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 model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27초

시공단계 활용을 위한 BIM모델의 표현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Level of BIM Model for utilizing in Construction Phase)

  • 노혜라;윤석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53-254
    • /
    • 2016
  • In the trend of building enlargement, high-rise and irregular shaped building, domestic application of BIM in construction phase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BIM that is based on a three-dimensional, requires a specific building expression. Model expression level required for each phase such as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can be different. BIM model to apply in practice is difficult because it is not clear to set up the criteria for the expression level of construction BIM model. And it has a limit that is lower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s the way of the improvement and analyzes the application for representation level of construction BIM model through the survey. By analyzing of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will be to present a basis for an appropriate expression level setting of construction BIM model.

  • PDF

BIM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검토항목의 룰 개발 - 국내 BIM 지침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Rule for Quality Checking Items to Raise Quality of BIM Model -Focusing on the Domestic BIM Guidelines-)

  • 송종관;주기범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31-143
    • /
    • 2013
  • BIM 지침을 통해 기본적인 모델링 기준을 제공하고 있지만, BIM 모델링 업무를 수행하는 참여자 별로 기준이 상이하고 BIM 모델의 활용목적에 따른 적용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BIM 적용 지침에 대한 이행여부의 평가는 BIM 모델의 활용목적에 따른 품질을 만족시키기 위한 중요한 절차이다. 하지만 지침에 따라 작성된 BIM 모델의 검토항목 및 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BIM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 BIM 지침의 BIM 기반 품질검토 항목을 도출하고 자동 품질검토 수행을 위한 룰 정의서를 제시한다. 먼저 국내 BIM 지침을 분석하여 품질검토 항목을 도출하고 플로우차트 및 의사코드를 활용한 구조화를 통해 룰 정의서를 작성한다. 작성된 룰 정의서를 기반으로 사례적용을 실시하여 자동 품질검토 과정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3차원의 방대한 데이터를 포함한 BIM 모델의 설계품질과 완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향후 활용목적에 따른 BIM 지침의 개발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BIM모델의 품질검토를 위한 구체적인 절차나 기준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한 토목공사 생애주기 BIM 모델의 신뢰성 확보 방안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to Verify Reliability of Life Cycle BIM Model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

  • 이재희;문현석;강인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16-124
    • /
    • 2021
  • 건설공사의 설계 및 시공단계에 BIM 모델의 활용성이 증대되면서 유지관리단계의 BIM 활용성 증대도 예상되고 있다. 유지관리단계에는 이미 작업이 완료된 설계 및 시공단계에 생성된 BIM 객체들을 사용하게 되므로, 활용하는 BIM 객체가 설계단계에 제작된 인증 모델인지 신뢰도 검증이 필요하다. 특히 철도시설물과 같이 토목, 건축, 전기, 신호, 궤도 등 다양한 공정과 기관으로 구성된 BIM 활용 프로젝트에서는 BIM 모델의 신뢰도가 더욱 중요도를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지관리단계에서 사용하는 BIM 모델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블록체인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BIM에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블록의 구조와 상세 프로세스를 구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실제 시설물의 BIM 모델에 적용하여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블록체인 기술이 BIM 모델의 신뢰도 확보를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설계 초기 단계에서 BIM 모델과 물리적 모델의 상호작용 방안 (Interaction between BIM Model and Physical Model During Conceptual Design Stage)

  • 이인근;김성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4호
    • /
    • pp.344-350
    • /
    • 2013
  •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효율적인 디자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지오메트리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중요한 의사결정은 지오메트리에 대한 효율적 분석이 가능한 BIM모델 보다는 여전히 대화나 물리적 모델, 제스처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논문은 실시간 BIM분석을 위한 BIM 모델과 물리적 모델의 연동을 제안한다. 두 모델이 실시간으로 연결되는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통해 건축가는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 부터 BIM 모델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프레임워크는 건축가들이 설계 초기 단계에서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컴퓨터의 기술을 활용한 동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BIM과 GIS간 정보상호운용을 위한 외부 BIM 참조 모델 제안 (The External BIM Reference Model Suggestion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BIM and GIS)

  • 강태욱;홍창희;황정래;최현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91-98
    • /
    • 2012
  • 본 연구는 BIM과 GIS간 상호운용성을 위해 외부 BIM 참조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BIM과 GIS간 상호운용성과 관련된 연구 현황과 유즈케이스들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상호운용성 지원을 위한 CityGML 모델 확장을 위해 IFC와 CityGML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IFC로부터 CityGML로 맵핑하는 규칙을 정의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 외부 BIM 참조 모델을 제안하였다.

