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HA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5초

콩기름 및 콩기름-물 에멀젼기질(基質)에서의 마이얄형(型) 갈색화반응생성물(褐色化反應生成物)과 일부(一部) 산화방지제(酸化防止劑)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from a Maillard Browning Mixture and Some Antioxidants in Soybean Oil and Soybean Oil-Water Emulsion Systems)

  • 맹영선;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3-282
    • /
    • 1981
  • 콩기름기질(基質)과 에멀젼기질(基質)에서 반응(反應) 2 및 30시간(時間) 후(後)의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액(褐色化反應液)에서 얻은 에탄올 추출물(抽出物)(M-2와 M-30, 각각 10 ml과 BHA, BHT, TBHQ와 ascorbyl palmitate (각각 0,02%, w/w)의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效果)를 비교(比較)하고저 하였다. Control 및 각(各) 기질(氣質)은 $45.0{\pm}0.5^{\circ}C$에서 저장(貯藏)되었으며, 5일(日)마다 과산화물(過酸化物)값과 TBA값을 측정(測定)하였다.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주로 POV 측정결과(測定結果)에 의거한 무수기질(無水氣質)에서의 산화방지효과(酸化防止效果)의 순서(順序)는 As. palmitate, TBHQ >> M-30, M-2 > BHT, TBHQ ,BHA 였으며, 에멀전기질(基質)에서의 순서(順序)는 As. palmitate >> M-30, M-2 > BHT, TBHQ, BHA였었다. 한편, Maillard형(型) 갈색화반응(褐色化反應) 추출물(抽出物)들은 무수기질(無水基質)에서 보다는 에멀전 기질(基質)에서 더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에멀전 기질(基質)에서는 그 효과(效果)는 phenol계(系) 산화방지제(酸化防止劑)인 BHT, TBHQ, BHA 보다 더 컸었다.

  • PDF

Brazilin의 Potato Chip에 대한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Brazilin on Potato Chips)

  • 최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62-668
    • /
    • 2009
  • 소목으로부터 분리한 brazilin을 potato chip 제조시 사용하는 튀김유에 첨가하여 항산화 활성 정도를 시험하였다. 이때 현재 사용중인 항산화제도 동일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저장 30일 후 potato chip에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는 대조구(control), BHA(50 ppm)-BHT(50 ppm), $\delta$-tocopherol(100 ppm) 및 brazilin(100 ppm)이 각각 134 meg/kg oil, 84.06 meg/kg oil, 117.10 meg/kg oil 및 68.56 meg/kg oil을 나타내었다. 각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BHA(50 ppm)-BHT(50 ppm)가 1.6배, $\delta$-tocopherol(100 ppm)이 1.14배, brazilin(100 ppm)이 1.97배의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위 결과에서 brazilin(100 ppm)의 경우, BHA(50 ppm)-BHT(50 ppm)보다도 과산화 물가가 낮아 과산화물 생성 억제력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도기간연장 효과는 Rancimat을 이용한 고온가열시험($180^{\circ}$, 100 ppm)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BHA(50 ppm)-BHT(50 ppm)가 1.4배, brazilin (100 ppm)이 1.53배로 brazilin이 상업용 항산화제보다 보다 항산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brazilin(100 ppm)은 palmitic acid($C_{16:0}$)/linoleic acid($C_{18:2}$) 값의 감소를 억제하는 능력과 conjugated dienoic acid 함량의 증가 억제력이 상업용 항산화제보다 우수하였다.

