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xiliary port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9초

A Study o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Turbo Pumps Installed in Ships

  • Lee, Sang-Il;Kim, You-Tae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7호
    • /
    • pp.1051-1060
    • /
    • 2008
  • Now days, various types of ships are operated to transport both cargo and passengers all around the world. Most of the important auxiliary machinery installed in those ships is fluid machinery such as pumps, compressors, and fans. A large percentage of fluid machinery is pumps which are classified as turbo and positive displacement pumps. This paper analyzes only turbo pumps out of the two types. This thesis has two aims: (a)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pumps installed in merchant and training ships and (b) to find the correlation among sea going pump kW, port pump kW, GE kW, ME MCR, number of pumps, ME kgf, pump kgf. Based on the ship's type, my paper seeks to find speci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head, flow rate, and kW. Moreover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number of pumps, rpm of pumps, pump kW/ME MCR and pump kW/GE kW under the conditions of seagoing and berthing according to the ship's type. In conclusion, (1) For the exact comparison, information on the head, kW, flow rate, number of pumps by ship's type, the pump installation status of the Merchant Ships and Training Ships were tabulated and compared in this paper. (2) In order to qualify one ship as the delegate ship, several methods were used.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indicates that the chosen ships could be justified as a suitable representation of ships of their own type. (3) The correlation of several values(total pump kW, port pump kW, GE kW, seagoing pump kW, pump weight, ME weight, ME MCR, number of pumps and ME kW) could be obtained.

출탕유도전극을 이용한 용융물의 출탕방법 및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and Methods of Electrode System for Tapping of Melts)

  • 문영표;최장영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5권3호
    • /
    • pp.499-503
    • /
    • 2016
  • For safety and economy reasons, hazardous waste including radioactive waste is desired to be converted into stable waste forms with a maximum volume reduction. High temperature melting technology using a plasma torch system can effectively treat even the non-flammable waste as desired. By far,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cess for melting the non-flammable waste is a tapping of melts because the melting point of a residual slag in the tapping hole is high and because the viscosity of the melt increases sharply when tapping out. In case of a stationary furnace with a slant tapping port on the side of furnace, a certain amount of melts is left in the tapping hole after tapping out. Because of this, at every end of a melting cycle, the tapping hole needs to be opened by tapping device. The developed tapping device of melts based on both a guide electrode and auxiliary electrode is adequate for the application to discharge of melts except that the consumption of the guide electrode is somewhat faster than expected. Melt is collected in the water cooled vessel.

VLSI 설계에서 캐리-세이브 가산기를 이용한 설계 블록들 간의 최적화 (Optimization Between Design Blocks using Carry-Save-Adders in VLSI Design)

  • 김태환;엄준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5호
    • /
    • pp.620-626
    • /
    • 1999
  • 캐리-세이브 가산기는 (CSA)는 실제 산업체에서 회로를 설계할 때 연산수식의 계산을 빠르게 처리하기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구성요소들 가운데 하나이다. [3]의 자료에 의하면 실제 회로 설계에서 나오는 전형적인 연산식에 CSA를 이용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최대 54%의 연산처리속도와 42%의 회로 면적 향상을 갖는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그 연산식이 하나의 설계 블록(sub-design)에 포함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도출된 것이다. 회로 설계 규모와 복잡도가 큰 응용이 많아지는 상황에서 설계 블록단위의 계층적 설계는 필수적인 추세이므로, CSA를 이용한 회로 최적화를 실현하기위해서는 설계 블록들간에 걸쳐있는 연산식에 대한 CSA 최적화 또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auxiliary port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설계 블록들간의 연산식에 대한 CSA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실험에서 우리가 제안한 기법은 회로의 전체적인 영역에 걸쳐 CSA를 적용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이 기법을 적용하지 않고 얻은 CSA 최적화 회로와 비교했을 때 회로에서의 연산식 계산속도와 그 회로 면적이 상당히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스퍼드 준설선 공정관리시스템을 이용한 항로준설작업의 평가 (Evaluation of Waterway Dredging Work using Spud Dredge Process Management System)

