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HA

검색결과 397건 처리시간 0.03초

대나무 기름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Phyllostachys bambusoides) Essential Oil)

  • 이숙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59
    • /
    • 2000
  • Bamboo oil의 천연 보존료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합성 보존료인 BHA와 이미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는 천연보존료인 tea tree oil을 비교하기 위하여 disc diffusion법과 broth dilution 법으로 S. aureus와 E. coli대한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Disc diffusion법으로 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한 결과 BHA>tea tree oil>bamboo oil 순이었고 E. coli에 대한 항균력은 bamboo oil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다음은 BHA>tea tree oil순으로 나타났다. 2. Broth dilution법으로 S. aureus와 E. coli모든 시료 6.0$\mu$l/ ml 이상에서 모두 측정되지 않아 모든 시료에서 동일하게 최소억제농도가 6.0$\mu$l/ ml 이상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Bamboo oil의 이용 개발 시 경제적 조건은 동일한 항균력을 기대할 때 tea tree oil에 비하여 약 20%정도 저렴하여 경제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마선 조사에 의한 돈지의 산패에 산화방지제의 첨가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Oxidation of Lard Induced by Gamma Irradiation)

  • 변명우;이경행;육홍선;이주운;이현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47-1052
    • /
    • 1998
  • The effects of antioxidants such as ascorbyl palmitate(AP), tocopherol( Toc), BHA and ascorbyl palmitate+ tocopherol(AP+ Toc) on lipid peroxide formations in lard have been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50oC after gamma irradiation with the dose of 1~10kGy. Immediately gamma irradiation greatly increased the initiative oxidation of lard as expected. But antioxidants were found to be greatly effective in minimizing the radiation induced peroxidation of lard. The decreasing order of effects on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as AP>AP+ Toc>BHA> Toc. Oxidation of lard during storage at 50oC after irradiation induced the acceleration of autooxidation. But the additions of an tioxidants inhibited the formation of peroxides.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during storage were BHA> AP+ Toc> Toc>AP. Especially AP+ Toc mix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BHA (p>0.05).

  • PDF

Thyroid Hormones Receptor/Reporter Gene Transcription Assay for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 Jeong Sang-Hee;Cho Joon-Hyou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333-338
    • /
    • 2005
  • Many of thyroid hormones disrupting chemicals induce effects via interaction with thyroid hormone and retinoic acid receptors and responsive elements intrinsic in target cells. We studied thyroid hormones disrupting effects of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including BHA, BHT, ethoxyquin, propionic acid, sorbic acid, benzoic acid, CPM, aflatoxin B1, cadmium chloride, genistein, TCDD, PCBs and TDBE in recombinant HeLa cells containing plasmid construct for thyroxin responsive elements. The limit of response of the recombinant cells to T3 and T4 was $1\times10^{-12}\;M$. BHA. genistein, cadmium and TBDE were interacted with thyroid receptors with dose-responsive pattern. In addition, BHA, BHT, ethoxyquin, propionic acid, benzoic acid, sorbic acid, and TBDE showed synergism while cadmium chloride antagonism for T3-induced activity. This study elucidates that recombinant HeLa cell is sensitive and high-throughput system for the detection of chemicals that induce thyroid hormonal disruption via thyroid hormone receptors and responsive elements. Also this study raised suspect of BHA. BHT, ethoxyquin, propionic acid, benzoic acid, sorbic acid, TBDE, genisteine and cadmium chloride as thyroid hormonal system disruptors.

대두유의 자동산화 및 가열산화에 미치는 정향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Effects of Clove Extracts on the Autoxidation and Thermal Oxidation of Soybean Oil)

  • 박상일;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1-85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love extracts in water, methanol and ether. The clove extracts, BHA and ${\alpha}$-tocopherol were added to each oil at a level of 200 ppm. The activities of the substrate oils and controls were tested under autoxidation and thermal oxidation conditions. The degree of the effects of the antioxidant activities under autoxidation condition were in the following order; ether extract 〉 methanol extract 〉BHA 〉 ${\alpha}$-tocopherol 〉 water extract = control group. The induction periods of the control, water, methanol and ether extracts, and BHA and ${\alpha}$-tocopherol were 9.5, 9.6, 10.7 11.8, 10.4 and 9.7 days, respectively. Under thermal oxidation condition, the methanol extract show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than those of the water and ether extract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 was attributed to ${\alpha}$-tocopherol and BHA.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 이경석;오창석;이기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74-47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년초 손바닥 선인장 추출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추출용매별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을 알아본 결과 70% ethanol로 추출 하였을 경우 추출 수율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70% 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하여 BHA, ${\alpha}$-tocopherol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DPPH를 측정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검토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BHA와 ${\alpha}$-tocopherol 활성과 견줄만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취하여 촉진된 자동산화조건에서 AV, POV, TBA 등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BHA,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여 AV와 POV 측정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alpha}$-tocopherol과 ethyl acetate 분획물은 비슷한 정도의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TBA가에 의한 지질 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alpha}$-tocopherol 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 천년초의 ethyl acetate 분획물은 ${\alpha}$-tocopherol과 비슷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패류 가공에 관한 연구 -4. 개량조개 건제품 저장중의 색소 잔존율 및 흡수율의 변화에 대하여- (Studies on the Shellfish Processing -4. The Changes of Pigment Retention and Water Absorbing Capacity of Dehydrated Surf Clam Meat during Storage-)

  • 이용호;허종화;한봉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2-56
    • /
    • 1971
  • 토사질을 제거하여 자숙 탈각한 개량 조개육을 BHA 또는 EDTA 처리를 하여 열풍건조 및 천일건조 하였다. 이 건제품을 유리병에 넣어 밀폐한 다음 암실에서 3개월간 저장 하였을 때 색소 잔존율 및 흡수성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열풍건제품과 천일건제품 모두 저장중 색소 소실이 심하였다. 2) BHA를 처리한 제품은 EDTA 처리 또는 대조제품 보다 저장중 색소 소실이 적었다. 3) 열풍건제품과 천일건제품 모두 저장중 흡수율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BHA 또는 EDTA 처리가 흡수성에 미치는 뚜렷한 효과는 찾아 볼 수 없었다.