옥돔의 동결에 관한 연구 1. 동결저장온도와 약품처리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FREEZING OF YELLOW SEA BREAM 1. Effects of Freezing and Storing Temperature and Chemicals on the Quality of Yellow Sea Bream)

  • 송대진;허종화;강영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21-226
    • /
    • 1977
  • 동결저장중 옥돔의 상품가치의 유지와 선도유지기간의 연장에 대한 BHA 및 polyposphate의 처리효과에 대한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염가용성 단백질은 동결저장온도에 따라 용출도에 차이가 있었으나, 약품처리에 따른 용출도의 차이는 없었다. 2) 유리수의 유출량은 동결저장기간중 저장온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고, sodium polyphosphate 처리한 것이 유리수 유출량이 적었다. 3) 휘발성 염기실소의 량은 저장온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으나, 약품처리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4) TBA값은 저장온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고, sodium polyphosphate 처리한 것이 BHA 처리한 것보다 6개월 저장 후에도 약간 낮았다. 5) carotene 변화 역시 저장염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5^{\circ}C$저장에서는 3개월 저장 이후는 외관적으로 상품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약품처리에 따른 색소는 BHA, sodium polyphosphate, control 순으로 적었다. 옥돔은 BHA 또는 sodium polyphosphate로서 처리하며 $-35^{\circ}C$이하의 온도에 동결저장함으로서 그 상품가치를 비교적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아시아 재단의 연구보조비(1977연)에 의하여 수행되었으머, 본실험을 도와준 본대학 식품공학과 3년 이병태, 김영준, 정오화 제군에게 사의를 표한다.

  • PDF

참깨기름의 일사광선(日射光線)에 의(依)한 산패(酸敗) (Rancidity Development of Sesame Oil Irradiated with Direct Sunlight)

  • 윤형식;최인욱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00-105
    • /
    • 1987
  • Chloroform:methanol {2:1(v/v)} 추출(抽出)한 참깨기름에 무색(無色), 청색(靑色), 적색투명(赤色透明) 셀로판 필름으로 덮개를 한 실험구(寶驗區)에는 시료(試料)무게에 대(對)하여 각각(各各) 0.02%의 BHA와 BHT를 첨가(添加)하여 일사광선하(日射光線下)에서 하루에 4시간(時間)동안 조사(照射)시켰을 때의 이들의 항산화효과(抗酸化效果)를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carbonyl가(價), TBA가(價),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를 통(通)해 관찰(觀察)하였다. 항산화제첨가구(抗酸化劑添加區)의 경우(境遇) BHT가 BHA보다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가 컸으며 BHT나 BHA 모두 조사일수(照射日數)가 경과(經過)할수록 그 효과(效果)는 감소(減少)하였다. 적색(赤色) 및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은 강(强)한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적색(赤色)이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보다 강(强)한 효과(效果)를 보였다. 이는 적색(赤色)이 청색(靑色)보다 단파장영역(短波長領域)의 광선투과율(光線透過率)이 낮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적색(赤色),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과 BHA, BHT의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비교(比較)해 본 결과(結果), 적색(赤色) 및 청색(靑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이 BHA나 BHT 보다 저장초기(貯藏初期)부터 지속적(持續的)인 산화억제효과(酸化抑制效果)를 보였다. 추출(抽出) 직후(直後)의 참깨기름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주로 oleic acid (37.7%), linoleic acid(43.4%)로 구성(構成)되었으며 착색(着色) 투명(透明) 셀로판 필름을 덮은 시료(試料)를 하루 4시간(時間)씩 일사광선하(日射光線下)에서 10일(日)동안 조사(照射)시킨 후(後)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살펴본 결과(結果) oleic acid의 함량(含量)이 control의 경우(境遇) 1.7%, 청색(靑色)은 0.6%, 적색(赤色)은 0.2% 각각(各各) 증가(增加)하였으며 linoleic acid는 control이 4.3%, 청색(靑色)이 4.2%, 적색(赤色)은 2.1%씩 감소(減少)하였다.

