alexandrium pacificum의 조기 감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홀 소자 센서(Hall element sensor)를 활용하여 진주담치(Mytilus edulis)와 참굴(Crassostrea gigas)의 패각운동(shell valve movements, SVMs) 변화를 살펴보았다. 무독성 조류 Isochrysis galbana에 대한 SVMs는 M. edulis와 C. gigas에서 모두 증감이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마비성 패독(paralytic shellfish poisoning, PSP)을 유발하는 A. pacificum에 노출됨에 따라 M. edulis와 C. gigas는 폭로 전후로 약 12시간 동안 평균 SVMs가 각각 1.25 times/hr에서 2.13 times/hr 그리고 2.23 times/hr에서 8.91 times/hr로 증가하였다. M. edulis는 A. pacificum에 노출되고 1시간 이내에 SVMs가 증가한 뒤 점차 감소한 추세를 보였지만, C. gigas는 노출 후 4시간까지도 높은 SVMs를 보여, C. gigas가 M. edulis보다 유독 와편모조류에 대한 민감성이 높은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은 유독 와편모조류 A. pacificum의 출현 시 조기 감지를 할 수 있는 생물모니터링 시스템 체계 구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