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S

검색결과 2,227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산(韓國産) 활엽수재(闊葉樹材) 천공판(穿孔板)의 미세형태(微細形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 천공판(穿孔板)의 구조(構造) - (Micromorphological Studies on the Perforation Plate of Korean Hardwoods(II) - The Structure of Perforation Plate -)

  • 김대영;이원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114-133
    • /
    • 1997
  • 우리나라산(産) 활엽수재 25과(科)45속(屬)78종(種)의 수종에 대하여 천공을 이루고 있는 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사용하여 3차원적(次元的) 형태를 관찰하고, 이들의 미세한 천공구조의 본질을 조사하여 과(科), 속(屬), 종별(種別)로 고유의 특징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 하였으며 천공의 분류는 단천공(單穿孔), 계단천공(階段穿孔) 및 다공천공(多孔穿孔)(계단천공(階段穿孔) 이외의 다공천공(多孔穿孔))의 3가지로 구분하고 이것을 기초로하여 (1) 단천공(單穿孔)만을 갖는 수종(60종), (2) 계단천공(階段穿孔)만을 갖는 수종(5종), (3) 단천공(單穿孔)과 계단천공(階段穿孔)을 갖는 수종(4종), (4) 단천공(單穿孔)과 다공천공(多孔穿孔)을 갖는 수종(2종), (5) 계단천공(階段穿孔)과 다공천공(多孔穿孔)을 갖는 수종(5종), (6) 단천공(單穿孔), 계단천공(階段穿孔) 및 다공천공(多孔穿孔)을 갖는 수종(2종)의 6개의 그룹으로 분류 하였다. 그 결과 Betulaceae에 속하는 수종은 대부분이 계단천공(階段穿孔)을 나타내고 있으나 개서어나무에서는 단천공(單穿孔)이 출현하는 특징이 있으며, Fagaceae의 갈참나무에서는 단천공(單穿孔)의 천공연(穿孔緣)의 주연에 돌기물이 발생된 vesture천공이 관찰 되었다. 또한 계단천공(階段穿孔)의 상하의 bar가 서로 일치되고 있지않은 mismatching perforation plate가 물갬나무와 물오리나무에서 관찰되었으며 또한 계단천공의 bar사이에 벽물질이 남아 일부 또는 전부가 막혀 있거나 microfibrillar 모양의 substructure가 물박달나무와 계수나무에서 발견되었다.

  • PDF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stance of Chloride Ion Penetration in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Concrete)

  • 송하원;권성준;이석원;변근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00-408
    • /
    • 2003
  • 염화물 이온은 철근의 부동태 피막을 파괴하여 부식을 촉진시키는 요인이며 철근의 부식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뿐만 아니라 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염해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공극률 슬래그 미분말의 사용이 본격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염해, 특히 보통 포틀랜트 시멘트 콘크리트 보다 우수한 염화물 이온의 침투저항성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공극률 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에 대해 염화물 이온의 확산특성을 분석하였고, 염화물 이온의 거동을 해석할 수 있는 모델을 기존의 보통콘크리트 확산모델을 수정하여 제안하였다. 제안된 공극률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의 염화물 이온 확산모델은 공극률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에 대한 촉진염화물 분무실험 결과와 실제 RC 교량 교각부의 현장 염화물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검증된 모델을 이용한 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의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따른 치환율 및 분말도에 따른 최적조건을 도출하였다. 고로슬래그 미분말 콘크리트의 염화물 이온 침투저항성은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사용함에 따라 보통 콘크리트에 비하여 우수하게 개선되었으며, 사용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분말도보다 치환율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내진성능 개선에 관한 실험적 연구 (Improvement of Earthquake-Resistant Performance of R/C Beam-Column Joint Constructed with High-Strength Concrete Subjected to Cyclic Loading)

  • 하기주;김진근;정란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5-145
    • /
    • 1992
  • 최근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초고층화 추세에 따라 건축물의 설계시에 고강도의 건설재료, 부재단면의 축소, 직경이 큰 철근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구조물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접합부 영역의 응력 집중현상이 커지고,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하므로써 고정하중의 감소, 부재단면의 축소, 부재내력의 증대, 장 스팬 구조물의 축소 가능, 경제성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고강도 콘크리트의 이용은 더욱 증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고강도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와 다른 특성, 특히 최대내력이후의 강도저하가 현저하고 파괴성상이 취성적인 성질을 지니고 있으므로 실제 구조물에 적용하기 앞서 구조물의 안전성 측면에서 부재 실험을 통하여 정확한 역학적 특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반복 주기하중을 받는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접합부의 거동을 파악하고, 접합부의 내진성능 개선을 위한 새로운 설계방법을 실제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건축물의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였다.