  • PDF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효과(I) (Antioxidative Effect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Perilla Flour on Soybean Oil)

  • 조희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1999
  • 탈지들깨박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시판 합성항산화제인 BHA, AP, TBHQ와 비교하였다. 탈지들깨박 중 페놀산 추출물은 유리형, 에스터형, 불용성페놀산이 각각 213, 133.1, 89.4mg/100g으로 유리형이 가장 높았으며, 유리형 페놀산에는 6종류의 페놀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에스터형과 불용성 페놀산에는 각각 3종류와 2종류의 페놀산이 함유되어 있었다. 탈지들깨박 중의 3가지 형태의 페놀산의 항산화력은 유리형이 가장 켰고 에스터형, 불용성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유리형 페놀산 group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은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탈지들깨박 페놀산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TBHQ 보다 약했으나 BHA나 AP(0.02%) 보다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몇 가지 생약재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Ethanol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Fraction for Several Korean Medicinal Plant Hot Water Extracts)

  • 김영언;이영철;김현구;김철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1-144
    • /
    • 1997
  • 국내산 재배 생약류 28종 중 열수 추출물에서 항산화력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된 작약, 목단, 황금, 두충, 시호 그리고 산수유의 열수 추출물 6종을 냉동건조한 후 70% ethanol로 용해하여 ethanol 가용성 획분(ESF)과 ethanol 불용성 획득(EIF)으로 분획하였다. 이 분획물들을 60% linoleic acid에 3,000ppm씩 가한 후 35$^{\circ}C$의 항온기에서 저장하면서 BHA 첨가구와의 산화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이 결과 작약가 항금의 ESF는 유도기간이 각각 12일과 9일인데 반해 BHA 첨가구는 9일로 나타나 산화 안정성이 더 높거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6종의 생약류의 ESF는 EIF보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버스트 헤더 주소 방식의 FIFO 입력 버퍼링 메카니즘을 사용하는 입력 버퍼 패킷 스위치 (Input-buffered Packet Switch with a Burst Head Addressable FIFO input buffering mechanism)

  • 이현태;손장우;전상현;김승천;이재용;이상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17-124
    • /
    • 1998
  • 본 논문은 입력 버퍼링 구조를 갖는 패킷 스위치에서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스위치 성능 개선 구조가 윈도우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나 버스트성 트래픽에 대해서는 충분한 윈도우의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버스티 단위로 윈도우를 적용하는 BHA-FIFO 입력 버퍼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BHA-FIFO의 성능 분석 연구를 통하여 일반적인 FIFO를 사용하는 윈도우 방식의 스위치 성능은 버스트 길이가 커질 수록 감소하여 최대 처리율이 0.5에 수렴하지만 버스트 단위로 윈도우를 갖는 BHA-FIFO 구성에서는 같은 윈도우 크기에 대하여 제안된 BHA-FIFO 스위치의 성능이 우수하게 개선되었다.

  • PDF

In Vivo Immunotoxicities of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in Male Mice

  • Moon, Chang-Kiu;Lee, Soo-Hwan;Park, Kwang-Sik;Hwang, Gwi-Seo;Mock, Myung-Soo;Chung, Dong-Seok;Kim, Dae-Dok;Min, Seok-Ki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223-227
    • /
    • 1987
  • The effects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on the immune status in normal male were evaluated. They exhibit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irculating leukocyte counts. Relative spleen and thymus weights were slightly decreased, but not str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were, however, significant liver hypertrophies in theier exposed mice. Splenic IgM PFCs per one million cells in 1/20 LD50 BHA and BHT exposed mice were significantly reduced IgM PFCs per spleen were similar tothose of control, except in 1/20 LD50 BHA exposed mice, where they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precise nature of the inhibition is not clear. Direct cytotoxicity is not responsible for the depressed antibody response, even following relatively high doses of them, because the changes in spleen cellularity are not significant. Both substances, however, did not show any effects on the arthus reaction and delayed hypersensitivity reaction induced by heat aggreagted bovine serum albumin, and in vivo phagocytosis of colloidal carbon. In the light of the present results, in vivo antibody response as well as in vitro, may be sensitive to BHA of the present results, in vivo antibody response as well as in vitro, amy be sensitie to BHA and BHT. Further elucidation of the precise nature of antibody suppression in their exposed mice, is warranted.

