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iation emissi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7초

비도로 수송에 의한 온실 가스 배출량 추정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Off-road Transportation)

  • 최민애;김정;이호진;장영기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211-217
    • /
    • 2010
  • 건설 장비, 항공 지상 지원 장비, 항만 하역 장비, 농림업 기계를 포함하는 비도로 수송 부문의 경우 IPCC Guidelines의 배출원 분류 코드에 비도로 수송(1A3e2)이 존재하나, 국내에서는 배출자료가 구축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 항공, 해운, 농림업에 해당하는 석유 통계 자료를 유종별로 구분하였고, 1996 및 2006 IPCC Guidelines에서 제시하는 배출 계수로 Tier 1 수준의 비도로 수송 부문 온실 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고 비교하였다. 그 결과, 1996 IPCC Guidelines과 2006 IPCC Guidelines에 의한 2007년 비도로 수송 온실 가스 배출량은 각각 4,919천ton $CO_2eq./yr$, 5,530천ton $CO_2eq./yr$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비도로 수송 온실 가스 배출량은 국내 수송 부문 온실 가스 배출량의 약 5.5%에 해당하는 양으로 추정되었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ETS)가 국내 항공사에 미치는 영향 및 항공사들의 전략적 대응방안 연구 (The Effect of Emission Trading System on Air Transport Industry and Airlines' Strategic Responses in Korea)

  • 윤한영;임종빈;박강성;박완규;박성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76-586
    • /
    • 2019
  • 파리협정 및 ICAO CORSIA 시행으로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의무감축목표가 강화된 만큼 국내선과 국제선의 항공기에서 배출되는 배출량 감축을 위한 항공사들의 전략적 대응은 절실해 보인다. 본 논문은 국내 항공운송산업에서 항공사들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을 기울임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제도적 문제점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향후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국내항공사들은 지난 3년간 배출량은 약 551만 KAU였던 반면 할당량은 약 485만 KAU에 불과하여 실제 할당량 대비 약 116% 온실가스가 배출되었고 이로 인해 국내 항공사들에는 약 107억 원의 추가 비용 부담이 발생하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둘째, 항공사들은 국내선뿐만 아니라 국제선 노선에서도 할당량 과부족에 따라 초과 배출량을 상쇄시키기 위해 초과할당량 유상 구매가 증가하게 되어 항공사의 추가비용 부담이 불가피한 전망이다. 셋째, 항공사들은 배출권거래제에 따른 전략적 대응으로 대규모 투자를 통한 친환경 고효율 항공기의 조기도입을 검토 중이나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되기 때문에 장기투자의 관점에서 점진적으로 추진할 수밖에 없다. 또한 항공사들은 엔진 세척, ULD 및 카트 경량화, 플랩 사용 확대 및 APU 사용 억제 등의 전략적 대응방안들을 적극 시행하고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감축 여력이 극히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주연합의 항공기 배출 규제 조치의 국제법적 고찰 (Legal Review on the Regulatory Measures of the European Union on Aircraft Emission)

  • 박원화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26
    • /
    • 2010
  • 환경 문제에 있어서 세계의 리더로서 앞 서 가는 구주연합(EU)은 2012년 1월 1일부터 EU 역.내외 항공기를 막론하고 EU 회원국 영토를 출발하고 도착하는 모든 항공기 운항자에 대하여 이들 항공기 엔진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규제하는 법 Directive 2008/101/EC를 2008년 제정, 공포하였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를 포함하여 EU를 운항하는 많은 EU 역외 항공사들은 지난 2004-2006년 3년간 연 평균 배출량의 97%만을 2012년 배출하고 2013년부터는 95%만을 배출 허용 받으며 부족한 배출량은 배출권 거래 시장에서 구입하여 충당하여야 한다. 상기 EU 조치는 다음과 같은 법적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EU의 법은 범 세계적 환경조약인 교토의정서가 선진국 그룹인 기후변화협약의 Annex I 국가에게만 이산화탄소 등 지구온난화가스 배출을 감축토록 한 것에 반한다. 교토의정서 제2조 2항은 지구온난화가스 감축에 있어서 항공기 배출에 관련한 체제를 ICAO를 통하여 해결하도록 위임하였는데 지역 기구인 EU가 이를 자체 지역에만 적용하기 위하여 작성한 것도 문제이다. 둘째, 역외 항공사들이 EU로 운항하는 데에 있어서 공해와 제3국의 상공을 비행하는데 EU 역내 비행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여사한 비행 중 발생하는 배출을 어떤 근거로 EU가 규제할 수 있는가이다. 셋째, EU 회원국들이 Annex I 국가로서 교토의정서 상 항공기의 국내운항 배출에 대하여서는 2012년까지 이미 배출 감축의무를 지고 있음을 감안할 때, 2012년부터 시행되는 항공기 배출 감축 조치에 non-Annex I 국가의 항공 운항자를 끌어들이면서 EU 항공사들이 적어도 2012년에는 예상치 않은 이득을 얻는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과거 유사한 EU 주도의 환경관련 국제 분쟁을 살펴본 후, 상기 EU 조치를 국제법적으로 조명하고 결론에서 EU의 조치에 대한 국내적 대처를 간략기술하였다.

