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xle Counter System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열차 차축검지 신뢰성 향상을 위한 근접센서 방식 Axle Counter 적용 연구 (A Study of the Apply Proximity Sensor for Improved Reliability Axle Detection)

  • 박재영;최진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534-5540
    • /
    • 2015
  • 철도 신호제어시스템에서 열차의 위치 및 점유 유무를 검지하기 위하여 궤도회로 이외에 axle counter적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차검지 및 차축계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axle counter의 센서 방식을 지자기 센서 방식과 근접센서 방식을 비교하였으며, 그에 따른 차이점과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정확한 차축검지를 위한 센서부의 취부조건 등을 고려한 설치에 대해 현장 경험을 기반으로 적용된 결과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차축검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센서의 위상차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설계 변경한 결과 차축검지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까지(열차의 방향검지, 열차속도검지 등) 수행할 수 있는 확장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열차의 종별, 무게 등의 특성에 종속되지 않았으며, 자체적으로 제작한 차축검지를 위한 모의차축 이송장치와 Test Bed를 구축하여 Lab.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350km/h의 속도에서도 차축 검지의 누락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열차의 검지뿐만 아니라 통과하는 열차의 속도와 편성 수, 선로전환기 통과 시 철사쇄정 조건 그리고 건널목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향후 철도 신호제어 시스템 전반에 확대 적용하게 되면 열차안전운행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Research on Safety-related Communication of Railway Automatic Block Between Railway Stations System

  • Yun, Pei-Yan;Guo, 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2권3호
    • /
    • pp.127-130
    • /
    • 2009
  • The system improves the safety and efficiency of railway transport, combining the advanced axle-counter with single-track semiautomatic block. Using computer, to accomplish relay-based semiautomatic block logic operation and axle-counter to check section status, it will further increase the performance of railway transport. Safety-related communi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topics in railway signal system. By referring to relevant safety-related communication standards, to research on safety-related communication of Micro-computer automatic block between Railway Stations System, the thesis introduces the basic requirements, concept model, codes, and the process, etc.

  • PDF

Axle Counter System 국산화 개발을 위한 현장시험 결과분석 (A Result Analysis on Field Test for Localization Development of Axle Counter System)

  • 고준영;박재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214-6220
    • /
    • 2015
  • 열차위치 검지시스템에는 일반적으로 궤도회로장치가 거의 100여년을 안정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일반철도 구간의 역 구내, 측선, 해안선 구간 및 열차운행 빈도가 적은 지선 구간의 건널목 등에서는 녹 발생으로 궤도회로 단락불능에 따라 해소방안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고속철도의 차축온도검지시스템과 통신기반열차제어시스템 분기부 일부에 차축카운터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해외의 경우 많은 국가에서 차축카운터 시스템이 없는 간선 및 지방 철도를 상상하는 것은 이제 불가능하고 지하철, 전차, 그리고 산업철도에서 상당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철도 구간의 역 구내 측선의 본선 및 분기부에 시험적용을 위해 기존 설치되어 있는 궤도회로와 병렬로 설치하여 로그분석을 하여 차축카운터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오봉기지역 및 청주역 운행선 상 설치하여 연동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시험 및 이를 실용화하기 위한 시험결과를 분석하고, 시스템 안전측 설계, 제작 및 시스템 요구조건 등을 정립하였다.

자기유도형 근접센서를 활용한 고속철도용 차륜검지센서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Wheel Detection Sensor Using an Inductive Proximity Sensor for The High Speed Railway)

  • 이광희;이종현;서기범;윤석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5호
    • /
    • pp.895-901
    • /
    • 2016
  • Nowadays, the axle counter has been developed to the wide range of the track circuit blocks as well as the wheel detection device. The axle counter, as becoming an important device for the high speed railway, must be guaranteed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With considering the safety and the high speed, performance evaluation a wheel detection sensor is described in this paper. To increase the safety, digital proximity sensor instead of analog is employed in the wheel detection sensor. Therefor the wheel detection sensor can minimize noisy signals caused by the harsh railway environments. And, to meet the high speed railway requirements, the performance of the wheel detection sensor is also successfully verified using the speed simulator at the velocity 500Km/h.

무절연구간을 위한 열차위치검지방식 검토 (A review of the train position detection method for neutral section with energized condition)

  • 이태훈;이시빈;홍현표;이희순;박기범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00-1105
    • /
    • 2010
  • The high speed line and conventional line are a single-phase AC feeding system; and power supplies of different phases meet at SS(SubStation)s or SP(Sectioning Post)s. These sections should be negotiated with the main circuit breaker in the traction vehicle switched off, whereby the length of the neutral zone prevents the pantographs shunting adjacent overhead line section. In order for electric railway vehicles to make power running there, there must be a power supply changeover section (approx. for 1km), where a changeover switch changes a power supply to the other power supply of a train running direction sequentially. For a thorough changeover switching control, the precise train position detection is necessarily required. In this paper, to realize the ground-based train position detection method, configuration scheme of train position detection equipment is suggested by using track circuit and axle counter.

  • PDF

귀선전류를 이용한 레일절손 검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il Rupture Detection by the Return Current)

  • 김용규;윤용기;이종현;곽우현;이광희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7호
    • /
    • pp.1303-1310
    • /
    • 2016
  • The track circuit carries out a train detection using a electrical closed loop, and incidentally it detects the rail rupture using the track circuit current flowing rail. However, in the case of the axle counter or the Radio based train control system, it requires a new way for detecting the rail rupture because of not using the track circuit. To solve this problem, it periodically checks non-steady state of rail by the track inspection car. but real-time detection of the rail rupture is impossible.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feasibility to realize a real-time detection of rail rupture by using the return 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