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LP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7초

Benzo(a)pyrene에 의해 유도된 간기능 장해에 미치는 쑥의 효과 (The Effect of Mugwort Extracts on the Benzo(a)pyrene-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윤수홍;조수열;박은주;김성중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7권1_2호
    • /
    • pp.35-43
    • /
    • 1992
  • Mugwort has been used as a Korean folk medicine in treating liver diseases acting as an analgesics, sedative, diuresis, choleretics. This study was perfo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ugwort extracts on the changes of enzyme activities, lipid accumulation of the serum and liver, when hepatotoxicity was induced by benzo(a)pyre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ugwort water extract administration prevented the increase of serum and liver AST, ALT, LDH, ${\gamma}$-GTP, liver ALP activities and bilirubin content caused by B(a)P injection. 2. The increase of serum and liver ALT, LDH, ${\gamma}$-GTP, serum AST activities and liver bilirubin contents in B(a)P treated group were decreased by mugwort methanol extract treatment. 3. Serum and liver total cholesterol, phospholipid, triglyceride level and serum HDL-cholesterol level were increased by B(a)P treatment. After combined treatment of mugwort water and methanul extracts, these lipid conten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4. The hepatotropic effect of mugwort water extract and after-treatment against B(a)P induced hepatotoxicity was superior to that of methanol extract and pretreatment.

  • PDF

실험적 간장해에 대한 강활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koreana on Experimentally Induced Liver Injury)

  • 윤수홍;하현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2호
    • /
    • pp.161-165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possible 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koreana water extract on biochemical parameters in benzo(a)pyrene (B(a)P)-induced liver injury in rats. B(a)P treatment (0.1 mg/kg, 1.p.) caused a liver damages, which led to biochemical alterations in serum and liver enzyme activities and serum lipid levels. The activities of liver marker enzymes, especially,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were markedly changed in B(a)P treatment. Oral administration of Angelica koreana (50 mg/kg) recovered these biochemical Parameters to near normal levels.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have revealed that Angelica koreana water extract might have the antihepatotoxic effect and consequently ameliorate liver damage associated with B(a)P in rats.

기계적 자극이 치주인대 세포의 osteoprotegerin과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gressive tensional force on mRNA expression of osteoprotegerin an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in th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

  • 이기주;이승일;황충주;옥승호;전옥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2-274
    • /
    • 2005
  • 본 연구는 치주인대 세포에 지속적이고 점진적 인장력을 가하여 치아 이동 시 형성되는 인장부위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생화학적 전달과 치조골 흡수와 생성 조절 기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치주인대 세포가 배양된 유연한 성장 표면을 가진 배지에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인장력을 가하고 골흡수 인자인 $PGE_2$와 골형성 인자인 ALP의 생성량을 1 3 5. 12시간 후에 측정하여 정량비교하였고 파골세포 분화기전을 조절하는 OPG RANKL의 인자들과 matrix metalloproteinase(MMP)-1, -8, -9, -13, 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TIMP)-1의 인자들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검사하여 m-RNA 발현을 비교한 결과 치주인대 세포에 인장력을 가한 경우 대조 군보다 $PGE_2$의 농도가 적었고 (p<0.05) ALP의 농도 변화는 없었으며 OPG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RANKL의 mRNA 발현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TIMP-1과 MMP-1 -8 -9, -13의 mRNA 발현이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사람의 치주인대 세포는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인장력에 대한 반응으로 $PGE_2$의 생성과 RANKL의 mRNA 발현은 감소하고 OPG의 mRNA 발현은 증가하여 골흡수를 억제하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Guinea pig의 조직중 L-Ascorbic acid함량이 콜라겐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scorbic Acid Contents in Tissue on Collagen Synthesis in Guinea Pigs)

  • Yu, Rina;Kurata, Tadao;Arakawa, Nobuhiko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1-246
    • /
    • 1992
  • L-Ascorbic acid (AsA) 생합성이 불가능한 guinea pig을 실험 동물로 하여 collagne 함량이 높은 조직인 폐 및 피부중의 AsA함량과 동일조직중 collagne 함량이 높은 조직인 폐 및 피부중의 AsA 함량과 동일조직중 collagen의 proline잔기의 수산화율을 조사하여 collagne 생합성에 대한 조직중 AsA의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Guinea pig(체중 약 250g)를 AsA 무투여군(A), 투여군(B), 300mg/day 투여군(C)으로 나눠 14일간 사육한 후, 마취하에서 개복하여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채혈함과 동시에 간장과 폐를 적출하였으며, 등부위의 피부를 채취하여 분석용 시료로 하였다. 이들 시료로부터 혈청중 alkaline phosphatase (ALP)활성과 각조직중의 AsA 함량, proline 함량 및 그 수산화율, (1-$^{14}$ C) proline 의 incorporation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sA 토여군인 B, C군의 경우 순조로운 체중증가와 함께 혈청중 ALP활성도 정상값을 나타냈으며 현저한 ALP활성 저하가 관찰되었다. 한편, AsA 함량이 높을수록 (1-14C) proline 의 incorporation 양이 많고 collagne 중의 hydroxyproline 함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중의 collagen합성량과 AsA함량과의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 PDF

