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HA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33초

발효 우엉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Arctium lappa L.)

  • 김미현;김중규;최재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52-758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Arctium lappa L. Arctium lappa fermented twice with Phellinus linteus ($2^{nd}$ FA) showed mor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non-fermented Arctium lappa (NFA), and Arctium lappa fermented once ($1^{st}$ FA) at a concentration of 62.5 ppm. The $2^{nd}$ FA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concentration range of 31.5~125 ppm. The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1^{st}$ FA and $2^{nd}$ FA were similar to that of BHA, a synthetic antioxidant, at a concentration of 250 ppm.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2^{nd}$ FA was higher than those of NFA and $1^{st}$ FA. The flavonoid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1^{st}$ FA and $2^{nd}$ FA than NFA.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order of NFA, $1^{st}$ FA, and $2^{nd}$ FA at all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the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A. lappa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fermentation. It is suggested that fermented Arctium lappa, especially $2^{nd}$ FA, could be used as a natural ingredient for functional foods and medicine.

산사(Crataegifructus)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된 분획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ic Extract of Crataegi fructus)

  • 박성진;신언환;이재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97-902
    • /
    • 2012
  • 산사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RC_{50}=4.39{\mu}g/m{\ell}$), butanol 분획($RC_{50}=6.25{\mu}g/m{\ell}$)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alpha}$-tocopherol이나 BHA보다 유사하거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지질과산화 활성 실험은 15일 째에 물층을 제외한 추출물,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실험은 Staphylococcus aureus에서만 활성을 보이지 않았을 뿐 다른 피검균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다만 fungi strain인 Candida albicands에 대해 각각 250 및 $500{\mu}g/m{\ell}$의 생육 억제 농도를 나타내었다. 항보체 활성화능을 측정한 결과, 물 층 18.4%를 제외한 다른 분획물은 10% 이하의낮은 억제효과를 보이거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산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사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라면유지(油脂)의 안정성(安定性)에 관한 연구(硏究) - 제2보 공장규모에서의 라면 Frying 유지(油脂)의 성상변화(性狀變化) - (Stability of Lipid in Ramyon(deep fat fried instant noodle) - II. Chemical Changes of Frying-fats during Frying Process in Ramyon Producing Plant -)

  • 최홍식;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6-41
    • /
    • 1973
  • 라면제조(製造)과정중 frying 유지(油脂)(주원료 유지(油脂)는 beef tallow, 유지회전율(油脂回轉率) 9%/hr, 가열온도(加熱溫度) $140{\pm}10^{\circ}C)$의 안정성(安定性)을 작업시간 경과에 따라 공장규모(工場規模)로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작업시간 경과에 따른 frying 유지(油脂)의 carbonyl 가(價) 및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의 변화(變化)는 비교적 적었고, 산가(酸價) 및 착색성(着色性)은 다소(多少)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 Silicic acid column 을 이용한 liquid partition chromatography 법(法)에 의하여 중합물(重合物)을 검토한 바, 대부분(大部分)이 monomer 이었으나 polar fraction에서 미량(微量)이나마 frying 시간의 경과에 따른 dimer 의 증가를 주목(注目) 할 수 있었다. 또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서는 현저한 변화는 없었으나 linolenic, linoleic 가 증가한 반면에 stearic, palmitic acid가 감소하였으나 적은 량(量)이었다. 3) 시간경과에 따른 각 시료(試料)의 시험저장결과, 신선유지(新鮮油脂)는 저장 초기(初期)에 있어서 다른 사용유(使用油)에 비(比)하여 중량증가(重量增加) 및 carbonyl 가(價) 공(共)히 안정(安定)한 경향이었고, 저장중 사용유간(使用油間)에 있어서 안정성(安定性)의 차이는 적었다.

  • PDF

비쑥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염증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Artemisia scoparia)

  • 윤원종;이정아;김지영;오대주;정용환;이욱재;박수영
    • 생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5-240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capacity of the aqueous EtOH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f Artemisia scoparia.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compared to positive controls such as ascorbic acid,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trolox, and allopurinol in these assay systems. Moreover,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 of solvent fractions of A. scoparia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that the nitric oxide (N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prostaglandin E2 $(PGE_2)$ production activated with LPS $(1{\mu}g/ml)$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The amounts of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by immunoblottting. Tn the sequential fractions of hexane and dichloromethane inhibited the NO and $PGE_2$ production and the protein level of iNOS and COX-2.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coparia may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y through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factors.

참치 가공부산물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조미료 제재의 개발 3. 분말 참치 가수분해물의 저장중 품질안정성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Agents from Skipjack Processing By-product with Commercial Pretenses 3. Storage Stability of Powdered Skipjack Hydrolysate)

  • 차용준;김은정;김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27-631
    • /
    • 1996
  • 참치 가수분해물을 항산화제인 BHT 0.02% 첨가구와 rosemary 0.01% 및 0.02%를 첨가한 제품을 대조구와 함께 $30^{\circ}C에서$ 저장하면서 검사한 결과 색도에서 대조구 및 항산화제 처리한 4제품 모두 명도는 감소하는 반면에 적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수용성 갈변물질이 지용성 갈변물질 보다 함량이 많았으며 저장 중 증가폭도 컸다. 지방산화 억제능에서는 0.02% BHT 첨가구 보다 0.02% rosemary 첨가구에서 효과가 있었고, ACE 저해능에서는 생시료에서 3% 미만의 낮은 효율을 보인 반면에 가수분해물에서는 72.2%를 나타내었으며, $IC_{50}$/은 1.124mg이었다.

