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 based information Management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4초

건축 부재 사용량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학습 모델 (An Artificial Intelligent based Learning Model for BIM Elements Usage)

  • 김범수;박종혁;한수희;김경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07-114
    • /
    • 2023
  • 본 연구는 건축 부재 사용량 예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학습모델을 설계 및 구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인공지능(Artifical intelligence : AI) 은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지만, 건축설계분야 데이터의 특수성 및 빅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해 현장 활용도가 매우 저조한 상태이다. 따라서 건축설계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건축 부재 단위의 AI문제를 발굴해 내었으며, 해당분야 데이터가 가지는 특이성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전처리 기법을 고안하였다. 고안된 전처리 기법을 토대로 인공지능 모델을 구현하였고, 구현된 인공지능 모델의 건축 부재 사용량 예측 정확도가 실제 산업에 사용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Information-based Smart Construction Management of High Rise Building Under the Complex Surrounding Environment in City Core Area

  • Liang, Haoqing;Li, Jian;Song, Weiqing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03-210
    • /
    • 2021
  • With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the increasing of buildings density in urban core areas result in the complexity of construction environment. High-rise landmark building is always preferred in the construction of urban core areas. Super high-rise buildings construction are facing construction management difficulties due to the complex working conditions and enormous building system, especially with the complex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urban core area, the construction management of super high-rise buildings in the area requires higher, refined and detailed standard. Based on a super high-rise project in a core area of Shanghai which has 370 m building height and 772,643 m2 building area, with complex surrounding environment, narrow construction site and many super-high-altitude crossing works. With the application of BIM technology, the Internet of Things, the LAN communication and other various intelligent mechanical equip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the efficiency and refine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are improved, ensuring the smooth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while effectively controlling the impact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IM/GIS 기반 도로 개략공사비 산정 프로토타입 연구 (Roadway Preliminary Cost Estimation Prototype based on BIM and GIS)

  • 박원영;강태경;이유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4-21
    • /
    • 2013
  • 완성된 도면과 시방서를 기초로 산출한 상세한 물량 정보를 토대로 상세 공사비를 예측하는 업무에 비해 도면과 시방서가 완성되기 이전 단계에서 시설제원이나 개략적인 설계 정보 등을 기초로 개략공사비를 예측하는 업무는 공사비 예측 업무 담당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고 객관성이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건설공사 초기단계에서의 사업비 예측 모델을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건설공사 개략공사비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BIM 및 GIS를 이용하여 사업 초기단계 개략적인 노선선정에 따른 개략공사비 추정에 있어 사례기반추론을 기반으로 사업비 예측의 정확성 향상과 업무 선진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고 객관적이면서 일관성 있는 개략공사비 예측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업무 투명성 측면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4D BIM 기반의 건설프로젝트 작업공간 계획 프로세스 (4D BIM based Workspace Planning Process i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 최병주;이현수;박문서;김현수;황성주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75-187
    • /
    • 2013
  • 건설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참여자들이 제한된 공간에서 각자의 작업공간을 차지하며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공간에 대한 부적절한 계획은 건설프로젝트의 생산성 감소, 작업 위험 증가 및 품질 저하 등의 문제로 이어지기 때문에 작업공간은 건설프로젝트에서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의 건설프로젝트 공사 계획 수립을 위한 방법들은 건설프로젝트에서의 작업공간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이지 못한 작업공간 계획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작업공간 간섭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4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기반의 작업공간 계획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세스는 각 작업공간의 특성과 공사수행계획을 반영하여 각 액티비티의 작업공간 점유상태를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생 가능한 작업공간 간섭을 발견한다. 또한 각 액티비티와 작업공간의 특성 그리고 공사수행계획 등을 고려하여 발견된 작업공간 간섭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관리자는 본 공사 수행 이전에 공사에 필요한 작업공간을 미리 계획함으로써 서로 다른 액티비티 작업공간 사이의 간섭을 예방하고 건설프로젝트에서의 불필요한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Virtual Reality Safety Training on Multiple Platforms

  • Bao, Quy Lan;Tran, Si Van-Tien;Nguyen, Truong Linh;Park, Chansi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87-1193
    • /
    • 2022
  • A construction site is a highly complex and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where hazardous areas are difficult to detect if workers lack sufficient knowledge and awareness. Thus, frequent worker safety training is required. Numerous studies on using virtual reality (VR) for safety training were published. While they demonstrate the potential for improving the skills necessary to avoid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y remain difficult to apply at actual construction sites. VR requires specialized hardware and software, limiting workers' access and restricting workers' participation in training sessions. As a result, this paper proposes multiple platforms for immersive virtual reality safety training (VRMP) based on Industry Foundation Classes (IFC) and web technologies such as immersive web (WebXR). The VRMP is compatible with mobile and desktop devices currently by workers and demonstrates scenario models familiar to workers. Also, it reduces development time by utiliz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s (BIM). Additionally, The VRMP collects data from workers in a virtual environment to assess each worker's safety level, assisting workers in effectively and comfortably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and raising their awareness. This paper develops a case study based on the VRPM in order to assess its effectiveness.

