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 plicatili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초

해산로티퍼(Brachionus plicatilis)의 생존 및 개체군 성장률을 이용한 신방오도료(Zinc undecylenate)의 독성평가 (Toxicity Assessment of Antifouling Agent using the Survival and Population Growth Rate of Marin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 황운기;최훈;박윤호;박나영;장수정;이승민;최윤석;양준용;이주욱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392-399
    • /
    • 2018
  • 해산로티퍼(Brachionus plicatilis)의 생존 및 개체군 성장률(r)을 사용하여 Zinc undecylenate (ZU)에 대한 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24 h 동안 ZU에 노출된 B. plicatilis의 생존율은 실험 최고농도 $100mg\;L^{-1}$에서도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ZU에 72 h 노출된 개체군 성장률(r)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 $12.5mg\;L^{-1}$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고 최고농도 $50.0mg\;L^{-1}$에서 개체군 성장률이 90% 이상 감소되었다. ZU에 노출된 B. plicatilis의 개체군 성장률의 반수영향농도($EC_{50}$)값은 $26.4mg\;L^{-1}$, 무영향농도(NOEC)는 $6.3mg\;L^{-1}$, 최소영향농도(LOEC)는 $12.5mg\;L^{-1}$로 나타났다. 자연생태계 내에서 ZU 물질이 해수 중에서 $12.5mg\;L^{-1}$ 이상을 초과하여 나타낼 때 B. plicatilis와 같은 동물성플랑크톤의 개체군 성장률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방오도료물질의 생태안정성 평가를 위한 기준치 설정 및 다른 방오도료물질과의 독성치를 비교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염분에 따른 한국산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S-type) 6 strains의 내구란 생산 (Resting Egg Production of Six Strains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S-type))

  • 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5-203
    • /
    • 1996
  • 한국 염전지역에서 순수분리한 rotifer, B. plicatilis(S-type) 6 strains의 염분(10, 20, 30 ppt)에 따른 내구란 생산을 조사하였다. Rotifer는 20ml 시험관 배지에서 Nannochloris oculata를 먹이로 $28^{\circ}C$에서 배양하였다. Rotifer 최대밀도는 OKK strain이 염분 10ppt에서 2,050개체/ml로 나타났다. 성장률은 MOK strain의 10 ppt실험구에서 1.028로 가장 빨랐다. 유성생식률은 CHA와 WON strain은 염분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지만 MOK strain은 염분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고 SOS strain은 염분 20 ppt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UA strain은 개체밀도가 높았지만 유성생식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OKK strain은 $1.1\~3.0\%$의 낮은 유성생식률을 보였다. CHA, MOK SOS, WON strain의 수정률은 모든 염분구에서 $10.4\~68.8\%$로 나타났지만 OKK strain은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Rotifer의 내구란 생산은 strain과 염분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20m1 시험관배지에서 가장 높은 내구란 생산은 WON strain으로 10 ppt 실험구에서 4,065개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때 rotifer의 내구란을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strain의 선택과 염분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산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과 S-type)의 내구란 대량생산 (Mass Production of Resting Egg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L and S-type))

  • 허성범;박흠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45-351
    • /
    • 1996
  • 한국산 B. plicatilis, L-type rotifer와 S-type rotifer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L-type rotifer의 경우 15일 동안 농축 Chlorella + 빵효모 혼합구와 빵효모 단독구로 하였고 S-type rotifer는 7일동안 1 $m^3$ 수조에서 농축 Chlorella로, $6{\~}8$일 동안 4 $m^3$ 수조에서 냉동 농축 Chlorella + 빵효모로 대량생산하였다. L-type rotifer 내구란 대량생산 실험에서 농축 Chlorella + 빵효모 혼합구가 총 내구란 생산 $54.5{\times}10^6$개, $10^{8}$ rotifers 당 내구란 생산 $30.5{\times}10^6$개, 먹이 건조 중량 1g 당 내구란 생산 $100{\times}10^3$개로 빵효모 단독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S-type rotifer의 내구란 대량생산은 4 $m^3$ 수조에서 냉동 농축 Chlorella + 빵효모를 먹이로 총 내구란 생산 $149{\~}567{\times}10^6$개, $10^{8}$ rotifers당 내구란 생산 $36{\~}123{\times}10^6$개, 먹이 건조 중량 1 g당 내구란 생산 $131{\~}338{\times}10^3$개를 생산하여 1 $m^3$ 수조에서 농축 Chlorella를 단독 먹이로 생산한 경우 보다 높았다.

