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C-B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24초

BC-B Type150K DWT Class Bulk carrier 구조적 특성에 관한 고찰 (A study of Analysis for 150K DWT Class Bulk carrier(BC-B type))

  • 서향덕;김도군;안형준
    • 대한조선학회 특별논문집
    • /
    • 대한조선학회 2015년도 특별논문집
    • /
    • pp.79-84
    • /
    • 2015
  • A BC-B type bulk carrier is rarely built, s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s not reported and familiar so far.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BC-B and BC-A type vessel is applying alternate cargo loading, which density is over $1.0ton/m^3$. In this paper, 150K DWT class BC-B type bulk carrier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BC-A type vessel, which has same condition such as main dimension and deadweight, about prescriptive rule and FEA based on CSR. And aspect ratio of target vessel is smaller than typical capsize bulk carrier, so 150K and 180K bulk carrier, which applied BC-A type, are also compared to find feature of wide beam vessel.

  • PDF

Better Understanding of Direct Bone-Conduction Measurement: Comparison with Frequency-Specific Bone-Conduction Tones and Brainstem Responses

  • Kim, Yeoju;Han, Woojae;Park, Sihun;You, Sunghwa;Kwak, Chanbeom;Seo, Youngjoon;Lee, Jihyeon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4권2호
    • /
    • pp.85-90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thresholds of direct bone-conduction (BC direct) with those of behaviorally measured BC pure-tone audiometry (PTA) and objectively measured BC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to confirm the clinical feasibility of their relationships. Subjects and Methods: Young adults with normal hear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determine the thresholds from three measurements at four testing frequencies. In the BC direct, the vibrator of a bone-anchored hearing aid softband was placed on the right mastoid of each subject. In both PTA and ABR, a B71 bone oscillator was placed on the subject's right mastoid. While the subject's thresholds of BC direct and BC PTA were determined with a clinically routine 5-dB step procedure, BC ABR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dividual's hearing sensitivity by a peak V of the waveform using tone-burst and click stimuli. Results: The BC direct showed a different pattern between low and high frequencies. Precisely, its thresholds were 13.25 and 12.25 dB HL at 0.5 and 1 kHz, respectively, but 19 and 19.75 dB HL at 2 and 4 kHz, respective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BC direct and PTA at 1 kHz, which was also correlated with ABR. Conclusions: Based on the current data, the thresholds of BC direct were similar to BC PTA at low frequencies and BC ABR at high frequencies. The thresholds of BC direct might be predictable at approximately 5 dB higher (or lower) than that in PTA, although a large data set is required for standardization.

Better Understanding of Direct Bone-Conduction Measurement: Comparison with Frequency-Specific Bone-Conduction Tones and Brainstem Responses

  • Kim, Yeoju;Han, Woojae;Park, Sihun;You, Sunghwa;Kwak, Chanbeom;Seo, Youngjoon;Lee, Jihyeon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5-90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thresholds of direct bone-conduction (BC direct) with those of behaviorally measured BC pure-tone audiometry (PTA) and objectively measured BC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to confirm the clinical feasibility of their relationships. Subjects and Methods: Young adults with normal hearing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determine the thresholds from three measurements at four testing frequencies. In the BC direct, the vibrator of a bone-anchored hearing aid softband was placed on the right mastoid of each subject. In both PTA and ABR, a B71 bone oscillator was placed on the subject's right mastoid. While the subject's thresholds of BC direct and BC PTA were determined with a clinically routine 5-dB step procedure, BC ABR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dividual's hearing sensitivity by a peak V of the waveform using tone-burst and click stimuli. Results: The BC direct showed a different pattern between low and high frequencies. Precisely, its thresholds were 13.25 and 12.25 dB HL at 0.5 and 1 kHz, respectively, but 19 and 19.75 dB HL at 2 and 4 kHz, respective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BC direct and PTA at 1 kHz, which was also correlated with ABR. Conclusions: Based on the current data, the thresholds of BC direct were similar to BC PTA at low frequencies and BC ABR at high frequencies. The thresholds of BC direct might be predictable at approximately 5 dB higher (or lower) than that in PTA, although a large data set is required for standardization.

