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biotyp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9초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의 약제감수성과 효소활성 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e susceptibility and enzyme activities of biotype B and Q of Bemisia tabaci)

  • 김은희;성재욱;양정오;안희근;윤창만;서미자;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0-330
    • /
    • 2007
  • 충북 진천군 이월면 장미재배지와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16S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PCR 산물을 EcoT14 I (Sty I)과 Stu I을 처리한 결과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y I 에서 555pp와 311b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져 biotype Q임을 확인하였고, 충북진천군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u I에서 560bp와 3060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서 biotype B임을 확인하였다. 두 biotype에 대한 12종 살충제로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 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을 비교하였고,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저해정도를 검토하였다. 두 biotype간에 약제감수성 차이가 있었고,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엽면침투이행성과 근부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에서도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유기인계인 fenitrothion과 카바메이트계인 fenothiocarb의 저해제에 대해서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biotype Q가 B보다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담배가루이 biotype Q가 B보다 약제에 대해서 저항성임을 알 수 있었다.

고추와 토마토 품종별 담배가루이 B와 Q biotype의 섭식행동 비교 (Comparison of Feeding Behavior of B and Q biotypes of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against Red Pepper and Tomato Varieties)

  • 양정오;김은희;윤창만;안기수;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9-188
    • /
    • 2009
  • 담배가루이 B와 Q biotype은 토마토 모든 7개 시험품종에서 정상적인 발육을 하였으나 고추 품종에서의 발육은 다르게 나타났다. B biotype은 9개 고추 품종에서 모두 발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Q biotype은 정상적으로 발육하였다. 그러나 Q biotype은 녹광 품종에서는 낮은 우화율을 보였다. EPG를 이용한 체관부 섭식시간 분석에서 B와 Q biotype은 고추 품종에 대한 체관부 섭식시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Q가 B biotype보다 섭식시간이 길었다. 고추 품종에서 Q biotype은 녹광 품종에서 짧은 섭식시간을 보여주어 녹광 품종을 섭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고추 8개 품종에서는 섭식시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B biotype은 고추를 섭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마토 품종에 대한 두 biotype의 체관부 섭식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종의 살충제에 대한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의 섭식행동 비교 (Differentiation in Feeding Behaviour of Biotypes B and Q of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against Three Insecticides)

  • 서미자;양정오;윤창만;윤영남;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01-408
    • /
    • 2007
  • Acetamiprid, spinosad, thiamethoxam 3종류의 살충제에 대해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 타입간의 섭식행동을 EPG기법으로 분석하였다. 3종류의 살충제를 추천농도로 처리한 후 6시간동안 기록한 EPG waveform을 가지고 약제에 반응하여 최초로 구침을 빼기까지 소요된 시간, 전체 기록시간동안의 구침을 빼고 있는 시간, 구침활성이 일어나는 시간, 직접적인 섭식행동인 체관부 섭식시간 등을 조사, 비교분석하여 타입별 살충제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살충제간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3가지 살충제 모두 기록 시작 후 살충제에 반응하여 구침의 활성에 변화를 보이는 전체시간을 측정한 결과, B biotype이 Q biotype에 비해 구침의 활성시간이 높게 나타났으며, 체관부를 흡즙하는 시간은 반대로 적게 나타났다. 살충제에 반응하여 구침을 빼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B타입이 Q타입보다 빨리 나타났는데, 이는 살충제에 좀 더 빠르게 반응한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담배가루이 biotype B는 Q타입보다 식물체에 처리된 살충제를 빠르게 감지하며 섭식을 덜 함으로써 3가지 살충제에 대해 감수성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기지역에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및 약제반응 (Occurrence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emiptera: Aleyrodidae) and Its Response to Insecticide in Gyeonggi Area)

  • 이영수;김진영;홍순성;박정안;박홍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77-382
    • /
    • 2012
  • 경기지역에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및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담배가루이는 13개 시군에서 발생되었으며, 유전자(16S rRNA, MtCOI) 분석결과, 고양시 일부지역은 biotype B와 Q가 혼재되었으나, 그 밖의 지역에서 2005부터 국내 발생이 보고되었던 biotype Q로 나타났다. 채집곤충 및 기주식물의 total DNA에 대해 PCR을 통한 염기서열 분석과 southern hybridization 분석 결과 모든 지역에서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TYLCV)는 검출되지 않았다. 5개 지역에서 채집한 6 개체군의 담배가루이를 실내사육하면서 유묘검정법으로 성충에 대한 살충제 감수성을 검정한 결과,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의 경우 biotype B에게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낸 반면 biotype Q에게는 상대적으로 낮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Gennadius)(Homoptera: Aleyrodidae)의 형태적 특징과 DNA 표식자에 의한 biotype 판별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misia tabaci(Gennadius) (Homoptera: Aleyrodidae) and Discrimination of Their Biotypes in Korea by DNA Makers)