  • PDF

해산로티퍼 (Brachionus plicatilis)를 이용한 브롬화난연제 (BDE-47, BDE-209)의 생태독성평가 (Ecotoxic Evaluations of BDE-47 and BDE-209 using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 최훈;이주욱;박윤호;이인석;허승;황운기
    • 환경생물
    • /
    • 제36권1호
    • /
    • pp.43-49
    • /
    • 2018
  • 해산로티퍼, B. plicatilis의 생존율과 개체군 성장률을 이용하여 PBDEs (BDE-47, BDE-209)의 생태독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생존율의 경우 BDE-47은 $3.9mg\;L^{-1}$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여 농도의존성을 나타냈으나, BDE-209의 경우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개체군 성장률의 경우는 BDE-47과 BDE-209에서 각각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시험결과 $EC_{50}$값은 생존율의 경우 각각 $13mg\;L^{-1}$$1,000mg\;L^{-1}$이었고 개체군 성장률은 각각 $3.67mg\;L^{-1}$$862.75mg\;L^{-1}$로 나타나 BDE-47이 BDE-209에 비해 76~235배 더 독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DE-47과 BDE-209에 대한 생존율의 LOEC값은 각각 $3.90mg\;L^{-1}$, $>1,000mg\;L^{-1}$으로 나타났으며, 개체군 성장률의 LOEC값은 각각 $1.95mg\;L^{-1}$, $125mg\;L^{-1}$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LOEC값은 연안환경에서의 BDE-47과 BDE-209농도가 이를 초과하는 경우 B. plicatilis와 같은 동물성 플랑크톤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OEC와 $EC_{50}$값은 BDE-47 및 BDE-209와 같은 독성 물질의 환경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 및 저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초기 생활사를 이용한 해양생태독성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Ecotoxicological Standard Methods using Early Life Stage of Marin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이승민;박경수;윤성진;강영실;오정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2호
    • /
    • pp.129-139
    • /
    • 2008
  •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을 위하여 해양생태계의 1차 소비자인 윤충류 및 저서 요각류를 이용한 시험방법을 정립하였다. 표준시험생물로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와 저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를 선정하였으며, endpoint는 윤충류 신생개체의 사망률(24 hr $LC_{50}$) 및 개체군성장률(48 hr $EC_{50}$)과 저서 요각류 유생($100{\sim}200\;{\mu}m$)의 사망률(48 hr $LC_{50}$)로 설정하였다. 표준시험방법은 미국재료시험협회 (ASTM)의 독성시험법을 참고하였으며, 표준시험생물은 국내 해양생태계의 특성 및 종의 유용성 등을 고려하여 재설정하였다. 윤충류 B. plicatilis와 저서 요각류 T. japonicus는 광염성으로 $5{\sim}35\;psu$ 구간에서 실험이 가능하고, 또한 배양이 용이한 점이 고려되었다. 상기 두 종을 이용한 독성시험은 시험생물 확보 및 배양이 쉽고 시험기간이 짧고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독성시험의 민감도가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이용한 시험법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두 종 모두 해양유입 유해물질을 이용한 독성실험결과, 농도-반응의 선형관계가 뚜렷하였다. 카드뮴을 이용한 윤충류 개체군성장에 대한 실험실간 교차분석결과 $EC_{50}$이 각각 39.3 mg/L와 33.7 mg/L로 유사한 값을 보였다. 따라서 윤충류 및 저서 요각류는 독성시험생물로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위의 두 종중 최소 1종은 해양생태 독성실험의 "battery test"에 포함할 것을 권장한다.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내구란 생산에 미치는 Vitamin $B_{12}$의 영향

