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xiliary port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2초

반응형 웹 기반 선박 보조기기 및 배관 상태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Responsive Web-based Vessel Auxiliary Equipment and Pipe Condition Diagnosis Monitoring System)

  • 박순호;최우근;최경열;권상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562-569
    • /
    • 2022
  • 기존 운항선박에 적용되어 있는 알람 모니터링 기술은 온도, 압력 등의 데이터 항목을 AMS(Alarm Monitoring System)으로 관리하고 해당 센싱 데이터가 정상 수준 범위를 초과할 경우만 선원에게 알람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 선박의 정비는 PMS(Planned Maintenance System)를 따른다. 이는 장비로부터 측정된 센싱 데이터가 설정범위 이상으로 측정되어 이에 따른 알람을 통해 정비하거나, 대상 기기의 고장 유무에 관계없이 일정 시간 사용 후 해당 부품을 사전에 교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선박 기관운영의 신뢰성과 운항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데이터 기반의 사전적 진단 및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실선 데이터를 종합적으로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를 선박의 보조기기와 배관의 상태기반 예지보전을 위한 상태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특히 반응형 웹 기반으로 선박의 보조기기와 배관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선내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에서 보는 용도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접근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화면과 해상도에 맞춰 최적화된 상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업데이트 비용이 적게 들며, 관리 방법도 쉽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운항선박 핵심 기술인 상태기반정비(Condition Based Management, CBM)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선박의 보조기기 중 펌프와 청정기, 그리고 배관 중 해수 및 스팀 배관의 상태 진단 모니터링을 통해 이상 현상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융합 분석할 수 있도록 선박 보조기기 및 배관의 성능 진단 및 고장 예측에 활용하여 예방정비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디스플레이포트 인터페이스의 AUX 채널 설계 (A Design of DisplayPort AUX Channel)

  • 차성복;윤광희;김태호;강진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7
    • /
    • 2010
  • 본 논문은 디스플레이포트 v1.1a 표준에 적합한 AUX(Auxiliary) 채널 구현에 대한 논문이다. 디스플레이포트는 영상 및 음성을 전달하기 하기 위해 메인 링크, AUX 채널, 핫 플러그 검출 라인을 사용한다. 등시적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소스 디바이스는 메인 링크를 통해 전달될 영상 및 음성 신호를 특정 형태로 변환하여 재구성하고 싱크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AUX 채널은 메인 링크를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소스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디바이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핫 플러그 검출 라인은 두 디바이스간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본 논문은 AUX 채널 구현을 목표로 설계하였으며 설계된 시스템은 SoC Master3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합성 툴은 Xilinx ISE 9.2i를 사용하여 3315개의 LUTs와 1466개의 Flip Flops을 사용하였고 최대 168.782MHz 동작 속도의 결과를 얻었다.

Design of Air-Lifted Seawater Propulsion System (ALSP) for Ecoships' Auxiliary Propulsion 1

  • Lee, Jae-hyu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2호
    • /
    • pp.15-20
    • /
    • 2021
  • We constructed an air-lifted seawater propulsion system for decreasing fuel consumption of the ships. The system has a form of pipes which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sides of the ship. Seawater mixed with air, will rise along within the pipe, and will be discharged downward. If the directions of inlet / outlet of the pipe are designed properly, a propulsive energy can be obtained. We tested the system with a model ship in Jangsa port at Sokcho-city with a water depth of 2.5 meters. The system was supplied regulated air at 6 bars during the 3 tests. The model ship was moving forward at a rate of 0.18 meters per second. In case of large ships equipped zfrom clean energy.

UGC의 복합식 Anti-sway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sway System of the UGC)

  • 김두형;신영재;박경택;박찬훈;김태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9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81-291
    • /
    • 1999
  • Productivity of container cranes and gantry cranes is influenced by the performance of crane hardware and cycle time. Cycle time in container handling is influenced by the path of containers and relative positioning of containers. So we have to minimize the sway of containers and spreaders to minimize relative positioning time. And sway minimization is influenced by the skill of workers in manual gantry cranes. In this paper, we will develop anti-sway system using mechanical and electrical method. Proposed hybrid system uses the basic structure of general manual gantry crane. So, it is very useful and effective. Electrical methods are main methods and mechanical methods are auxiliary methods.

  • PDF

A Study o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of Positive Displacement Pumps Installed in Ships

  • Lee, Sang-Il;Kim, You-Tae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2권3호
    • /
    • pp.421-429
    • /
    • 2008
  • Various kinds of ship are operated to transport cargo or passengers at sea in the world. Most of the important auxiliary machineries installed in those ships are fluid machineries such as pumps, compressors, and fans. A large percentage of fluid machinery is pumps which are classified turbo and positive displacement pumps. This paper analyzes only positive displacement pumps. This thesis has two aims: (a)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pumps installed in merchant and training ships and (b) to find the correlation among sea going pump kW, port pump kW, total pump kW, GE kW, ME MCR, number of pumps, ME kgf, pump kgf. Based on ship's type, this paper seeks to find speci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head, flow rate, and kW. Moreover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number of pumps, pump kW/ME MCR, pump kW/GE kW under the conditions of seagoing and berthing according to ship's type.