순환 굵은골재의 혼입률에 따른 콘크리트와 이형철근의 부착 거동 (Effec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RCA) Replacement Level on the Bond Behaviour between RCA Concrete and Deformed Rebars)

  • 장용헌;최기선;유영찬;김긍환;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23-130
    • /
    • 2010
  • 순환골재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 거동 규명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순환골재를 적용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와 철근 상호간의 부착 거동을 평가하기 압축인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변수는 설계압축강도(21, 27, 40 MPa), 순환 굵은골재 치환율(0, 30, 60, 100%) 및 철근의 배근방향 및 위치(상단근, 하단근)로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V형 시험체의 경우 순환골재 치환율에 관계없이 상호 유사한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H형 시험체의 경우는 철근의 배근 위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HT형 시험체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CEB-FIP 및 ACI 408 기준식에 의한 계산 값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재생골재 사용에 따른 성능 저하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HT형 시험체의 경우 순환골재 치환율 증가에 따라 골재 침하 현상이 크게 발생되며 불리딩 및 레이턴스에 의한 부착면적의 감소로 최대 부착응력이 다른 시험체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전술한 바에 의하면 현행 규준에서 정하는 상부철근의 높이인 300 mm 이하(높이 225 mm)에서도 부착강도의 저하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현재 규준에서 제안하는 철근 위치 보정계수 1.3의 값의 수정과 신뢰성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r{\aa}nemark\;Novum^{(R)}$ 즉시 임플랜트 보철 수복 방법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 분석적 연구 (THREE 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BR{\AA}NEMARK\;NOVUM^{(R)}$ IMMEDIATE IMPLANT PROSTHODONTIC PROTOCOL)

  • 김우영;김영수;장경수;김창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63-476
    • /
    • 2001
  • Since the treatment of edentulous patients with osseointegrated implant was first introduced more than 30 years ago, implant therapy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dental treatment modalities today. Based on the previous experience and knowledge, $Br{\aa}nemark\;Novum^{(R)}$ protocol was introduced with the concept of simplifying surgical and prosthetic technique and reducing healing time recently. This protocol recommends the installation of three 5mm wide diameter futures in anterior mandible and the prefabricated titanium bars for superstructure fabric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at fixture and superstructure area according to changes of fixture number, diameter and superstructure materials. Four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s were fabricated. Model 1 - 5 standard fixtures (13mm long and 3.75mm in diameter) & superstructure consisted of type IV gold alloy and resin Model 2- 3 wide diameter fixtures (13mm long and 5.0mm in diameter) & superstructure consisted of type IV gold alloy and resin Model 3-3 wide diameter fixtures (13mm long and 5.0mm in diameter) & superstructure consisted of titanium and resin Model 4-3 wide diameter fixtures (13mm long and 5.0mm in diameter) & superstructure consisted of titanium and porcelain A 150N occlusal force was applied on the 1st molar of each model in 3 directions - vertical($90^{\circ}$), horizontal($0^{\circ}$) and oblique($120^{\circ}$). After analyzing the stresses and displacement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distribution among experimental models. 2. Model 2, 3, 4 showed less amount of compressive stress than that of model 1. However, tensile stress was similar. 3. Veneer material with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demonstrated less stress accumulation in the superstructure. Within the limites of this study, $Br{\aa}nemark\;Novum^{(R)}$ protocol demonstrated comparable biomechanical properties to conventional protocol.

  • PDF

인발성형된 이형 GFRP 보강근과 GFRP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크리프 거동 (Creep Behavior of Pultruded Ribbed GFRP Rebar and GFRP Reinforced Concrete Member)

  • 유영준;박영환;김형열;최진원;김장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87-194
    • /
    • 2013
  • 섬유복합체(FRP)는 비부식성 재료라는 특징으로 인해 이상적인 철근 대체재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 FRP 보강근은 철근과 달리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고정된 형태가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재료와 성분비, 형태 등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성능평가 데이터에 근거한 FRP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거동특성 구명은 상당부분 제한될 수 있다. 더군다나 FRP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휨거동에 대한 평가는 주로 단기 거동 측면에 집중되어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GFRP 보강근 및 이를 사용하여 보강된 콘크리트 부재의 장기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철근 대체용으로 개발된 GFRP 보강근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를 제시하였고, 이의 크리프 거동 특성에 대한 3년간의 계측 결과를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인장강도의 약 55% 이하의 하중이 지속적으로 재하되는 경우에는 100년 이상의 내구연한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GFRP 보강 콘크리트 보의 장기거동을 약 1년간 관찰하였으며 이로부터 FRP 보강 부재의 장기처짐 계산식에 사용되는 수정계수 값 0.73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로부터 도출된 GFRP 보강근 및 이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단기 및 장기 거동 특성값은 FRP 보강 콘크리트 부재의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기방식에 따른 콘크리트 중의 탈염효과 및 구조거동 (Chloride Extraction and Modified Structural Behavior of Concrete under Electrochemical Treatment)

