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RD COMMUNITY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19초

길동자연생태공원에서 조류의 군집 특성과 서식지 이용 현황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e in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 김정수;문길동;구태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29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bird community and habitat using condition in the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from April 2001 to March 2002. In this study, 63 species and 2,075 individuals were observed respectively.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adoxornis webbianus(33.6%), Emberiza elegans 18.5%), Parus major(6.4%), Pica pica(6.0%), and the diversity of the species was 2.511. With migration, the highest number and percentage to the lowest was residents, summer visitors, winter visitors and passage migrants. Among 17 species which bred in the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hole(H) was 47.1%, canopy(C) was 41.1% and bush(B) was 11.8% in their nesting guilds. In foraging guilds in breeding season was canopy(c) was 45.7%, water(w) was 23.9% and bush(c) was 15.2%, and, in non-breeding season, canopy was 43.5%, water 23.9% and bush 21.7%. For the habitats of the birds in the Gildong natural cological park, reservoir area was used by herons, ducks and sandpiper, wetland area was used by Lanius bucephalus, Paradoxornis webbianus and buntings, grassland area was used by Paradoxornis webbianus and buntings, and forest area was used by Streptopelia orientalis, woodpeckers and tits.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birds observed in the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was higher than other urban parks. We suggest that this was attributed to different habitats such as reservoir, wetland, grassland and forest area constructed in the Gildong natural ecological park.

Bibosoop: A Unique Korean Biotope for Cavity Nesting Birds

  • Park, Chan-Ryul;Shin, Joon-Hwan;Lee, Do-W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2호
    • /
    • pp.75-84
    • /
    • 2006
  • In Korea, a bibosoop is a type of village grove fostered to complement a weak part of the village from a Feng-Shui perspective.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ies in remaining bibosoops in two regions, Gyeonggi-do Province and Jeollanam-do Province. We surveyed patch preferences of birds at two landscapes in Gyeonggi-do Province. One contains a bibosoop with other rural landscape elements, and the other does not have a bibosoop. The two landscapes of Gyeonggi-do Province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distribution of landscape elements. We observed that species rich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site with a bibosoop, and that tits, Mandarian ducks, starlings, Eurasian scops owls, and woodpeckers utilized the bibosoop as a nesting site. Birds preferred the landscape with the bibosoop, and the internal movement of birds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landscape with the bibosoop than at the o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bibosoops serve as a unique biotope that provides nest sites for cavity nesters, especially near nest-insufficient forests, and enhance the internal movements of birds among patches in the landscape.

농촌 경관에서 파편화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agmentation on the Bird Community in Agricultural Landscapes)

  • 박찬열;이우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2-33
    • /
    • 2002
  • 농촌 경관에서 파편화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성덕리와 항금리 두 지역에서 수종 구성과 산림환경구조, 농촌 경관의 구조, 조류상 및 조류 군집의 길드 구조를 분석하였다. 성덕리 지역은 항금리 지역보다 수종의 종 수와 흉고직경 6~10cm 임목의 헥타당 밀도는 높았으나, 흉고단면적은 낮았다. 2m 이하와 12mn 이상의 엽층에서 피도량은 성덕리 지역보다 항금리 지역에서 높았다. 한편 성덕리 농촌 경관은 12개의 조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낙엽송과 아가시 나무의 점유 비율이 높았다. 항금리는 11개의 조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리기다소나무, 밤나무, 낙엽송, 논의 점유 비율이 높았다. 두 지역에서 조류의 우점종은 동일하였으나 항금리 지역에서 36종으로 나타나 성덕리 20종보다 훨씬 많았다. 여름철새의 비율은 도로에 의해 파편화가 진행되지 않은 항금리에서 높았다. 수동, 관목층. 지면 영소길드와 물가, 관목, 지면 채이길드의 종 수 및 서식밀도는 항금리 지역에서 높았다. 도로에 의한 파편화가 진행되지 않은 항금리 농촌 경관에서 인간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고 중, 대경급 임목이 생육하여 수동 영소길드 종 수 및 서식밀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2m 이하 하층 피도량이 높고 논, 밭, 계류 조각이 28.4%를 차지하는 항금리 경관은 관목층과 지면 길드 및 물가 채이길드의 종 수 및 밀도를 높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도로는 농촌경관에서 이질적인 조각을 점유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교란을 쉽게 유도하여 농촌 경관의 생물 서식지의 다양성을 줄이고 가장자리 효과를 감소시켰다고 판단된다.