자폐아동의 반향어 치료 (TREATMENT OF ECHOLALIA IN CHILDREN WITH AUTISM)

  • 정보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9권1호
    • /
    • pp.47-53
    • /
    • 1998
  •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치료조건을 조성하여 각 치료조건간의 반향어 발생률과 치료효과를 비교하였다. 치료조건1(A)은 치료사가 아동에게 쉽고 짧은 질문을 하는 ‘대화조건’ 이고, 치료조건2(B)는 아동이 치료사가 하라는 지시에 따라 쉬운 과제를 수행하는 ‘과제수행조건’ 이고, 치료조건3(C)은 보상과 통제를 사용하는 ‘강화의 조건’ 이다. 연구설계는 A-B-A-B-BC-B-BC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발달연령이 3~4세 수준인 2명의 남아(11세, 12세)에게 실시되었는데, 반향어 치료는 1회기에 15분씩, 하루에 5~6회를 2주간 실시하였다. 반향어 치료를 위한 개입은 즉각 반향어에만 적용했고, 지연 반향어는 치료 개입없이 관찰만 하였다. 아동1의 즉각 반향어 치료결과(평균 비율)는 A(99%)-B(65%)-A(95%)-B(10%)-BC(7%)-B(6%)-BC(7%)로 나왔고, 아동2의 치료결과는 A(67%)-B(62%)-A(63%)-B(35%)-BC(8%)-B(4%)-BC(0%)로 나왔다. 아동1의 지연 반향어는 치료 개입 전후를 통해 3% 수준으로 큰 차이없이 낮은수준을 유지했고, 아동2의 지연 반향어는 강화의 조건 병행 전에는 $35{\sim}57%$ 수준이던 것이 강화의 조건 개입 후에는 $5{\sim}9%$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대화상황에서 아동의 반향어를 교정하기보다는 아동에게 쉬운 과제를 수행하는 학습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반향어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과제수행 학습환경에서 과제수행 행동을 보상하고, 반향어 행동을 통제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반향어 감소는 물론 반향어 치료효과가 아동의 전반적인 언어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 PDF

DISTRIBUTIVE PROPERTIES OF ADDITION OVER MULTIPLICATION OF IDEMPOTENT MATRICES

  • Wanicharpichat, Wiwat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29권5_6호
    • /
    • pp.1603-1608
    • /
    • 2011
  • Let R be a ring with identity. If a, b, $c{\in}R$ such that a+b+c = 1, then the distributive laws from addition over multiplication hold in R, that is a+(bc) = (a+b)(a+c) when ab = ba, and (ab)+c = (a+c)(b+c) when ac = ca. An application to obtains, if A,B are idempotent matrices and AB = BA = 0 then there exists an idempotent matrix C such that A + BC = (A + B)(A + C), and also A + BC = (I - C)(I - B). Some other cases and applications are also presented.

측정기반 거동 모델을 이용한 IEEE 802.11a 무선랜용 LTCC Front-End 모듈 집적화 설계 (Design of Integrated LTCC Front-End Module using Measurement-Based Behavioral Model for IEEE 802.11a WLAN Applications)

  • 한아름;윤경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5A호
    • /
    • pp.490-49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IEEE802.11a 무선랜용 Front-End 집적화 초소형 모듈을 측정기반 거동 모델을 기반으로 한 behavioral-level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설계 제작 하였다. IEEE802.11a 무선랜 표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54Mbps 전송속도의 64QAM 변조 방식 심볼을 1024개 전송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이 환경에서 ACPR과 EVM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비선형 특성을 확인하였다. 중심주파수 5.8GHz에서 30MHz, 20MHz와 11MHz 떨어진 ACPR의 우측 offset은 각각 49.36dBc, 36.90dBc와 24.58dB이고 좌측 Offset은 각각 50.14dBc, 34.04dBc와 28.85dBc이며 EVM은 2.94%이다. LTCC 공정을 사용하여 5층 기판으로 제작한 모듈의 크기는 $13.4mm{\times}14.2mm$이다. 송신단 특성은 P1dB가 16.2dBm, 전력이득은 16.73dB로, 수신단의 특성은 소신호 이득이 16.24dB, 잡음지수가 7.83dB로 측정되었다.

