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GIS Integra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BIM과 GIS 통합을 위한 건물 외곽 폴리곤 기반 Georeferencing (Georeferencing for BIM and GIS Integration Using Building Boundary Polygon)

  • 좌윤석;이현아;김민수;최정식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0-38
    • /
    • 2023
  • Building Information Models(BIM) provides rich geometric and attribute information throughout the entire life cycle of a building and infrastructure object, whil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enables the detail analysis of urban issues based on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 support of decision-making. The Integration of BIM and GIS data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digital twin of the land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smart cities. In the perspective of integrating BIM data into GIS systems, this study performs literature reviews on georeferencing techniques and identifies limitations in carrying out the georeferencing process using attribut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bsolute coordinates probided by Industry Foundation Classes(IFC) as a BIM standard.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an automated georeferencing process is proposed as a pilot study to position a IFC model with the Local Coordinate System(LCS) in GIS environments with the Reference Coordinate System(RCS). An evaluation of the proposed approach over a BIM model demonstrate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xpected to be a great help for automatically georeferencing complex BIM models in a GIS environment, and thus provides benefits for efficient and reliable BIM and GIS integration in practice.

지방자치단체에 BIM/GIS 통합 플랫폼 적용을 위한 SOC 시설물 우선순위 선정방안 (Prioritizing SOC Facilities for Applying BIM/GIS Integrating Platform to Local Governments)

  • 윤준희;이우식;최현상;강태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5호
    • /
    • pp.7-14
    • /
    • 2013
  • 최근,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계획부터 유지관리까지 SOC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 단계에 걸쳐 적용되고 있다. BIM이 시설물의 내부 공간 분석에 초점을 맞춘 도구인 반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시설물 간의 관계 분석에 주로 이용된다. 따라서 BIM 과 GIS를 통합한다면, SOC 시설물의 효과적인 정보관리와 다양한 해석이란 측면에서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에 BIM/GIS 통합플랫폼을 적용하기에 적합한 SOC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방안을 다루고 있다. 첫째, 법에서 규정하는 시설물을 분석하고, 이 중 SOC 성격에 맞는 시설물을 설정한다. 둘째, 각 SOC 시설물에 대한 BIM/GIS 통합 플랫폼의 적용성 및 효용성을 분석한다. 적용성 및 효용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UIS 관리대상 측면과 GIS 분석기능 측면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BIM/GIS 통합 플랫폼 적용을 위한 SOC 시설물의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BIM과 GIS의 효율적인 상호운용을 위한 플랫폼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tform Design for Efficient Interoperability of BIM and GIS)

  • 황정래;강혜영;홍창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99-107
    • /
    • 2012
  • 최근 건설데이터를 활용하는 BIM과 공간데이터를 활용하는 GIS 간의 통합 및 연계를 시도하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BIM과 GIS의 데이터모델이 서로 너무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두 데이터모델 간의 통합을 통한 상호운용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과 GIS의 효율적인 상호운용성을 시스템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BIM과 GIS 상호운용 플랫폼을 설계하여 제시한다. 그리고 기존의 상용 소프트웨어들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플랫폼에 필요한 요소기술과 기능들을 정의하여 제시한다.

IFC 기반 GIS와 BIM 프로젝트 통합관리 및 상호 운용성 강화 (Enhancing Project Integration and Interoperability of GIS and BIM Based on IFC)