시화호 조력발전소 가동 전·후 조간대 복원과 수조류와의 관계 (The Intertidal Restoration and Relationship with Water birds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Sihwa Lake Tidal Power Plant)

  • 박치영;김호준;백인환;진선덕;백운기;이준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0-327
    • /
    • 2016
  • 2012년 시화호 조력발전소가 가동됨에 따라 조간대가 복원되었다. 복원 후 물새 분류군별 개체수 변동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조사가 수행되었다. 복원 전 배수갑문 운영시 조간대 면적은 $5.3km^2$에서 복원 후 $20.3km^2$로 늘어났다. 전체 조류개체수 군집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6개 분류군별 개체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잠수성 오리류(p=0.237)를 제외한 백로류(p<0.001), 고니기러기류(p<0.01), 수면성오리류(p<0.001), 도요물떼새류(p<0.001) 갈매기류(p<0.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시화호 조간대는 복원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지만 환경 및 저서생태계의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간대 지역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사라졌던 조간대가 다시 복원된 유례가 없는 사례이며 향후에는 유사한 환경에서의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대안의 한 방법으로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낙동강 하류 권역별 조류군집의 특성 (Regional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Nakdong River Basin)

  • 홍순복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5호
    • /
    • pp.269-281
    • /
    • 2004
  • 본 연구는 2003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낙동강 하류지역에 도래하는 조류를 지역별로 구분하여 도래현황과 서식지 환경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낙동강 하류에서 총 114종 94,481개체가 관찰·기록되었다. 이 중 종수와 개체수에서 대마등(Ⅰ)이 55종 21,781개체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는데 낙동강 하류의 전지역 중에서 대마등과 주변의 갯벌이 채식지와 휴식지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류군집의 특성에서, 논병아리류는 하구언 아래(을숙도)지 역, 가마우지류는 수심 이 깊은 낙동강 본류와 서낙동강의 주변, 고니류와 혹부리오리 및 도요·물떼새는 하구언 하단부의 수심이 얕은 갯벌,수면성 오리류는 서낙동강(F)과 염막(C)지역, 잠수성 오리류는 비교적 수심이 깊고 서식 여건을 갖추고 있는 하구언 상단부와 서낙동강의 녹산수문 상단부를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기타 산새류는 염 막(C)과 을숙도(A) 및 서낙동강(F)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것은 을숙도 쓰레기 매립장의 인공 식재림, 일웅도의 유휴지와 염막으로 연결되는 지역으로 물새와 함께 일반 조류들의 서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낙동강 하류지역은 낙동강 하구와 주남저수지의 사이에서 오리 기러기류의 채식지 및 휴식지로서 중요한 지역이지만 계속해서 개발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지역 중의 한 곳이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는 수변지역으로는 대저수문지역(E), 서낙동강(F)의 녹산수문 상단부와 경작지로서는 염막(C)지역으로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자연적인 서식지를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철저한 관리가 요망되는 지역으로 판단된다.

주왕산국립공원내 야생조류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Wildbirds in Chuwangsan National Park)

  • 이우신;박찬열;조기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3-192
    • /
    • 1995
  • 본 연구는 주왕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 조류군집을 파악하고, 이의 보호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2개의 조사구역을 선정하고, 1994년 봄, 여름, 가을에 걸쳐 야생 조류 군집을 선조사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관찰된 야생조류는 총 42종으로, 봄에는 33종, 여름에는 32종, 가을에는 26종이 관찰되어 온대 조류군집의 전형적인 형태를 보였으며, 천연기념물 및 희귀 조류는 검독수리, 붉은배새매, 수리부엉이, 큰오색딱다구리 등 7종이었다. 번식기 영소길드는 종 수에 있어서는 수관층 영소길드가 높았으나 ha당 서식 밀도는 수동 영소길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채이길드는 봄, 여름에는 수관층 채이길드가 우점하였으나 가을에는 관목층 채이길드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찰된 천연기념물 및 희귀 조류의 서식지는 자연보존지구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여 이들의 보호를 위해서는 이들 조류의 계속적 연구와 보호.관리가 필요하며 자연보존지구의 재설정 및 이 지역의 철저한 보호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관목층 길드의 보호를 위해서 등산로 주변에 관목을 조성하거나 등산객의 통제가 필요하며, 겨울의 야생조류 관리를 위하여 먹이 식물을 식재하거나 인공먹이를 제공하고, Cover자원을 위해서 관목층, 인공새집의 제공이 필요하다. 최근 야생 고양이의 피해가 증가되고 있으므로 이의 철저한 구제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조류 조사 방법으로써 생물음향 녹음과 현장 조사의 비교 - 제주 동백동산과 1100고지 습지를 대상으로 - (A Comparison of Bioacoustic Recording and Field Survey as Bird Survey Methods - In Dongbaek-dongsan and 1100-altitude Wetland of Jeju Island -)