  • 이명렬;안성복;조왕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12
    • /
    • 2000
  • 임의증폭 다형 DNA(RAPD)와 미토콘드리아 12S, 16S rRNA 유전자의 제한단편 DNA 표식자에 의해 한국에서 발생하는 담배가루이 개체군들의 biotype을 판별하였다. 진천의 장미 온실과 서울 내곡동의 포인세티아 온실에서 발생한 담배가루이는 일본, 이스라엘, 호주의 B biotype 과 동일한 DNA 단편들을 보유하였다. 여러 지역의 노지 콩 (Glycine max), 고구마 (Ipomea batatas), 들깨 (Perilla frutescens)에서 채집된 담배가루이 개체군들은 일본 시코쿠의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에서 채집된 담배가루이와 같은 DNA로 표식되었다. 이들 non-B biotype은 한국, 일본 등 극동아시아 지역에 고유한 계통으로 보인다. 최근 한국에서 발견된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Gennadius)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한 형태적 특정을 온실 원예작물의 주요해충인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와 비교하여 기재하였다.

  • PDF

돼지에서 분리한 Yersinia enterocolitica의 생물형, 혈청형 및 항균제 감수성 (Biotype, serotype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Yersinia enterocolitica isolated from swine)

  • 박석기;최철순;전윤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3-76
    • /
    • 1992
  • A study on the isolation of Yersinia from the feces of healthy pigs and the biotype and serotype and susceptibility to 16 antimicrobials was carried. Out of 853 pigs, Yersiniae were isolated from 349 pigs(40.9%). Of 349 isolates, 289 isolates(82.8%) were Yersinia enterocolitica and 54(15.5%) were Y kristensenii, 3(0.9%) were Y pesudotuberculosis and the rest 3(0.9%) were Y prederiksenii. Out of 289 isolates of Y enterocolitica, the predominants biotype was 3B comprising of 165 isolates(57.1%) and followed by biotype 2, comprising of 49 isolates(17.0%), bioptype 3A, comprising of 41 isolates(14.2%) and biotype 4 comprising of 23 isolates(8.0%). And the predominant serotype was 0 : 3 comprising of 231 isolates(79.9%) and followed by serotype 0 : 9 comprising of 42 isolates(14.5%) and 0 : 21 comprising of 10 isolates(3.5%). Y. enterocolitica were resistant to cephalothin(99%), novobiocin(99%), erythromycine(83%), ampicillin(83%) and carbenicillin(81%) and susceptible to amikacin(100%), colistin(100%), gentamicin(100%), kanamycin(100%), polymyxin B(100%), tobramycin(100%), chloramphenicol(99%), nalidixic acid(99%), neomycin(99%), streptomycin(99%) and tetracycline(99%). Most strains of biotype 2/serotype 0 : 9 were susceptible to carbenicillin(100%) and ampicillin(61%) but the other biotype/serotypes were resistant to these antibiotic.

  • PDF

부산지역 약수터수로부터 Yersinia enterocolitica의 분리에 관한 연구 (Isolation of Yersinia enterocolitica from Springs water in Pusan Area)

  • 김미희;차인호;최철순;이상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9-227
    • /
    • 1997
  • On the purpose pf epidemiological study related to yersiniosis, a total of 720 aprings water collected from 60 points in the Pusan area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Y. enterocolitica and also the isolation rates, biotype, serotype, biochemical properti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Fifty-eight(8.0%) strains of Yersinia species were isolated from 720springs water. Isolation rate for each species was 49 (6.8%)strains of Y. enterocolitica, 3 (0.4%) strains of Y. pseudotuberculosis and 6 (0.8%) strains of y. frederiksenii. Seasonal distribution of isolated Yersinia sp. were shown considerably from November to April, and Y. enterocolitica was especoally isolated in order of January (20.4%), December (16.3%), March(14.3%) and April(8.2%). Isolated T. enterocolitica was divided into 4 kinds of biotype such as 1, 2, 3, and 3B. Distribution of each biotype was shown in order of biotype 1 (51.0%), biotype 2 (30.6%), biotype 3B (16.3%) and biotype 3 (2.1%). The serotypes pf 49 Y. enterocoliticawere typed 7 kinds of werotypes (0 ; 3, 0 : 5, 0 : 9, 0 : 13, 0 : 18 and 0 : 21), and serotype 0 : 8(34.7%). 0 : 9(30.6%) and 0 : 3(10.2%) were encountered most frequently.