  • PDF

$\beta$-Glucosidase 처리된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and Synergistic Effect of Sesame Oil Cake Extract Treated from $\beta$-Glucosidase)

  • 손종연;강동우;신길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1-595
    • /
    • 2001
  • 참깨 탈지박에 다량존재하는 수용성 lignan화합물을 $\beta$-glucosidase로 처리하여 얻어진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기존 항산화제들과의 상승효과를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참깨박 추출물 중에서도 sesamin 및 sesamolin이 peak가 확인되었으며, 각각 8.32%(8,315.4mg/100g) 및 0.28%(2,824.5mg/100g)의 함량을 나타냈다. Sesamin과 sesamolin은 배당체의 aglycone으로서 탈지박 중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깨박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는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이들의 효과는 같은 농도(100ppm)의 $\alpha$-tocopherol이나 ascorbyl palmitate 첨가구보다 항산화효과가 우수하였으나 BHA보다는 다소 약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가수분해 물은 $\alpha$-tocopherol과 강한 상승 작용을 보여주었으나 ascorbyl palmitate와는 비교적 약한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Phaeodactylum tricornutum으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의 분리 및 구조 (Structure 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 Derived from Phaeodactylum tricornutum)

  • 김세권;변희국;백호철;박표잠;강옥주;김종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56-56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성장이 빠르고 배양이 용이한 황갈편조 식물문 중 규조강에 속하는 P. tricornutum으로부터 선정하여 항 산화성 물질을 분리$\cdot$정제하여 물질의 구조를 밝혔다. P. tricornutum의 각 유기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은 chloroform획분이 가장 좋았으며, 이 획분을 시료로 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PTLC 및 HPLC를 사용하여 항산화성 물질을 분리$\cdot$정제하였다. Silica gel column을 사용하여 분리된 획분의 항산화성은 dichloromethane: methanol (5: 1)로 용출시킨 획분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 획분의 PTLC 획분은 항산화성이 $20\%$ 증가하였다. 최종 정제된 물질의 $IC_50$값은 $8.3{\mu}g/mL$으로 화학적으로 합성된 항산화제인 BHT 및 BHA보다는 낮았지만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보다는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이 물질의 화학적 구조는 carotenoid류인 zeaxanthin으로 동정되었다.

  • PDF

땅빈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독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 Effect of Extracts from Euphorbia humifusa)

  • 허성일;호위성;한웅;왕명현
    • 생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95-299
    • /
    • 2008
  •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cytotox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Euphorbia humifusa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were $68.35{\pm}0.16$ mg/g and total flavonoid compound contents were estimated as $38.74{\pm}1.26$ mg/g. EC50 values fo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was $56.26{\pm}0.66{\mu}g/mL$ and those of positive controls as ascorbic acid, ${\alpha}$-tocopherol and BHA were $8.38{\pm}0.14{\mu}g/mL$, $16.45{\pm}0.89{\mu}g/mL$ and $21.18{\pm}1.01{\mu}g/mL$ respectively. NO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 depending on concentration of extract. Treatment of RAW 264.7 cells with extract caused inhibition of LPS-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The cell viability showed that the methanol extract had cytotoxicity in the growth of breast cancer cell ($66.54{\pm}1.91%$ at $400{\mu}g/mL$ conc., $43.98{\pm}3.35%$ at $800{\mu}g/mL$ conc.).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methanol extract of Euphorbia humifusa has a potential candidate for functional cosmetic and medicine.

고온에서 안정한 천연 항상화제 개발 (Development of Natural Antioxidants Stable at Frying Temperatures)

  • 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64-573
    • /
    • 1997
  • 유지류는 산화에 의해 품질이 저하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많이 이용되어온 tocopherol과 BHA는 상온에서는 높은 항산화 효과가 있지만 튀김 식품과 같이 18$0^{\circ}C$이사의 고온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열안정성이 매우 낮아 이들 항상화제들의 대부분 분해되거나 산화방지 능력을 상실한다. 식물체에서 안정한 자류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스테롤, 즉 곁사슬에 에틸리덴기를 갖는 citrostadienol, $\Delta$5-avenasterol과 fucosterol이 고온에서 안정한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그 중에서 $\Delta$5-avenasterol 이 고온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다라서 식품의 기호성과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고온에서 안정성을 갖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필요하므로 문헌 고찰을 하여 정리하였다.

  • PDF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 첨가(添加)에 따른 유지안정성(油脂安定性) (Stability of Lipids by Adding Soybean and Soybean Products)

  • 임춘선;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4호
    • /
    • pp.328-334
    • /
    • 1987
  •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첨가(大豆加工品添加)에 따른 유지안정성(安定性)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두유(大豆油)에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의 용매추출물(抽出物)을 첨가하고 또한 Ramyon을 제조할 때 대두(大豆) 및 대두가공품(大豆加工品)을 첨가하여 그 유지(油脂)의 산가(酸價),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TBA가(價)를 측정(測定)하였다. 1. 대두유(大豆油)에 대한 항산화효과(抗酸化?果)는 분리대두단백추출물(分離大豆蛋白抽出物)이 가장 크고 탈지대두추출물(脫脂大豆抽出物), 대두열수추출물(大豆熱水抽出物)이 그 다음가고 탈지대두(脫脂大豆) Ethanol추출물(抽出物)도 유효(有效)하였으나 대두냉수추출물(大豆冷水抽出物)은 효과(?果)가 거의 없었다. 2. Ramyon지질(脂質)에 대하여 저장기간마다 산가(酸價),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및 TBA가(價)의 변화는 분리대두단백가수분해물(分離大豆蛋白加水分解物)이 가장 변화(變化)가 적었고 탈지대두가수분해물(脫脂大豆加水分解物), Tempeh, Tempeh추출물(抽出物), 탈지대두분말(脫脂大豆粉末)첨가 순으로 큰 변화(變化)를 보여 대체적으로,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첨가는 매우 효과적인 산화방지작용(酸化防止作用)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