  • PDF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 이경석;김민규;이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2-1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연잎 추출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70\%$ ethanol로 추출한 추출수율은 $8.16\%$였으며 이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한 수율은 butanol층이 $36.1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극성이 높을수록 높은 분획수율을 나타내었다. 분회물간 총 페놀함량 측정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총 페놀함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또한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BHA, BHT와 비교한 결과 BHA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BHT보다 우수한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취하여 TBA가에 의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 주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BHT보다도 활성이 떨어졌으나 이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단일물질로 분리정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malonaldehyde 이외 다른 성분이 BHA와 반응하여 발색한 것으로 추측되어 졌다. AV와 POV 측정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나 ethyl acetate 분획물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BHT에 비해서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Aflatoxin $B_1$으로 유발되는 흰쥐 간세포의 미세구조 변화 : Butylated hydroxyanisole(BHA) 전처리에 의한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Butylated hydroxyansiole(BHA) Pretreatment against Aflatoxin $B_1$ Inducible Hepatocellular Abnormalities)

  • 최치용;최임순;차영남
    • Applied Microscopy
    • /
    • 제21권1호
    • /
    • pp.63-76
    • /
    • 1991
  • Butylated hrdroxyanisole(BHA), a widely used food additive phenolic antioxidant, is known to inhibit cancer formations inducible with a wide variety of chemical carcinogens including aflatoxin $B_1(AFB_1)$. Thus, in the present stud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lying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BHA against $AFB_1$ inducible ultrastructural changes of hepatocytes have been examined.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1 . Livers obtained from rats treated with $AFB_1$ in vivo have been examin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mong the many hepatocellular structural aberrations induced by $AFB_1$ treatment, the nuclear chromatins were found to be distributed irregularly('cap formation') and the nuclear membrane was found to be partially segregated. Furthermore, there were many lipid droplets, hyperplasia of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dialate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lysosomes arrested at various stages of its development. 2. Also, when $AFB_1$ was given in vitro to hepatocytes which have been isolated from untreated normal rats and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re were much 'blobbing' phenomena resulting from cytoskeletal disturbances. 3. However, in the liver obtained from rats pretreated with BHA and then give the $AFB_1$, the observed morphological aberrations were in much reduced extent. Similarly, the BHA-hepatocytes had much decreased severity in the $AFB_1$ inducible blob formations.

  • PDF

첨가제가 감마선 조사될 녹차 추출물의 색상 환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ve on Color Reversion of Irradiated Green Tea Extract)

  • 권종숙;손천배;조철훈;손준호;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55-360
    • /
    • 2002
  • 녹차 추출물의 불용색소를 감마선으로 제거한 후 저장기간 동안의 색상의 환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BHA와 아스콜빈산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명도(Hunter color L-value)의 경우 대조구에서는 비조사구보다 조사구가 유의적으로 높아 밝은 색을 보였으며, BHA 첨가구(200 ppm)는 대조구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아스콜빈산 첨가구(200 ppm)는 대조구와 BHA 첨가구보다 명도가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높아 가장 밝은 색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라 대조구, BHA처리구, 아스콜빈산 처리구 등 모두 20 kGy가 10 kGy보다 유의적으로 더 낮은 명도 값을 보여 감마선 조사 선량이 20 kGy또는 그 이상의 고선량일 경우 색의 환원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적색도(a값)는 감마선 조사선량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처리구 중 아스콜빈산 처리구가 가장 낮은 적색도를 나타내어 명도에 이어 적색도도 아스콜빈산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황색도(b값) 또한 유사한 결과를 보여 결론적으로 감마선 조사를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의 색도를 개선시킨 후 아스콜빈산과 같은 항산화제를 이용할 경우 저장 또는 운반 중 색의 환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감마선 조사시 우지 산패억제를 위한 항산화제의 첨가효과 (Effects of Antioxidants on Oxidation of Tallow by Gamma Irradiation)

  • 이경행;육홍선;이주운;김성;김미정;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2
    • /
    • 1999
  • 우지에 항산화제로 ascorbyl palmitate (AP), ${\alpha}-tocopherol\;({\alpha}-Toc)$, BHA 및 ascorbyl $palmitate+{\alpha}-tocopherol\;(AP+{\alpha}-Toc)$을 첨가하여 $0{\sim}10\;kGy$의 선량으로 감마선을 조사하였고, 감마선 조사된 시료는 조사직후와 $5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 형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감마선 조사직후의 과산화물가는 감마선 조사선량의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그러나 우지에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감마선 조사에 의한 과산화물 형성을 억제하였고, 억제 활성은 $AP>BHA>AP+{\alpha}-Toc>{\alpha}-Toc$로 AP가 초기산화 억제능을 가진 천연항산화제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과산화물가는 감마선 조사에 의해 자동산화를 상당히 촉진시키지만 항산화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과산화물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이때의 항산화능은 $BHA>AP+{\alpha}-Toc>{\alpha}-Toc>AP$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장말기까지도 효과가 높았던 천연 항산화제 혼합물인 $AP+{\alpha}-Toc$은 BHA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