  • 김태희;김태현;이용창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4권1호
    • /
    • pp.89-102
    • /
    • 2024
  • 최근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트윈 기술의 발전으로 GIS와 BIM의 융합이 도시 계획 및 건설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융합은 정보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보장하여 원활한 정보 교환에 기여하지만,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표준화와 프로젝트 통합 관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IFC 기반 프로젝트의 통합 관리를 위한 GIS와 BIM의 상호운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최신 IFC4 버전을 기준으로 IFC 스키마와 데이터 구조를 심층 분석하고, 기준점 좌표 및 좌표계의 일관성을 확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형도에서 사용하는 EPSG:5186 좌표계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가상이동원점 좌표를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BIMvision을 통해 BIM 모델의 형상과 오류 점검 좌표의 이동 결과를 검토한 결과, 기준점 좌표가 이동된 만큼 오류 점검 좌표도 일관되게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네이버지도 및 도로명주소에서 사용되는 EPSG:5179와 카카오맵에서 사용되는 EPSG:5181로 좌표계를 변경해도 BIM 모델의 형상과 좌표가 변형 없이 일관되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IFC 파일에 EPSG 코드 정보를 입력하여 프로젝트 간 좌표계 연동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GIS와 BIM의 정보 공유, 자동화 프로세스, 협업 강화, 지속 가능한 개발 등을 위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소프트웨어 플랫폼 간 호환성을 높이고, 여러 프로젝트에서 정보 일관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M과 GIS 데이터 융합을 통한 실내외 3차원 모델 위치보정 방안 연구 ((A) study on location correction method of indoor/outdoor 3D model through data integration of BIM and GIS)

  • 김지은;홍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62
    • /
    • 2017
  • 최근 3차원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국토교통부, 서울시, 다음 카카오 등 여러 지자체 및 관련 업계에서 서비스를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지도 기반의 3차원 공간정보서비스에서 위치정확도는 특정 업무의 활용 가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BIM 데이터는 상대좌표값으로 작성되어 절대좌표값을 갖는 GIS 데이터와 연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BIM/GIS 플랫폼 기반 모델링 데이터 구축을 통해 실내외 3차원 공간정보 간의 위치보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플랫폼 테스트베드 대상을 선정한 후 데이터 구축 프로세스를 총 3단계로 진행하고, 실내공간정보를 다루는 BIM 모델과 실감형 가시화를 위한 정사영상 기반 3차원 텍스처링 모델 간 위치 불일치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위치보정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단일 건물을 대상으로 상대좌표 기반의 BIM 모델 데이터를 절대좌표 기반의 텍스처링 데이터와 연계하기 위해 절대좌표 변환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건물의 절대위치를 1차 계산하고 BIM/GIS 플랫폼 지도상에서 텍스처링 데이터와 2차 매핑하여 3차원 모델 데이터의 최종 위치를 보정하였다.

웹기반 GIS 플랫폼 상 가시화 처리를 위한 대용량 BIM 데이터의 경량화 알고리즘 제시 (A Study on Light-weight Algorithm of Large scale BIM data for Visualization on Web based GIS Platform)

  • 김지은;홍창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41-48
    • /
    • 2015
  • BIM 기술은 기존 2D 기반 도면처리에서 나아가 3D 모델링을 통한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성상 하나의 건물은 그 데이터의 방대한 양으로 엄청난 크기의 파일을 생산한다. 대표 표준포맷인 IFC가 그 예로, 객체 기반의 형상정보 및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상당한 데이터를 포함한 대용량 처리에 대한 이슈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는 렌더링 속도를 증가시키고, 그래픽 카드 용량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화면 가시화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대용량 데이터의 경량화 문제는 프로그램의 프로세스와 품질 측면에서 필수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및 해외 연구사례에서 경량화에 관련된 다양한 시도를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대용량 BIM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컨트롤하고 가시화하기 위해, BIM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경량화 기법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이는 웹 기반 GIS 플랫폼 상에서 대용량 시설물 데이터를 운용하는데, 최적의 시설물 유형을 분석하고 객체 기반의 IFC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여 사용자 측면에서 화면전환의 품질을 확보하고 프로세스 측면에서 효과적인 메모리 운영을 확인하였다.