  • PDF

건물 골조수량 산출 시 BIM모델 기반 수량과 2D도면 기반 수량 차이 요인 분석 (Difference Factors Analysis of between Quantity Take-off Using BIM Model and Using 2D Drawings in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Frame)

  • 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1-662
    • /
    • 2023
  • 최근에 BIM을 여러 건설관리 활동에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3D모델 기반 견적은 3D모델의 속성 정보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 건축물을 2D 도면 기반으로 수량을 산출하는 소프트웨어와 Revit 소프트웨어로 생성된 3D 모델에서 추출한 수량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가지 방법의 산출한 수량의 차이는 거푸집이 가장 크고, 다음으로 철근과 콘크리트 수량 순으로 작았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3D모델에서 수량 추출이 수량산출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이 있고, 특히 거푸집의 경우 필요한 부분의 수량만 분리해 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철근수량은 부재별로 분리가 되지 않아 정확한 수량 비교와 차이 원인을 밝히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3D모델에서 수량산출에 필요한 수치정보만 가져오고 별도의 계산식을 적용하는 응용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빈집발생의 유형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Causative Factor of Vacant Houses - Focused o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

  • 임창일;나인수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3-29
    • /
    • 2020
  • The vacant houses commonly observed in urban aging a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signs of urban decline. Vacant houses are themselves vulnerable to security, and in particular, they are exposed to disasters due to poor management, which can accelerate the decline of the area.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area and analyze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ccurrence of vacant houses by type based on the data through the survey on the vacant houses in Incheon. This research analyze vacant house data survey so to characterized and categorized types of vacant houses. The criteria of vacant houses analysis are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 growth, aging extent. In conclusion there are four types of region in Incheon area according to housing types, hazard classes, building age and building areas. Type A is inner city, type B is mixed, type C is expandable and type D is unsular types.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건설관리 분야와 자동화기술간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between Construction Management Areas and Automation Technologies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 문성환;조규만;김태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91-192
    • /
    • 2019
  •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existing labor-intensive production system to a construction automation system using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ccordingly, in order to identify key research areas and utilization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automation, this study collected the latest 17 years (2000-2016) of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Symposium on Automation and Robotics in Construction (ISARC)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areas and automation technologies based on the keyword frequency. As a result, the BIM, WSN, and Augmented reality were extracted as the technology keywords with high correlation with various areas of construction management.

  • PDF

Integrating Deep Learning with Web-Based Price Analysis to Support Cost Estimation

  • Musa, Musa Ayuba;Akanbi, Temitop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53-260
    • /
    • 2022
  • Existing web-based cost databases have proved invaluable for construction cost estimating. These databases have been utilized to compute approximate cost estimates using assembly rates, unit rates, and etc. These web-based databases can be used independently with traditional cost estimation methods (manual methods) or used to support BIM-based cost estimating platforms. However, these databases are rigid, costly, and require a lot of manual inputs to reflect recent trends in prices or prices relative to a construction project's location.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integrated deep learning techniques with web-based price analysis to develop a database that incorporates a project's location cost estimating standards and current cost trends in generating a cost estimate. The proposed method was tested in a case study project in Lagos, Nigeria. A cost estimate was successfully generated.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results using current industry standard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d a 98.16% accur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was successful in generating approximate cost estimates irrespective of project's location.

  • PDF

IFC-BIM을 활용한 실내공기질 인증 요구정보 생성 자동화 (Automation of Information Extraction from IFC-BIM for Indoor Air Quality Certification)

  • 홍심희;여창재;유정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63-73
    • /
    • 2017
  •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새집증후군과 같은 문제들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실내공기질에 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따라 실내환경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 및 제도를 제정하였으며, 공공건물에서의 친환경제도 인증을 필수화하였다.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인증제도는 크게 3가지로 도면기반으로 인증을 평가하는 건강친화형 주택건설기준과 녹색건축인증 그리고 측정정보 기반으로 인증을 평가하는 실내공기질 인증이 있다. 이중 도면기반으로 인증을 평가는 제도들을 업무의 비중 대비 과도한 업무량이 요구된다. 친환경인증업무를 수행하는 한 회사의 인터뷰 결과 평균 업무비중보다 2배 이상의 소요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D기반의 작업환경에서 면적에 관한 정보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측정하여 필요이상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D기반의 BIM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평가 자동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국제표준 포맷인 IFC 파일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정보 및 자재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를 모델에 적용하여 자동화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인증을 위해 필요한 업무시간을 단축하고 업무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