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기준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BIM 적용사업 대상의 국내 발주문서 및 기준 간 연계전략 도출 - 싱가폴 요구사항 지시서 분석을 통한 국내 철도분야 BIM 전면설계 발주문서 활용방법 제안 - (Derivation of Linkage Strategies for Domestic Order Documents and Standards for BIM Application Projects - Proposing BIM Design Procurement Use Guides for Domestic Railway Field by Analyzing Singapore Requirements Documents - )

  • 정희건;김도영;홍창희;이재욱;문현석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26-35
    • /
    • 2023
  • Recently, mandatory BIM design has been enforced in the civil engineering field, focusing on public projects, and inducement measur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BIM by participating subjects are required. The BIM ordering documents mus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M project, current construction standards and law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omestic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ordering documents used in domestic and overseas civil engineering BIM projects to determine whether they meet the purpose of BIM. In the future, items that consider the existing heterogeneous data linkage and compatibility, the connectivity with the current construction guidelines and laws, the cost of the designer and the input personnel are prepared for the part that does not meet the BIM purpose. Furthermore, the written order documents are verified through interviews with experts who have experience in BIM projec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a consultation system strategy to prepare and present item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ype of project by client.

BIM 견적 작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업무 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Up Work Conditions for Improving Productiviyt of BIM-based Cost Estimation)

  • 김성아;박권;송병섭;최철호;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56-65
    • /
    • 2016
  • BIM 적용으로 인해 비용절감 효과를 얻은 사례가 많은 학회, 보고서, 세미나 등을 통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사례에서는 BIM을 적용하여 재작업 및 재시공방지와 같은 직접적인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작업시간 단축, 업무 생산성 향상과 같이 비용으로 환산할 수 없는 효과도 존재한다. 국내외 BIM 사용자들은 BIM 적용으로 인한 비용절감에 관한 잠재적인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BIM 적용으로 인한 뚜렷한 경제적 가치(ROI)가 드러나지 않고 있으며, 국내 BIM 사용자들도 경제적 성과에 대해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기 어려운 작업시간, 생산성 향상과 같은 BIM 적용 효과를 진단하고, BIM 적용 효과를 얻기 위해서 수반되어야 하는 것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 생애주기 동안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BIM의 적용효과를 견적분야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기존 견적과 BIM 견적에서의 작업시간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견적과 같이 BIM 견적에서 작업속도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무자들의 BIM 교육, 모델링 작업 기준, BIM 연동 내역서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BIM 데이터 입력기준 개발방안 : 건축 기계설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Method of BIM Data Modeling Guide for Facility Management : Focusing on Building Mechanical System)

  • 원지선;조근하;주기범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16-224
    • /
    • 2013
  • Facility data is created throughout the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But the most facility managers bear significant costs that arise from the lack of interoperability with facility lifecycle.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way to collect facility data using BIM technolog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BIM data modeling guide for the facility management using the information that need to be delivered from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to operation and management phase. The BIM data modeling guide focus on the properties of mechanical equipment. It is to be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llect facility data from as-built BIM data and to build facility management system database without difficulty.

철도 교량의 BIM 구축을 위한 3차원 모델 생성 자동화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3D Modeling System to Construct BIM for Railway Bridge)

  • 이헌민;김현승;이일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267-274
    • /
    • 2018
  • 구조물의 "3차원 설계"는 성공적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정착을 위한 핵심 기술이다. 이를 위해 다양한 BIM 라이브러리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선형기반으로 구조물이 가설되는 교통 인프라의 설계업무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상용화된 BIM 소프트웨어들이 지원하는 라이브러리를 계획된 선형을 기반으로 구조물이 가설되는 교통 인프라의 설계업무에 적용하는 것은 사용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더욱이 조합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된 라이브러리로 생성된 모델은 다양한 설계변경 상황에 대응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통인프라 구조물인 철도 교량을 대상으로, 유관 시설 또는 부재에 대한 3차원 객체를 설계변경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매개변수 기법을 적용한 'BIM기반 3D 모델 생성자동화 모듈'을 구축하였다. 모듈의 주요기능은 기준선형을 바탕으로 기준경로를 도출하고 다른 객체와의 조합을 고려하여 목표객체를 연장 및 배열하는 것이다. 또한 모듈의 조합으로 구성된 철도교량의 통합모델에 대하여 설계변수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설계변경 대응능력에 대한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Revit Architecture를 이용한 2D 설계도면 구현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2D Design Drawing Implementation by Revit Architecture)

  • 조용상;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5243-5250
    • /
    • 2013
  • 최근 국내 건축시장에서는 건설프로젝트 생애주기 전반에 걸쳐 생산되는 정보를 3D 모델 기반으로 관리하는 BI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가적으로도 그에 따른 정책, 기술개발의 진행과 함께, BIM을 이용한 설계기준이 제도화 되고 있다. 그러나 BIM 소프트웨어(Revit Architecture)를 이용한 2D 설계도면 작성과 관련해서는 기존의 CAD와 같은 수준의 실시설계도면 작성이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BIM 소프트웨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시공수준의 접합상세가 나오지 않는다는 문제점과 효과적으로 상세를 더할 수 있는 모델링 기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현재 납품되고 있는 2D 실시설계도면 수준의 도면작성과 출력가능 여부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계기본요소를 분석하고, 단면상 세도를 사례로 BIM 소프트웨어에 제공되는 기능을 사용해 기존 CAD로 작성한 실시설계도면과 동일한 수준의 도면작성과 출력이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BIM기반 공동주택 마감 물량 산출 정확도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BIM-based Quantity Take-Off of Apartment Interior)