  • PDF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4. 저염 멸치젓의 가공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4.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 차용준;박향숙;조순영;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3-367
    • /
    • 1983
  • 옛부터 남도지방에서 즐겨 먹어 온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의 하나인 멸치젓은 다른 젓갈류와 마찬가지로 식염함량이 높아 그 짠맛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어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식염농도가 낮은 멸치 젓을 가공하고자 에틸알코올, 젖산 및 솔비톨을 첨가하여 저염멸치젓의 가공조건과 아울러 BHA 또는 고추가루를 첨가하였을 때의 항산화효과를 실험하였다. 원료멸치에 식염을 $8\%$, BHA를 $0.02\%$ 혹은 고추가루를 $0.5\%$ 첨가한 저염멸치첫은 식염을 $20\%$ 첨가하고 BHA를 $0.02\%$ 첨가한 것과 마찬가지로 관능검사 결과 숙성 55일경에 가장 맛이 좋았으며, 휘발성염기질소는 숙성 90일 이후에도 100 mg/100 g 범위였다. 또한 아미노질소함량은 숙성 55일경에 가장 높았다. TBA값은 BHA를 $0.02\%$ 첨가한 제품이 염농도에 관계없이 항산화력이 가장 좋았으며, 고추가루를 $0.5\%$ 첨가한 제품은 BHA 보다는 항산화력이 떨어지나 대조시료와 비교하여 볼 때 유도기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과산화물값은 TBA값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균수는 숙성기간중 저염(식염 $8\%$)젓 이 대조제품(식염 $20\%$) 보다 생균수가 낮았다. 원료멸치에 대하여 젖산 $0.5\%$, 솔비톨 $6\%$ 및 에틸알코올 $4\%$를 첨가함으로써 재래식멸치젓(식염 약 $20\%$) 보다 식염함량을 $\frac{1}{3}$정도 감소시킨 저염젓갈을 가공할 수 있었으며, 저장성도 있고 맛도 좋았다.lla sp.와 Navicula sp. 및 Chaetoceros sp. 등의 연안내만성종이다. 이들중 8월의 Rihzosolenia alata f. gracillima와 11월의 Astrionella gracillima는 특히 우세하였다.cosapentaenoic acid가 서로 비슷한 양으로 존재하면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4) sterol조성에 있어서는 시료에서 다 같이 전sterol성분에 대한 cholesterol의 함양분포가 $82.4\sim89.1\%$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소양성분으로서 22-dehydrocholesterol 과 24-methylenecholesterol이 각 시료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5) 총지질에서 분획한 비극성복질(신성지질)과 극성지질의 함양비는 시료에서 다 같이 비극성낙질보다 극성지질의 함양이 훨씬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에서도 당지질보다 린지질의 함양이 월등히 높았다. 6)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유리 sterols의 함양분포가 중성서질에 대하여 $50.0\sim70.5\%$로서 주성분을 이루며, 그 다음 서로 비슷한 양으로 나타나는 esterified sterol, 유리지방산 및 triglyceride가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hexadecadienoic acid 주성분이었다. 7)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myristic acid가 구성지방산의주함분을 이룬다. 그러나 특히 꼴뚜기의 당지질에는 이들 지방산외에 arachidonic acid의 함양이 월등히 높아 주성분의 하나였다

  • PDF

대두유의 산패에 미치는 일사광선의 영향 (Effect of Sunlight on the Rancidity of Soybean Oil)

  • 임국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3-37
    • /
    • 1981
  • The accelerating effect of sunlight on the rancidity of soybean oil and the efficacies of several anti-oxidants were measured.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ac야 value and peroxide value of soybean oil were 0.16 and 1, 72 respectively. 2. the peroxide value of soybean oil which was exposed to sunlight nine hours a day for six days was 134.3: 21 times of that which was not exposed to sunlight. 3. The peroxide value of the soybean oil with 0.02~0.06% BHA decreased a little, but not significantly. 4. The anti-rancidity effect of BHT was a little stronger than BHA. 5. The anti-rancidity effect of ascorbic acid alone was negligible. 6 The peroxide value of soybean oil with an anti-oxidant which comprised ascorbic acid, BHA and BHT decreased to one third of that which was not treated with anti-oxid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