  • 최세준;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27-336
    • /
    • 2023
  • 본 연구는 야생조류 생물음향 탐지와 현장 조사의 결과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야생조류 조사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제주 동백동산과 1100고지 습지였다. 생물음향 탐지 기간은 2020년 12개월간이었다. 생물음향 탐지는 시간당 1분씩, .wav, 44,100Hz 포맷으로 생물음향 측정장비(Song meter SM4)를 각 연구대상지에 설치하여 녹음하였다. 현장 조사는 Banjade et al. (2019)의 「제주 동백동산과 1100고지 습지의 조류군집 장기간 동향」 결과를 인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생물음향 탐지 기법을 통해 확인된 조류상은 동백동산에서 29과 46종, 1100고지 습지에서 16과 25종이었다. 두 번째, 울음 빈도를 통해 나타난 종 구성은 동백동산에서 직박구리(33.62%), 섬휘파람새(12.13%), 동박새(9.77%) 순으로 나타났고, 1100고지 습지에서 큰부리까마귀(27.34%), 섬휘파람새(19.43%), 직박구리(16.56%) 순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동백동산에서 실시한 현장 조사의 경우 2009년 39종, 2012년 51종, 2015년 35종, 2018년 45종이 조사되었고,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46종이 확인되었다. 1100고지 습지에서 실시한 현장 조사의 경우 2009년 37종, 2012년 42종, 2015년 34종, 2018년 38종이 조사되었고,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25종이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현장 조사를 통해 동백동산에서 확인된 78종 중 43.6%인 34종, 1100고지 습지에서 확인된 47종 중 38.3%인 18종이 생물음향 탐지로 확인되었다. 네 번째, 현장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았지만,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확인된 종은 동백동산에서 9과 12종, 1100고지 습지에서 3과 7종으로 대표적으로 소쩍새, 솔부엉이와 같은 야행성 조류, 쇠유리새, 울새와 같은 나그네새, 도래하는 개체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황여새, 솔잣새와 같은 겨울철새가 있다. 다섯 번째, 현장 조사에서 확인된 종 중에서 생물음향 탐지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종은 동백동산에서 18과 48종, 1100고지 습지에서 14과 27종으로 대표적으로 백로과, 수리과, 솔딱새과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물음향 장비 운용을 통한 조류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현장 조사와 생물음향 탐지를 병행했을 때 효과적인 조사를 실시할 수 있다는 기초 자료를 작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Waste-to-Energy and Landfill Gas Utilization Potential in Indonesia

  • Yurnaidi, Zulfikar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3-320
    • /
    • 2009
  • Indonesian Ministry of Environment estimates that each year 170 cities and regencies in Indonesia produce 45,764,354.30 $m^3$ or approximately 11,441,091.08 ton of solid waste. Unfortunately, un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has created a severe waste problem, hazardous to health and environment.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and offers some solutions. They are 3R (Reduce Reuse and Recycle), waste-to-energy concept and landfill gas (LFG) utilization. While 3R policy has been adopted by the government, the remaining two technologies are still dormant. Thus the paper provides a complete yet compact analysis of technology, economics, and environment aspect of waste-to-energy and LFG. Given the facts of waste production and management in Indonesia, the purpose is to encourage Government of Indonesia and other stake holders (including international community) to explore and exploit this potential. Potential of reducing waste negative externality while receiving extra revenue. Two bird with a stone.

  • PDF

Tree Species Preference and Inter-specific Difference of Foraging Maneuver, Trees and Location among Four Canopy-dwelling Birds at High-elevation 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Mt. Jumbongsan

  • Park, Chan-Ryu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9권1호
    • /
    • pp.41-4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tree species preference and inter-specific difference of foraging behavior among four canopy-dwelling birds at forest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Acer pseudosieboldian and Carpinus cordata at 1,000 meters above sea level during breeding season of birds from 1995 to 1997 in Mt. Jumbongsan. Breeding birds were about 25 species and dominant birds were Erithacus cyane, Parus ater and Parus palustris. A relatively high number of bush-nesters can be a characteristic of breeding bird community at study area. Three gleaners (Tits, P. varius, P. palustris and P. ater) selectively preferred the trees irrespective of dominant tree species, whereas bark foragers (Nuthatch, Sitta europaea) utilized the dominant trees. The four birds showed significant inter-specific difference in use of foraging location, but the three tits did not show significant inter-specific difference in use of foraging maneuver and trees. Closely related tits may coexist with each other by inter-specific different use of foraging location determined by foliage structure and leaf arran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