  • PDF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Y2O3:Eu Fine Particle

  • Park, Ji-Koon;Kang, Sang-Sik;Kwak, Min-Gi;Choi, Seung-Suk;Kim, Jae-Hyung;Nam, Sang-Hee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6권4호
    • /
    • pp.169-172
    • /
    • 2005
  • [ $Y_2O_3:Eu$ ] powder was synthesized using a solution-combustion method by dissolving $(CH_3CO_2)_3Y$ and $(CH_3CO_2)_3$ Eu in methyl-alcohol solution. Results from X-ray diffractometery (XRD), thermogravimetry (TG)-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DTA) show that $Y_2O_3:Eu$ crystallizes completely when the dry powder is sintered at $500^{\circ}C$. The investigated optical properties were the photoluminescence emission spectra, the excitation spectra and luminescence decay curve. Europium (Eu) concentration had no observable effect on the optical spectrum which depended on the emission intensity. The mean lifetime of synthesized phosphors was $2.3\~2.6 ms$.

준 2차원 시스템에서 전자 변위 포텐셜 상호 작용에 의한 Si의 양자 전이 특성 (Qantum Transition properties of Si in Electron Deformation Potential Phonon Interacting Qusi Two Dimensional System)

  • 주석민;조현철;이수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502-507
    • /
    • 2019
  • 우리는 준 2차원 Landau 분할 시스템의 양자 광학 전이 특성을 실리콘(Si)에서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Squre wall 구속 포텐셜에 의한 전자 구속 시스템에 양자 수송 이론(QTR)을 적용하였습니다. 평형 평균 투영 계획(Equilibrium Average Projection Scheme : EAPS)으로 계획된 Liouville 방정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양자 전이를 분석하기 위해 포톤 방출 전이과정과 포논 흡수 전이 과정의 두 전이 과정에서 QTLW와 QTLS의 온도와 자기장 의존성을 비교하였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Si의 QTLW와 QTLS의 온도와 자기장의 증가하는 특성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우세한 산란 과정이 포논 방출 전이 과정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Analysing NOx and soot formations of an annular chamber with various types of biofuels

  • Joanne Zi Fen, Lim;Nurul Musfirah, Mazlan
    • Advances in aircraft and spacecraft science
    • /
    • 제9권6호
    • /
    • pp.537-551
    • /
    • 2022
  • The rapid decrease of fossil fuel resources and increa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aviation industries have become a severe issue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greenhouse effect. The use of biofuel becomes an option to alleviate issues related to unrenewable resources. This study presents a computational simulation of the biofuel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various alternative fuels in an annular combustion chamber designed for training aircraft. The biofuels used in this study are Sorghum Oil Methyl Ester (SOME), Spirulina Platensis Algae (SPA) and Camelina Hydrotreated Esters and Fatty Acids (CHEFA). Meanwhile, Jet-A is used as a baseline fuel. The fuel propertie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are being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terms of temperature and pressure profiles in addition to the formation of NOx and soot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Results obtained show that CHEFA fuel is the most recommended biofuel among all four tested fuels as it is being found that it burns with 37.6% lower temperature, 15.2% lower pressure, 89.5% lower NOx emission and 8.1% lower soot emission compared with the baseline fuel in same combustion chamber geometry with same initial parameters.