  • 안기용;김기범;양희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109-11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중의 철근부식의 보수로 전기방식법을 적용할 경우의 탈염, 부식복원 및 구조거동을 효과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160{\times}160{\times}1000mm$의 콘크리트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피복두께 20 mm의 원형철근 3본을 매립하였으며 콘크리트 타설 시 염소이온 5.0%를 혼입하여 철근부식을 가속한 뒤 전기방식을 인가하였다. 전기방식 전류는 직류 $750mA/m^2$를 2, 4, 8주간 인가하였다. 결과로서 탈염효과는 인가 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최대 탈염비는 8주간의 인가 시 64.7-83.7%로 측정되었다. 이는 시멘트계에서 염소이온의 50-60%가 고정화됨을 고려할 때, 일정량의 고정화된 염소이온 역시 탈염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부식상태는 8주간의 전기방식 이후에도 $6.5mA/m^2$의 부식 전류 및 330 mV (vs. SCE)의 부식전위를 나타내 여전히 부식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구조거동에 있어 부식의 증가로 인해 콘크리트의 최대하중은 증가하였으나, 전기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오히려 최대하중은 감소하였으나 Control시편보다는 상회한 값을 나타내 전기방식이 구조적 악영향은 없음을 확인하였다.

ASTM C 1260 실험에 의한 국내 골재의 알칼리-실리카 반응 팽창 특성 (Expansion Behavior of Aggregate of Korea due to Alkali-Silica Reaction by ASTM C 1260 Method)

  • 윤경구;홍승호;한승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431-437
    • /
    • 2008
  • 한국에서는 그동안 콘크리트구조물에서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피해 사례가 학계에 보고된 바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최근 일부 고속도로 콘크리트 포장에서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균열과 스펄링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몇몇 국가에서 콘크리트용 골재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성을 조기에 판정하는데 효과가 있는 ASTM C 1260 촉진 모르타르 봉 방법으로 한국산 암석에 대하여 재령별 팽창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산 골재 중 화성암 골재 10종 중에서 14일 재령에 0.1% 이상의 팽창이 발생한 골재는 복운모 화강암, 규장암이 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실험되었다. 퇴적암 골재 5종 중에서는 14일 재령에 0.1% 이상의 팽창이 발생한 골재에는 장석사암, 적색사암, 셰일로서 잠재적인 알칼리-실리카 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실험되었다. 변성암 골재 11종 중에서 14일 재령에 0.1% 이상의 팽창이 발생한 골재에는 충남 보령 점판암으로서 0.303%의 팽창이 발생하여 반응성이 매우 큰 골재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한국산 골재에서도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팽창 현상이 크게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Toluene diisocyanate(TDI) 합성을 위한 Pd/SiO2 촉매상 직접 카보닐화반응에서의 피리딘 첨가효과 (Effect of Pyridine on Toluene Diisocyanate (TDI) Synthesis Using Direct Carbonylation over Pd/SiO2)

  • 서명기;김성민;이대원;이관영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417-420
    • /
    • 2012
  • 본 연구는 Pd/$SiO_2$ 촉매를 이용하여 2,4-dinitrotoluene(2,4-DNT)을 2,4-toluene diisocyanate(2,4-TDI)로 환원시키는 반응에 관한 연구이다. 반응 조건은 $200^{\circ}C$에서, 일산화탄소를 주입하여 100 bar에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피리딘이 TDI의 수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 하였다. 반응 실험 결과 피리딘을 넣지 않은 경우 TDI는 생성되지 않았고, 피리딘을 첨가하면 TDI가 생성되었다. 직접 카보닐화를 이용한 균질계상에서의 TDI 합성 연구 결과에 의하면 팔라듐과 피리딘의 착이온이 형성되어 촉매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리딘을 첨가하였을 경우 TDI가 합성되는 것이 팔라듐 용출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ICP-AES 분석을 시행하였다. 20 vol% 피리딘을 첨가한 반응에서 반응 후 촉매의 팔라듐 함량이 반응 전에 비해 52%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피리딘을 첨가한 반응실험에서 용출된 팔라듐이 피리딘과 착이온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쳐 TDI가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몇 가지 이온의 水和數에 대한 壓力의 效果 (Effect of Pressure on Hydration Number of Some Ions)

  • 황정의;정종재;김학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91-795
    • /
    • 1992
  • 압력하에서 전해질을 구성하는 이온의 한계당량전도도를 구하는데 TATB법을 적용하였다. TATB법을 적용하여 구한 이온의 한계당량전도도와 물의 점성도로부터 고전적인 hydrodynamics에 기초를 둔 이온의 Stokes 반지름을 구하였다. Stokes 반지름으로부터 수화된 이온의 반지름을 구하기 위하여 Nightingale법을 사용하였으며, 이온의 보정된 반지름과 이온의 결정반지름으로부터 수화수를 구하였다.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의 수화수는 아주 작은량의 감소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Horne의 pressure-induced dehydration으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Nakahara 등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면, 본 연구에서 계산된 $K^+$$Cl^-$ 이온의 수화수는 Nakahara 등의 같은 이온들에 대한 수화수의 두배에 가까왔다. 그리고 Kollman 등의 결과와도 비교하여 보아 고압하에서 이온의 수화수를 구하는데 TATB법과 Nightingale법을 적용하여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