  • 권오남;박흠기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80-281
    • /
    • 2000
  •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는 담수산 어류 종묘생산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초기 먹이생물로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입이 작은 열대 관상어의 먹이로 이용되고 있다. Rotifer의 생식은 처녀생식과 유성생식을 교대로 하는 종으로색 유성생식에 의해 형성된 내구란은 종 보존용, 대량배양시 seed로 쉽게 이용될 수 있으며 환경 독성학의 실험생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해수산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내구란을 대량생산하여 Artemia cyst처럼 간편하게 부화시 어류에게 직접 먹이로 공급할 수 있는 기술 수준에 도달하였다. (중략)

  • PDF

먹이에 따른 한국산 S-tyo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의 내구란 생산과 부화율 (Production and Hatching Rate of Resing Egg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S-type) with Different Diets)

  • 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29-337
    • /
    • 1996
  • 한국산 rotifer, B. plicatilis, S-type를 대상으로 식물부유생물, 농축 Chlorella 및 효모류에 대한 내구란 생산과 먹이 종류에 따라 생산된 내구란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4 종류(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Tetraselmis suecica, Pavlova lutheri) 가운데 N. oculata는 3,760개/20 ml로 가장 많은 내구란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식물부유생물 종류에 따른 부화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9 종류의 농축먹이(유지효모, 빵효모, 두 종류의 해수산 농축 냉장 Chlorella, 해수산 냉동 Chlorella, 냉동 해수산 Chlorella ($70\%$)+ 빵효모($30\%$), 냉동 해수산 Chlorella ($30\%$)+ 빵효모($70\%$), 두 종류의 냉장 담수산 Chlorella)에서 내구란 생산이 가장 많은 먹이는 냉동 Chlorella($30\%$)+빵효모($70\%$)와 냉장 담수산 Chlorella에서 각각 283개/ml로 나타났다. Rotifer $10^4$개체와 건조 먹이 1 mg당 내구란 생산은 냉동 Chlorella ($30\%$)+빵효모($70\%$)에서 각각 5,566개와 2,131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농축 먹이에 따른 내구란의 부화율은 유지효모가 $67.4\%$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경제적인 내구란 생산을 위하여 빵효모와 농축 냉동 Chlorella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by Monilinia fructigena for aquaculture

  • Kwak Jung-Ki;Park Jin-Hee;Lee Jung-Suck;Goetz Peter;Cho Man-G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82-188
    • /
    • 1999
  • Produc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by Monilinia fructigena in B-I medium containing cereals was higher than that in glucose medium. Productivities in B-I medium and glucose medium were 0.7g/l nd 0.2-03g/l respectively. The maximum content of polysaccharide occurred at the rising point from the lowest pH of culture. As the apparent viscosity of the polysaccharide solution increased, the flow Index (m) decreased, and the consistency Index (Kc) also increased. The polysaccharide solution was a typical pseudoplastic fluid. The mycelium was separated from the culture solution by $300\mu m$ mesh-filter and the polysaccharide was precipitated by adding 50% of ethanol (v/v). The amount of the polysaccharide removed from the filtrated solution was 0.45 g/l and the amount adhered to the mycelium was 0.25g/l. In experiments for investigating growth enhancement of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by the polysaccharide, the dose of the polysaccharide was 1mg per 10,000 organisms of rotifer.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of rotifer with feed consisting of sea Chlorella sp. and the polysaccharide was 1.095/day in the batch culture for 10 days. A semi-continuous culture was done for 30 days, the biomass of rotifer could be harvested twice. Maximum specific growth rate with sea Chlorella sp. and the polysaccharide was 0.734/day before the first harvest, and 1.685/day before the second harvest. Productivity was 38 $cells/ml\; \cdot\; day$ with sea Chlorella sp. and the polysaccharide.