케로신/공기 와류 화염의 화학발광 세기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Characteristics of Chemiluminescence Intensities of Kerosene/Air Swirl Flames)

  • 이현재;서성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9권6호
    • /
    • pp.485-496
    • /
    • 2015
  • 본 논문은 와류 유동이 존재하는 케로신/공기 화염 자발광 특성을 실험적 접근방법으로 수행한 연구이다. 한국형 발사체 액체로켓엔진에 적용되는 Jet A-1 을 사용하였고, 와류 세기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의 스월러를 적용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와류 세기, 연소 공기온도 변화에 따른 화염 자발광을 분광기를 활용하여 계측하였다. 자발광 스펙트럼에서 $OH^*$, $CH^*$, $C_2{^*}$등의 라디칼에 의한 화학발광 특성을 파악하였다. 케로신 화염의 화학발광 세기는 와류 세기에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 연소 공기온도에 의한 영향은 적게 받았다. 특히 $C_2{^*}$ 화학발광 방출 세기는 와류 세기와 당량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화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라디칼 세기 비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I_{OH^*}/I_{CH^*}$ 화학발광 세기 비는 공기 유량 변화에 의한 당량비 변화를 지시하기가 적합하며, $I_{C_2{^*}}/I_{CH^*}$ 화학발광 세기 비는 연료 유량변화에 따른 당량비 변화를 지시하기에 적합하였다.

Selenide Glass Optical Fiber Doped with $Pr^{3+}$ for U-Band Optical Amplifier

  • Chung, Woon-Jin;Seo, Hong-Seok;Park, Bong-Je;Ahn, Joon-Tae;Choi, Yong-Gyu
    • ETRI Journal
    • /
    • 제27권4호
    • /
    • pp.411-417
    • /
    • 2005
  • $Pr^{3+}-doped$ selenide glass optical fiber, which guarantees single-mode propagation of above at least 1310 nm, has been successfully fabricated using a Ge-Ga-Sb-Se glass system. Thermal properties such a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viscosity of the glasses have been analyzed to find optimum conditions for fiber drawing. Attenuation loss incorporating the effects of an electronic band gap transition, Rayleigh scattering, and multiphonon absorption has also been theoretically estimated for the Ge-Ga-Sb-Se fiber. A conventional double crucible technique has been applied to fabricate the selenide fiber. The background loss of the fiber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0.64 dB/m at 1650 nm, which can be considered fairly good. When excited at approximately 1470 nm, $Pr^{3+}-doped$ selenide fiber resulted in 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and saturation behavior with increasing pump power in a U-band wavelength range of 1625 to 1675 nm.

  • PDF

CFRP 드릴링 공정에서의 공구의 특성에 따른 절삭부하와 공구마모 거동의 고찰 (Study on Tool Wear and Cutting Forces by Tool Properties in CFRP Drilling)

  • 박동섭;정영훈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83-88
    • /
    • 2017
  • Recently, the use of advanced materials with light weight significantly increases because of global regulation on CO2 emission. Especially,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one of the most promising advanced materials. Since CFRP has pretty higher strength per unit weight than steel, it is one of most popular materials in aviation industry and its application to automobile rises sharply. Especially, one of the frequent machining processes for CFRP is drilling to make a hole, however, CFRP drilling has troublesome limitations in hole quality and productivity induced due to delamination, splintering and severe tool wear. Particularly, cutting loads increase caused by tool wear makes delamination and splintering even severer. Therefore, tool wear monitoring or reduction in CFRP drilling must be considered seriously. In this study, we measured thrust force, flank wear, and tool surface temperature in drilling using various tools with different sizes and materials. Consequently, it was presented the effects of tool properties on drilled hole quality, thrust force and tool surface temperature.

디젤엔진 자동차의 EGR 및 공기 제어와 CPF 장치에 관련된 고장사례 고찰 (A Study for Failure Examples of Emission Gas Recirculation and Air Control and Catalyzed Particulate Filter System in Diesel Engine Vehicle)

  • 이일권;국창호;함성훈;이영숙;염광욱;유창배;김성모;임하영;안호철;이정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8-83
    • /
    • 2018
  • 이 논문은 디젤엔진 자동차의 EGR 및 공기 제어와 CPF 장치에 관련된 고장사례 연구이다. 첫 번째 사례는 엔진진공펌프 손상으로 인해 엔진오일이 EGR 밸브 내부 다이어프램 손상으로 인해 오일이 흡기로 유입되어 연소실로 들어가 불완전 연소함으로써 배기할 때 매연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사례의 원인은 공기제어 장치인 스로틀 플랩(throttle flap)을 점검하였을 때 스로틀 플랩이 고착되어 흡입공기량 부족에 의해 매연이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사례는, 배기가스 온도센서의 불량으로 인해 온도를 감지하지 못해 재생기능이 되지 않아 매연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배기가스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