  • 이중우;정대득;조증언;김주영;오동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395-402
    • /
    • 2005
  • 해상 준설선을 이용한 항로의 준설시공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작업구역의 공간적 축소로 여유통항수역의 제공과 수면하의 위험물 배제로 안전항행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를 위해서는 준설선의 이동과 고정을 위한 보조장비의 적극적인 활용과 함께 부대 장비의 실시간 위치확인, 실시간 준설수심 확인 및 작업정보 등을 통합적인 정보로 제공하여 준설 작업의 자동화를 꾀해야 한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스퍼드 제어시스템을 비치한 준설선은 준설 시공시 준설구역 내 준설점 위치로 이동을 스퍼드로 하고 스퍼드는 자동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준설선의 능동적 이동에 의한 준설시공을 행하여 최소의 작업공간을 점유하게 되므로 항행하는 타 선박의 안전한 통과를 허용하면서 준설공사를 중단 없이 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퍼드 활용 항로준설시스템은 스퍼드의 거동괘적은 물론 전자해도와 함께 작업심도 자료를 동시에 제공하므로 신속한 작업성과까지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관리시스템과는 비교가 된다. 시스템 평가를 위한 부산항에서의 시험시공결과 일일 작업 시 기존의 앵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시간의 2배정도를 실제 투입할 수 있었으며, 준설시공 요건별 비교에서도 준비시간을 $38\%$ 절감할 수 있었고 준비작업에 필요한 작업인력을 1인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력단 반사전력을 이용하는 새로운 구조의 평형전력증폭기 설계 (Design of a New Balanced Power Amplifier Utilizing the Reflected Input Power)

  • 박천선;임종식;차현원;한상민;안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947-95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커플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종래의 평형전력증폭기의 입력측 반사전력을 별도의 보조증폭기의 입력으로 활용하여 성능을 개선한 새로운 구조의 평형전력증폭기를 제안한다. 평형증폭기 내의 개별 단일 증폭기의 정합이 완벽하지 못하므로 여기에서 반사된 전력이 하이브리드 커플러의 격리단자에서 터미네이션 시키는 것이 종래의 구성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격리단자에 터미네이션 대신 보조증폭기를 연결하여 누설전력이 입력되고, 보조증폭기의 출력이 최종적인 평형증폭기의 출력에 더해지므로 출력전력과 효율이 개선된다. 제시한 구조를 검증하기 위하여 종래의 평형전력증폭기와 제안된 평형전력증폭기를 실제 제작하고 측정한 결과를 보인다. 제시한 평형전력증폭기는 종래의 평형전력증폭기보다 약 3dB의 출력전력특성, 5.2%의 전력부가효율, 그리고 $5{\sim}10\;dBc$의 IMB3 개선효과를 갖는다.

FPSO의 온배수를 활용한 해수 DTEC 발전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a Water DTEC Power Generation System of the FPSO)

  • 송영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16
    • /
    • 2018
  • 인류의 한정된 석유자원의 개발은 유가의 상승과 함께 필연적으로 심해지역의 유전을 탐사하고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심해지역에는 심층수의 온도가 약 $4^{\circ}C$이고 표층수의 온도는 약 $30^{\circ}C$로 이때의 온도 차이를 이용하여 발전설비를 가동하는 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OTEC)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심해지역에 설치되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부유식 생산설비)에서 수심 100m의 해수를 냉각수로 이용하는 조건을 400m까지 변경하는 조건으로 하고, FPSO에서 냉각수로 사용되고 배출되는 해수를 이용하여 Discharged Thermal Energy Conversion(DTEC) 발전장치를 적용하는 방안을 설계하고 해석하였다. 기존의 설계 수심보다 깊은 수심에서 냉각수를 취수하여 DTEC 시스템을 적용하면 수심에 따라 보다 많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의 설계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FPSO와 OTEC 발전설비의 유사성을 고려하였을 때, 심해지역의 FPSO에 DTEC 시스템을 적용하여 기술을 축적하고 유전의 수명이 다한 뒤에 OTEC 발전설비로 개조한다면 자원개발과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효율적인 해기사 실습교육제도의 개발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Training Education System for Merchant Marine Officers)

  • 정연철;박진수;김성규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3-70
    • /
    • 1990
  • Much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training education system for last decades. however, it still leaves much room form improving the system.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have been many changes in given educational conditions, national and international, and that there existed the lack of training facilities on shore and the limits of capacity on the training ship. The existing program adopts a straight-through system of which the course has to be completed at same time, and also forces students to study the course, disregarding their aptitude for sea life. Consequently, the program resulted in frustrating the learning desire of some students and, as a consequence, in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the entire training education.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efficient training program including curriculla by the literature survey and the teaching and sea experiences on the training ship "HANBADA" and merchant ships, where the authors have been for many years. Compared with the existing one, the new training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has some advantages as follows : First, the new model adopts multi-state system which consists of various short-term training courses according to each purpose. This system will be helpful for student to find their aptitude for sea life earlier and to understand classes of major subjection shore. Second, the model includes new curriculla which consist of core subjects (for example, navigation, marine operation, marine transportation, watch keeping and nautical English for deck cadets and internal and external combustion engine, auxiliary machinery, electric and electronics and engine maintenance for engine cadets), by incorporating existing 20 subjects in 5 subjects. These curriculla may contribute to embody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education where the above mentioned subjects must be linked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this new training model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e following prerequisties must be prepared : $\circled1$ The contents of each subject included in the new model should be systematically developed. $\circled2$ The educational schedule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ew model.new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