  • PDF

HNS 유출사고가 해양생물에 미치는 생물독성 영향평가 : HNO3 유출사고 대상 (Marine Ecotoxicological Evaluation on HNS Spill Accident : Nitric Acid Spill Case Study)

  • 김태원;김영윤;조소은;손민호;이문진;오상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55-66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HNS 중 하나인 질산($HNO_3$)의 유출사고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1) 식물플랑크톤(Skeletonema costatum)을 이용한 성장저해시험, (2) 무척추 동물(Brachionus plicatilis, Monocorphium acherusicum), (3) 어류(Cyprinodon variegatus) 및 (4) 발광박테리아(Vibrio fischeri)를 이용한 급 만성 독성시험을 질산의 유출로 인한 (1) pH 변화와 사고 후 질산에서 해리된 (2) 질산염($NO_3{^-}$) 농도의 변화에 대해 각각 수행하였다. $HNO_3$를 이용한 pH 변화에 대한 독성시험 결과, M. acherusicum이 무영향농도(NOEC), 최저관찰영향농도(LOEC) 및 반수영향농도($72h-EC_{50}$) 값이 각각 pH 7(0.3 mM), pH 5(1.1 mM) 및 pH 5.2(1.4 mM)로 가장 민감한 영향이 나타났다. $NO_3{^-}$에 대한 독성시험의 결과, B. plicatilis의 만성독성시험(개체군 성장률시험)결과, NOEC, LOEC 및 $96h-EC_{50}$ 값이 각각 5.9 mM, 11.8 mM 및 32.6 mM로 가장 민감한 영향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질산 유출사고로 인한 해양생물의 독성영향은 pH의 경우, 선박의 최단 인접지역을 제외하면 그 영향은 극히 미미할 것으로 판단되며 질산염의 경우, 해양생물의 생존 및 번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정도의 농도는 일반적인 사고해역에 현실적으로 존재 할 수 없는 농도로 판단된다.

Ecotoxicological effects of ballast water effluent teated by an electrolytic method on marine environment

  • Kim, Tae Won;Kim, Keun-Yong;Shon, Myung-Baek;Kim, Young-Soo;Lee, Ji Hyun;Moon, Chang Ho;Son, Min H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8호
    • /
    • pp.1010-1020
    • /
    • 2014
  • Ballast water effluent treated by an electrolytic method contains reactive chlorine species and disinfection by-products (DBPs). In this study, we conducted whole effluent toxicity (WET) testing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ERA) to investigate its ecotoxicological effects on marine environment. WET testing was carried out for three marine pelagic organisms, i.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fish Paralichthys olivaceus. The biological toxicity test revealed that S. costatum was the only organism that showed apparent toxicity to the effluent; it showed 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NOEC), lowest observable effect concentration (LOEC) and effect concentration of 50% (EC50) values of 12.5%, 25.0% and 83.3%, respectively, at brackish water condition. In contrast, it showed insignificant toxicity at seawater condition. B. plicatilis and P. olivaceus also showed no toxicities to the effluent at the both salinity conditions. Meanwhile, 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ballast water effluent contained total residual oxidants (TROs) below $0.03{\mu}g/L$ and a total of 20 DBPs including bromate, volatile halogenated organic compounds (VOCs), halogenated acetonitriles (HANs), halogenated acetic acids (HAAs) and chloropicrin. Based on ERA, the 20 DBPs were not considered to have persistency, bioaccumulation and toxicity (PBT) properties. Except monobromoacetic acid, the ratio of predicted environmental concentration (PEC) to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 (PNEC) of the other 19 DBPs did not exceed 1. Thus, our results of WET testing and ERA indicated that the ballast water effluent treated by electrolysis and subsequently neutralization was considered to have no adverse impacts on marin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