녹차가 납중독된 흰쥐의 신장에 미치는 조직학적 및 생화학적 연구 (Histological and Biochem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he Green-Tea in Rat Kidney Toxicated by Lead)

  • 정경아;노영복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273-283
    • /
    • 2000
  • 흰쥐에서 납 독성에 대한 녹차의 방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50g 내외의 흰쥐를 대조군, 납 단독투여군, 납-녹차 투여군으로 나누어 4주, 8주간 lead acetate (500 ppm)를 1주에 2번씩 복강 투여하였고, 녹차침수액(3g of tea/100m1 of water)은 식수로 공급하였다. 생화학적 및 형태학적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LP값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감소하였고, 납-녹차투여군은 납 단독투여군보다 감소가 완화되었다. BUN는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증가하였고, 납 녹차투여군은 납 단독투여군보다 증가가 완화되었다. 2. 신장의 전자현미경적 결과 B-1군은 미세융모, 사립체가 변형되었다. 다수의 리소좀이 관찰되었다. 핵의 모양은 불규칙하게 나타났다. B-2군은 미세융모가 잘 발달되었다. 다수의 사립체와 리소좀이 관찰되었다. rER의 수조는 팽창되고 수가 감소하였고 핵은 정상적으로 관찰되었다. C-1군은 대부분의 미세융모가 탈락, 변성되었고, 다수의 리소좀을 관찰할 수 있었다. 사립체는 감소, 변형되었다. 핵은 함입되어 불규칙하였다. C-2군은 미세융모의 일부가 팽창되거나 변화되었고, 다른 세포소기관들은 B-2군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다.

  • PDF

재조합 Alkaline Protease를 대량 생산하는 Aspergillus oryzae 균주개발 (Breeding of Aspergillus oryzae for the Alkaline Pretense Overproducing Strain.)

  • 이병로;유기원;최원균;최동성;임한진;성창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50-455
    • /
    • 1998
  • Alkaline protease를 대량생산하는 Aspergillus oryzae를 만들기 위하여 A. oryzae의 alkaline pretense 유전자 alpA를 고발현시키는 plasmid pTAalp를 제조하고 이 plasmid로 A. oryzae M-2-3 균주를 형질전환시켰다. 16개의 형질전환체를 얻어 이들의 protease생산성을 skim milk 분해에 의한 halo 형성능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protease 생산성이 증가한 형질전환체는 pTAalp가 multi-copy로 염색체 안에 integration되어 있음을 Southern blot에 의하여 확인하였고, 이들의 배양액을 polyacrylamide gel전기영동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형질전환체 No. 14에서는 전체 분비단백질의 80-90%가 alkaline protease 임을 알 수 있었다. 간장원료 분해실험의 결과 No. 14에 의한 원료분해액은 간장 양조용 대조균에 의한 분해액보다 TN이 증가하였으며 원료분해율도 1.4-1.5배로 증가되었다.

  • PDF

Periodontal ligament proliferation and expressions of bone biomolecules upon orthodontic preloading: Clinical implications for tooth autotransplantation

  • Phutinart, Sasathorn;Krisanaprakornkit, Suttichai;Makeudom, Anupong;Suzuki, Boonsiva;Suzuki, Eduardo Yug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88-196
    • /
    • 2020
  • Objective: Preservation of the periodontal ligament (PDL) is vital to the success of tooth autotransplantation (TAT). Increased PDL volumes and facilitated tooth extraction have been observed upon orthodontic preloading. However, it is unclear whether any changes occur in the expressions of bone biomolecules in the increased PDL volum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xpressions of 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 alkaline phosphatase (ALP),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 (RANKL), and osteoprotegerin (OPG) in PDL upon preloading. Methods: Seventy-two premolars from 18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s that received a leveling force for 1, 2, or 4 weeks or to a control unloaded group. Following extraction, PDL volumes from 32 premolars of eight patients (21.0 ± 3.8 years) were evaluated using toluidine blue staining. The expressions of the biomolecules in the PDL from 40 premolars of ten patients (21.4 ± 4.0 years) were analyzed via immunoblotting. Results: The median percentage of stained PDL was significantly higher at 2 and 4 weeks after preloading than in the unloaded condition (p < 0.05). The median RUNX2 and ALP ex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2 and 4 weeks after preloading than in the unloaded condition (p < 0.05), whereas the median RANKL/OPG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1 and 4 weeks after preloading (p < 0.05). Conclusions: Orthodontic preloading for 4 weeks enhances PDL volumes as well as the expressions of RUNX2, ALP and the RANKL/OPG ratio in the PDL, suggesting this loading period is suitable for successful TAT.