  • PDF

담배가루이 B와 Q 계통의 국내 발생 상황 (Occurrence of the B- and Q-biotypes of Bemisia tabaci in Korea)

  • 이민호;강석영;이선영;이흥수;최준열;이관석;김황용;이시우;김선곤;엄기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9-175
    • /
    • 2005
  • 2005년 5월 충청이남 지역의 온실에서 담배가루이의 발생 상황을 조사한 결과 충남 북, 전남 및 경남에서 착색단고추, 토마토, 오이, 장미 등의 시설 재배지에 담배가루이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전북과 경북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다. 각 지역별로 발생한 담배가루이의 계통(biotype)과 근연관계를 조사할 목적으로 충을 채집하여 16S 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진천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의 16S DNA 염기서열은 일본 및 이스라엘에서 보고된 B 계통의 DNA와 상동성이 높았고 충남 부여, 경남 거제 및 전남 보성 채집 충은 상호간에 동일한 염기서열을 보여 주었으며 스페인과 이집트의 Q계통의 DNA와 99% 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담배가루이 Q 계통이 국내에 유입되었음을 알리는 최초의 보고이다. 이는 1998년부터 진천에서 발생한 담배가루이 B 계통과는 별도로 담배가루이 Q 계통이 최근에 국외의 동일한 지역내지는 국가로부터 이들 지역의 시설재배지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Efficacy of Brucella abortus strain RB51 vaccine in Korean mongrel dogs against virulent strains of B. abortus biotype 1 and B. canis

  • Hur, Jin;Baek, Byeong-Kirl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9-35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Brucella abortus strain RB51 (SRB51) might protect Korean indigenous mongrel dog against challenge with either virulent B. abortus biotype 1 or B. canis. A total of 12 Korean mongrel dog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A, B, C and D). Dogs belonging to Group A and C were inoculated subcutaneously with $1{\times}10^9$ CFU of SRB51 in 1ml of sterile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Dogs of Group B and D were inoculated subcutaneously with 1ml of sterile PBS as control. At 12 weeks post vaccination, dogs of Group A and B were challenged by oral inoculation of virulent strain of B. canis ($5.0{\times}10^9$ CFU) and dogs of Group C and D were challenged by oral inoculation of virulent strain of B. abortus biotype 1 ($4.4{\times}10^{10}$ CFU). The serum antibodies titers in all dogs were monitored at regular interval for eight weeks after challenge (AC) by 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plate agglutination test, rose bengal test, 2-mercaptoethanol rapid slide agglutination test and 2-mercaptoethanol tube agglutination test. No antibody titers in Group A and C was detected. Also, the challenge strains were not found from blood of all dogs of Group A and C from 1 week AC till the end of the experiment by culture and modified AMOS-PCR, whereas B. canis and B. abortus challenge strains were detected from blood of Group B and D, respectively. In addition, neither of two challenge bacteria was recovered from liver, spleen, kidneys, lymph nodes and reproductive tracts of Group A and C dogs after postmortem. However, B. canis and B. abortus challenge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se tissues of Group B and D, respectively. These data suggest that SRB51 could be a promising vaccine candidate for immunizing dogs to control canine brucellosis caused by B. canis or B. abortus.

한국과 중국 채집 담배가루이 지역계통의 B, Q biotype 분포 및 살충제 약제반응,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 보독율 비교 (Comparison of B and Q biotype distribution, insecticidal mortality, and TYLCV viruliferous rate between Korean and Chinese local populations of Bemisia tabaci)

  • 정인홍;박부용;이관석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16-624
    • /
    • 2020
  • 세계적인 침입해충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Gennadius)의 한국 계통과 중국 계통의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19년에 채집한 두 계통들의 biotype 분포, 살충제 반응, 바이러스 보독율을 조사하고 차이를 분석하였다. 미토콘드리아 COI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집단 분석한 결과 국내는 모든 지역계통에서 Q biotype만 발견되었으며, 중국은 B biotype (14.3%)과 Q biotype (85.7%)이 동시에 발견되었다. 담배가루이 Q biotype의 haplotpye 구성도 중국은 모두 Q1 그룹만 관찰되었고 Q1H1 (79.8%), Q1H2(20.2%)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한국은 Q1이 우세한 가운데 Q2도 관찰되었으며 Q1 그룹의 구성도 Q1H1 (1.7%), Q1H2 (97.5%)로 중국과는 크게 달랐다. 15종 살충제에 대한 약제반응은 국내 계통은 일부 약제를 제외하고 대부분 약제에서 충분한 살충력(mortality≥80%)을 보여주었으나 중국 계통은 40% 이하의 살충력을 보인 약제들이 다수 있었으며 한국보다는 높은 저항성을 갖고 있었다. 토마토 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의 보독율은 국내 계통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국의 경우 0~60%(평균 21.4%)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한국와 중국의 담배가루이 계통 간에는 유전적 조성과 살충제 반응, 바이러스 보독율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양국의 담배가루이가 서로 다른 유입 패턴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