실시간 도로 환경 정보 모니터링을 위한 USN 테스트베드 구축 (An USN Test Bed Construction for Real Time Monitoring of Road Environment Information)

  • 강진아;김태훈;배명남;나준엽;홍창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80-192
    • /
    • 2013
  •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은 유비쿼터스, 스마트 환경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출현시켰으며, USN 기술은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 및 적용에 적합한 대표적인 기술이다. 본 논문은 USN 기술을 도시에 적용 검증하기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과 적용 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USN 기술의 공공부분 수요 창출을 위하여 지리정보체계(GIS) 및 시설물관리(FM) 등과 융합하여 도로 위험구간모니터링 서비스 구현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실제 적용을 위해, USN 장치 제작 및 현장 설치, 관련 규정 조사, 설치 가이드라인 작성, 시스템 구축 및 실시간 연동 테스트 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 내용을 도로에 적용하면 도로 공공시설물 관리, 도로 사고 실시간 감시 및 주변 환경 데이터 실시간 모니터링 등 많은 응용이 가능하며 향후 시설물 인프라의 BIM과 접목하면 3차원 시설물관리까지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건물 내 재실자 감지 및 시각화를 위한 딥러닝 모델 - 증강현실 및 GIS 통합을 통한 안전 및 비상 대응 개선모델 프로토타이핑 - (Deep Learning-Based Occupancy Detection and Visualization for Architecture and Urban Data - Towards Augmented Reality and GIS Integration for Improved Safety and Emergency Response Modeling -)

  • 신동윤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9-36
    • /
    • 2023
  •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utilizing video-based data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o estimate the number of occupants within a building.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developing a sophisticated count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tracking individuals' entry and exit patterns. The proposed method demonstrates promising results in various scenarios; however, it also identifies the need for improvements in camera performance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lighting. The study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incorporating machine learning in architectural and urban planning applications, offering valuable insights for the field. In conclusion, the research calls for further investigation to address the limitations and enhance the system's accuracy,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 more robust and reliable solution for building occupancy estimation.

ICT 융합 지자체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개발 (Development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ies Merged Municipal Government Bridge Maintenance System)

  • Yun, Youngma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76-482
    • /
    • 2017
  •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교량에 대해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유지관리 표준안과 정량화된 데이터기반을 통한 예산확보 및 집행의 과학화를 위해 지자체관리용 교량 유지관리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자체에서 유지관리하고 있는 소규모 교량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하며 BIM/GIS기술 등의 ICT융합기술을 사용하였다. 시스템개발의 세부내용으로는 모바일 기기용 소규모 교량 유지관리 프로그램 개발, 소규모 교량 유지관리 데이터베이스 개발, 소규모 교량 통합유지관리 개발이며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소규모 교량의 테스트베드 구축 및 운영내용을 확인하여 개발한 프로그램 시스템의 신뢰성을 얻었다. 개발된 프로그램 시스템을 무전원방식의 교량 스마트 명판제작 및 Reader모듈 개발로 연계하였다.

공간정보로서의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nk of Building Information and Cadastral Information as Spatial Information)

  • 김창환;이원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93-103
    • /
    • 2014
  • 공간정보로서의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관하여 선행 연구자료를 살펴보면 지적도와 건축물대장과의 연계나 토지와 2D기반 건물도면의 통합에 관한 연구가 제시된 바 있다. 지적정보는 지적재조사, 지적확정측량 등의 사업으로 인하여 그 정보로서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건물에 관한 정보는 설계분야에서 2D에서 단순한 외형적 3D 데이터가 아닌 BIM으로 전환되는 시기를 맞아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 맞는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에 대한 연구가 미약한 실정이다. 국제 BIM표준에 관한 동향을 살펴보면 IFC4에서 개선된 기능 중에 하나는 GIS와의 상호운용이 가능해졌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적정보와 건물정보의 연계를 위해 각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적정보는 데이터의 품질제고가 필요한데 다원화된 좌표계를 통일화, 개별지적도를 연속지적도화하도록 우선적으로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건물정보는 국내 공공 및 민간분야에서 BIM의 표준화가 시급한데 국제표준인 IFC4로의 빠른 도입과 앞으로 개발될 예정이 IFC5까지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이고, BIM화 되어있지 않은 기존의 건축물에 대하여 BIM 역설계가 공공의 활용면에서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