저 전송률 비디오 압축을 위한 새로운 BC-ABBM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BC-ABBM Motion Estimation Algorithm for Low Bit Rate Video Coding)

  • 이완범;김환용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7C호
    • /
    • pp.946-953
    • /
    • 2004
  • 고속 탐색 및 기존의 이진 연산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은 연산량 및 처리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지만 전역 탐색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에 비하여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하고 움직임 추정을 고속으로 수행 할 수 있는 새로운 BC-ABBM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BC-ABBM 알고리즘은 움직임 추정시 필요한 연산을 이진 연산으로만 수행하면서 전역 탐색에 근접한 성능을 나타낸다. BC-ABBM 알고리즘의 움직임 추정 성능은 QCIF와 CIF 포맷의 100프레임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BC-ABBM 알고리즘의 PSNR 성능은 전역 탐색 알고리즘보다 약 0.04dB 정도 떨어지지만, 고속 탐색 알고리즘 및 기존의 이진 연산 알고리즘보다는 약 0.6∼l.4dB 정도 우수함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사간 물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elamcanda Chinensis Water Extract)

  • 박성주;김수곤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0-41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aqueous extract from Belamcanda chinensis (BC) on the RAW 264.7 cells.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C, we examined the cytokine productions including nitric oxide (NO), interleukin (IL)-1b,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 (TNF-a)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also inhibitory mechanisms such a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nuclear factor kappa B (NF-kB) using Western blot. BC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 of NO, IL-6 and TNF-a but not of IL-1b in RAW 264.7 cells. BC respectively inhibited the activation of MAPKs such as c-Jun NH2-terminal kinase (JNK) and p38 but not of extracellu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1/2) and NF-kB in th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ed that BC down-regulated LPS-induced NO, IL-6 and TNF-a productions mainly through JNK and p38 MAPK pathway.

Bacillus subtilis BC-P1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분석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BC-P1)

  • 박성용;방미애;오병준;박정훈;송원섭;최경민;정의수;부희옥;조승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2-269
    • /
    • 2013
  • 본 연구진은 청국장에서 수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이중 소화 효소능이 뛰어난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유전학적 분석결과를 통해 본 균주가 Bacillus 속 균주임을 확인하고 Bacillus subtilis BC-P1이라 명명하였다. Bacillus subtilis BC-P1을 starter로 사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였으며, protease, xylanase, chitinase activity, 혈전 분해능, 영양성분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을 통하여 B. subtilis BC-P1를 starter로 활용한 청국장 제품의 개선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Bacillus subtilis BC-P1를 starter로 제조한 청국장은 기존 제품에 비해 우수한 소화효소 생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혈전분해효소 생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고, 대조군에 비해 증가된 환원당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균주를 starter로 하여 청국장을 제조할 경우 기능성분, 생리활성의 증가,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대규모 생산시 균주, 제조 조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illus circulans 유래 cellulolytic xylanase 유전자(bglBC2)의 염기서열 결정 및 분석 (Nucleotide Sequence of Cellulolytic Xylanase Gene (bglBC2) from Bacillus circulans)

  • 김지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7-72
    • /
    • 2006
  • 클로닝된 Bacillus circulans ATCC21367 유래 cellulolytic xylanase 유전자(bglBC2)의 염기서열을 결정 분석하였다. 본 유전자는 1,224 bp의 407개 아미노산을 암호하는 open reading frame (ORF)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염기서열로부터 산출된 유전자의 분자량은 45 kDa으로 효소의 SDS-PAGE로부터 측정된 분자량과 일치하였다. ATG 개시 코돈의 9bp 위쪽에 Shine-Dalgarno (SD) 서열로 추정되는 5'-AAAGGAG-3' 서열이 확인되었고 그 상단에 promoter로 추정되는 -35 서열(TTTACA)과 -10 서열(TATACT)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이는 B. subtilis promoter consensus sequence와 유사하였다. 한편, 이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은 이미 보고된 B. circulans KSM-N257의 alkaline $endo-\beta-1,4-glucanase$와는 97%, B. circulans WL-12의 $endo-\beta-1,3-1,4-glucanase$와는 75%, Bacillus sp. KSM-330의 $endo-\beta-1,4-glucanase$ (cellulase)와는 45%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bglBCS 염기서 열의 정보를 GenBank에 등록하였으며 등록번호는 Ar26925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