시공단계 BIM모델의 적정표현수준 정의를 위한 기초 연구 (A Study for the Optimal Expression Level Definition of BIM Model in Construction Phase)

  • 노혜라;김지윤;이다운;윤석헌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378-388
    • /
    • 2016
  • As the needs for the mega-sized, high-rise and irregular shape of building increase, domestic application of BIM in construction industry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In this circumstance, interests in BIM modeling and modeling detail level have been also increased. BIM that is based on a three-dimensions, requires a specific and precise building expressions. And model expression level required for each phase such as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could be different as its needs. Because that it is not clear to define the criteria for the expression level of construction BIM model, It is difficult to decide how detail and what to model is appropriate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IM model. It could be the reason why the productivity in construction project became lower and lower.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way how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BIM and analyze the appropriate representation level of construction BIM model through the experts' survey. The results of study could suggest the basis for an appropriate expression level of construction BIM model.

시공단계 BIM 활용을 위한 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 개발 - MEP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Model Requirements Checklist for Utilizing BIM in Construction Phase - Focused on the MEP -)

  • 김우진;박진호;차용운;현창택;한상원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22-31
    • /
    • 2019
  • 국내 외 건설공사에서 건물의 전 생애주기 동안에 발생되는 정보의 관리 및 통합이 가능한 BIM 적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BIM을 시공단계에 활용할 경우 공기단축, 재시공 감소, 협업능력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국내 BIM 지침서 정의수준 부족, 설계 기준의 미비 때문에 시공단계에 BIM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설계 단계에 비해 시공단계에서는 MEP 분야는 그 중요성이 훨씬 커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공단계의 MEP 분야에서 BIM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시공 BIM MEP 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하여 국내 외 BIM 지침서 및 시공 BIM이 적용된 민간 공공 공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지침서 및 사례를 토대로 작성객체 31개, 속성기준 31개, 총 62개의 시공 BIM 모델 요구조건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62개의 요구조건을 활용목적과 필요사항으로 구분하여 시공 BIM MEP모델 요구조건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체크리스트를 실무에서 활용한다면 시공단계 MEP BIM 모델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문적인 측면에서 시공단계 BIM 모델의 표준화된 지침서 개발에 활용될 기초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Scan-to-BIM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건축물 단위의 BIM 모델 생성 - 강원소방학교 BIM 모델링 실증을 중심으로 - (BIM Model Generation at Building Level using Automated Scan-to-BIM Process - Focused on Demonstration of BIM Modeling for Gangwon Fire Service Academy -)

  • 박준우;김재홍;김소현;이지민;최창순;정광복;이재욱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3-62
    • /
    • 2021
  •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can-to-BIM automation depends on the entire process from scanning of buildings, including indoor facilities and furniture, to generating BIM models. However, the conventional Scan-to-BIM process requires a lot of time, manpower, and cost for the manual generation of BIM models including indoor objects.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applied a Scan-to-BIM automation process using a deep learning model and parametric algorithm to an existing building, Kangwon Fire Service Academ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BIM model, after object data was extracted from the scan data, the data was corrected according to actual object-specific conditions. As a result, the accuracy of the BIM model created by the proposed Scan-to-BIM automation process was 91% compared to the actual area of the construction drawing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IM objects were automatically generated for 10 object classes.

건축 설계 BIM 모델의 시공단계 활용성 향상을 위한 BIM 운영 방안 제시 - 시공전단계 BIM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A Proposal for Using BIM Model Created in Design to Construction Phase - Case Study on preconstruction adopting BIM -)

  • 윤수원;김성아;최종문;금대연;조찬원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1-10
    • /
    • 2015
  • In order to apply the BIM technolog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during the life-cycle of project, it is important to deliver a accurate information on BIM from designer, and it should be used effectively at construction or maintenance stage. However, stakeholders have created a new BIM model at each phase in many practise adopting BIM, not used BIM generated in design stage. Because they have different purposes for using BIM, and deliver the BIM model without the sufficient explanation or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range of usable BIM in construction phase with analyzing clearly the BIM created in design phase, and determining the difference with required BIM in construction phas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 a method for construction c

BIM 기반 협업에서의 상호운용성 향상을 위한 설계정보의 확장방안에 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the Extension of Design Information to Improve Interoperability in BIM-based Collaborative Design Process)

  • 정재환;김진만;김성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5권1호
    • /
    • pp.25-34
    • /
    • 2015
  • In the initial step of BIM based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workloads are increased and the decision making process becomes more complex than those of the conventional design process. Technologies regarding distribution, exchange, classification, verification of BIM data are fundamental elements of construct environment for information sharing based on BIM. Interoperability of BIM model data is another issue to integrate BIM model. To improve interoperability in BIM-based collaboration, a model for utilizing formal&unformal design informations is suggested. Futhermore, Prototyping the model and practical test is conducted for advancement of data exchange making design data ric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