ODAM과 BMPRIB가 법랑질의 석회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DAM and BMPRIB on Enamel Mineralization)

  • 박종태;조광희;배현숙;조영식;김흥중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1
    • /
    • 2011
  • 최근에 Odontogenic ameloblast-associated protein (ODAM)은 MMP-20의 발현을 조절하여 법랑모세포 분화와 법랑질의 석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명확한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목적은 법랑모세포 분화와 법랑질의 석회화 과정에서의 ODAM의 생물학적 기능과 신호 전달 경로를 찾고자 하였다. Ameloblast-lineage cells (ALCs)를 이용하여 ODAM 재조합 단백질을 생성하고 ODAM 과발현 (ODAM overexpressing) 또는 ODAM 억제(ODAM silencing) 세포주를 만들었다. 세포들은 2주 동안 분화 배지에서 ODAM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는 군으로 나누어 배양하였다. ODAM의 신호 전달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ALCs에 BMP2와 BMP receptor 1B (BMPR-1B) 억제제인 BAMBI 재조합 단백질을 처리하였고, 또한 BMPR-1B siRNA 이용하여 BMPR-1B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단백질 발현은 western blot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석회화는 sense ODAM 과발현 세포와 ODAM 재조합 단백질을 첨가한 법랑모세포 세포주에서 증진되었다. 또한 ALP 활성화는 sense ODAM 과발현 세포와 ODAM 정제된 단백질를 첨가한 법랑모세포 세포주에서 뚜렷하게 증진되었다. 기관발생과 관련이 있는 BMPR-IB와 석회화 과정과 관련된 CBP2는 ODAM 과발현을 유도한 경우에는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ODAM 발현을 억제시킨 경우에는 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 실험의 결과는 법랑질 형성과정에서 ODAM이 법랑질 석회화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Evaluation of Hepatoprotectivte Activity of Citrullus Colocynthis Roots Against $CCl_4$ induced Toxicity in Albino Rats

  • Visen, P.K.S.;Saraf, S.A.;Mukerjee, Alo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3권1호
    • /
    • pp.23-26
    • /
    • 2007
  •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different extracts of Citrullus colocynthis L. sch. (roots) (cucurbitaceae) was investigated in albino rats by inducing hepatotoxicity with carbon tetrachloride. The alcoholic extract of Citrullus colocynthis sch. 100 mg/kg b.w. has been shown to posses significant hepatoprotective effect by lowering the serum level of transaminases (GPT & GOT), alkaline phosphate (ALP) and bilirubin (P < 0.05 to P < 0.001).

Effects of the Fraction of Sambucus Williamsii, NNMBS 246, on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 Kang, Soon-Il;Park, Jaesuh;Kwon, Il-Keun;Kim, Eun-Cheol
    • 셀메드
    • /
    • 제8권3호
    • /
    • pp.13.1-13.8
    • /
    • 2018
  • In the field of osteoporosi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anabolic agents that enhance bone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NMBS 246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with associated signaling pathways. NNMBS 246 markedly increase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calcium nodule formation. Stimulation with NNMBS 246 not only increased the differentiation markers (ALP, OPN, OCN) level and transcription markers (RUNX2, Osterix) mRNA expression but also upregulated the ECM molecules and OPG mRNA expression. Treatments of NNMBS 246 downregulated MMPs (MMP-1, MMP-2, MMP-9), but RANKL mRNA expression. Furthermore, NNMBS 246 activate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markers and formed calcium nodules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hPDLCs) and cementoblast cells. NNMBS 246 induced phosphorylation of MAPKs, Akt, nuclear p65 and IkB-${\alpha}$. BMP-2/Smad and ${\beta}$-catenin signaling pathways were activated by NNMBS 246. Sirtinol (SIRT1 inhibitor) inhibited NNMBS 246-induce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markers mRNA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NMBS 246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osteoblastogenesis probably through the activation of BMP/Smad and ${\beta}$-catenin signal pathways, and SIRT1 plays as critical mediator in bone anabolic effect of NNMBS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