  • 이문규;진상윤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2-22
    • /
    • 2013
  • 건설 산업 생애주기 전반에 걸친 정보를 BIM을 활용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BIM기반 물량산출은 공사비와 직결되는 중요한 관리 요소로서 사업 타당성 및 경제성 분석을 위한 필수적인 관리 요소 중에 하나이다. 또한, BIM기반 물량산출 Data는 작업자마다 물량산출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BIM모델 구축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BIM기반 물량 산출은 정보의 신뢰성과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기반 물량산출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판단하고, BIM 모델링의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단위세대 내부 마감재를 개별부재와 복합부재로 모델링하여 산출되는 BIM기반 물량산출 결과를 정량적으로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정확한 BIM기반 물량산출을 위해서는 다양한 마감재를 개별부재로 모델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의 생산성 측면에서 보다 현실적인 BIM기반 물량산출을 위해서는 개별부재와 복합부재를 병용하여 모델링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현실적인 BIM 모델링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BIM 기반 물량산출 자동화를 위한 모델링의 기준제시 (Propose to Modeling standard for automation quantity take-off of BIM-based)

  • 전기현;윤석헌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3-144
    • /
    • 2011
  • Recently the construction project is intricately linked to the between participants. it is because construction informations are not integrate. This study suggests 3D modeling standard for integrated construction information. These suggestions can be useful to automation quantity take-off.

  • PDF

건설CALS표준 현황과 발전방안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of Construction CALS Standard)

  • 김진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435-436
    • /
    • 2012
  • 건설CALS 1998년부터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사업으로 시스템의 개발 운영과 표준의 개발 운영의 2개 분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건설CALS 표준은 건설정보분류체계, 전자도면작성표준, 도면정보교환표준, 전자문서표준, 디지털 수량산출 교환표준, 건설정보모델(BIM) 작성 납품 공통기준이 있다. 향후 건설CALS 표준은 건설정보 호환을 위하여 정보분류체계의 확장개발과 건설용어의 표준화, 토목분야의 BIM 활성화에 대비하는 토목BIM 표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도로분야 BIM 성과품 납품체계 개발을 위한 국내외 지침 및 발주사례 분석 (Analysis of Guidelines and Ordering Cases for BIM Deliverable Delivery System Development in Road Sector)

  • 서명배;김진욱;최원식;주기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897-5905
    • /
    • 2013
  • 도로분야에 BIM을 활용하여 수량산출, 설계예산서 작성, 공정관리, 간섭검토 등을 하고자 하나 이를 위해 필요한 적절한 지침이나 가이드라인 등 관련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BIM 적용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도로분야 BIM 성과품 납품체계 개발을 위해 국내외적으로 배포되어 있는 다양한 토목 BIM 관련 가이드라인 및 발주문서 등을 수집하여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성과품 목록, 납품파일 형식, 기존 2D 기반의 성과품 활용여부, 성과품 제작도구, 성과품 납품방법 등 5가지 주제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BIM 활용용도에 따라 성과품 목록, 제작도구 등이 달라 표준화하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한 반면, 납품파일 형식이나 납품방법은 유사하여 공통적인 가이드 제시가 용이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당분간 BIM기반의 성과품이 2D성과품을 대체하기는 어려워 병행하여 납품받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향후 도로분야 BIM 성과품 납품체계 개발을 위한 근간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건설사업관리기업의 BIM 활용수준 평가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BIM Utilization Level Evaluation Model in Construction Management Company)

  • 정서희;김광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4-33
    • /
    • 2024
  • 최근 스마트건설이 활성화됨에 따라 기업의 스마트 건설기업으로 전환을 위해 건설회사에서는 스마트건설에 관한 역량 평가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 건설의 활성화는 건설회사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발주자, 설계자, 건설사업관리자, 시공자 등 건설 프로젝트 참여자 전체의 활용수준이 평가되어 향상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수행에서 CM기업의 BIM 활용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BIM 활용수준에 대한 평가모델을 제시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BIM 활용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기 위해 BIM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AHP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산정된 결과를 평가 모델에 활용하기 위해 점수화 시켜 BIM 활용수준 평가모델을 구축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 결과 중 정량 평가에서는 BIM 사용 가능 인력수에서 기업별 차이를 보였고 정성평가에서는 간섭검토, 시공성 검토, 설계변경관리에 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IM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설사업관리자를 대상으로 별도의 전문 교육을 실시하여 BIM 활용능력을 강화시키고 건설사업관리업무 수행에 있어 BIM활용에 대한 명확한 활용기준 및 업무범위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을 활용하여 더 많은 기업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며, 평가 결과는 CM기업의 스마트건설의 전환과 BIM 도입 활성화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