대형 직접분사식 CNG기관의 희박한계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ansion of Lean Limit for Heavy-Duty DI Engine with Compressed Natural Gas)

  • ;이광주;이종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735-74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직접분사식 CNG기관의 희박한계를 보다 확장하여 고효율 및 저배기 공해를 실현시키고자 실린더 내에 고압의 천연가스를 직접분사함과 동시에 흡입과정 중 흡기관 내에 소량의 저압천연가스를 보조분사하는 경우의 희박한계 확장 및 제반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흡기보조분사가 없을 경우 희박한계가 ${\lambda}$ = 1.4 까지였으나, 흡기보조분사율이 5~15% 정도에서는 희박한계가 ${\lambda}$ = 1.5 까지 확장되었다. 이는 흡기보조분사에 따른 혼합기의 혼합율 향상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연소기간은 줄어들었지만, 흡기보조분사의 효과는 주연소기간에서 조기연소기간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Remote Reading of Surgical Monitor's Physiological Readings: An Image Processing Approach

  • Weerathunga, Haritha;Vidanage, Kaneek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7호
    • /
    • pp.308-314
    • /
    • 2022
  • As a result of the global effect of infectious diseases like COVID-19, remote patient monitoring has become a vital need. Surgical ICU monitors are attached around the clock for patients in critical care. Most ICU monitor systems, on the other hand, lack an output port for transferring data to an auxiliary device for post-processing. Similarly, strapping a slew of wearables to a patient for remote monitoring creates a great deal of discomfort and limits the patient's mobility. Hence, an unique remote monitoring technique for the ICU monitor's physiologically vital readings has been presented, recognizing this need as a research gap. This mechanism has been put to the test in a variety of modes, yielding an overall accuracy of close to 90%.

사용자 위치별 단방향 Network RTK 측위 성능 예측 (Prediction on the Performance Variation by the Rover Position of the One-way Network RTK)

  • 박병운;왕남경;기창돈;박흥원;서승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7-108
    • /
    • 2014
  • 최근 정밀 항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과거 측량 분야에서 전용되던 정밀 측위인 RTK(Real Time Kinematics)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단일 기준국 RTK나 양방향 Network RTK기술인 VRS(Virtual Reference Station)는 측량에 사용될 정도로 측위 정확도 성능은 매우 우수하나, 기본적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제한된 수의 정지 측량을 가정하므로, 광역에서 이동하는 무한한 항체를 그 대상으로 하는 항법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광역에서 적용 가능한 보정정보를 단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는 Network RTK 기술들이 최근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단방향 Network RTK 기술인 MAC(Master-Auxiliary Concept), FKP (Flachenkorrekturparameter)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한다. 특히 기준국-사용자 간 기하학적인 관계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도 36.5~37도, 경도 127~127.5도 지역에 대하여 0.1도 간격의 격자에 위치한 사용자의 측위 정확도, 미지정수 결정 시간, 보정정보 데이터량 등을 추정하여 비교한다.

  • PDF

DEA Window 모형을 활용한 한국의 내항여객운송항로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Korea's Domestic Passenger Shipping Routes using DEA Window)

  • 김태일;박성화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3-127
    • /
    • 2022
  • 본 연구는 DEA Window 모형을 활용하여 국내 내항여객운송항로 90개 항로를 의사결정단위(DMU: Decision Making Unit)하여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015~2019년 데이터를 원도우 3기로 구분하고, 선박의 운항횟수, 선박총톤수 및 운항거리를 투입변수로, 일반인 및 도서민 운송실적을 산출변수로 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대적 효율성이 낮은 항로에 대해서는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수익항로로 민간사업자가 선박을 운항하고 있는 일반항로와 비수익항로로 국가가 지원하고 있는 보조항로에 대해 효율성 평가를 하였다. 아울러 CCR모형의 기술효율성(technical efficiency: TE)과 BCC모형의 순수기술 효율성(pure technical efficiency: PTE) 값을 활용하여 규모효율성(scale efficiency: SE)을 도출하였다. 항로의 비효율성은 규모효율성(SE)보다 순수기술 효율성(PTE)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나타난 각 항로에 대한 개선사항을 고려하여 내항여객운송항로 정책 수립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스퍼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항로준설작업의 평가 (Evaluation of Waterway Dredging Work using Spud Control System)

  • 이중우;정대득;조증언;오동훈;금동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71
    • /
    • 2005
  • 해상 준설선을 이용한 항로의 준설시공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작업구역의 공간적 축소로 여유통항수역의 제공과 수면하의 위험물 배제로 안정항행을 제공하는 것이 기본이다. 이를 위해서는 준설선의 이동과 고정을 위한 보조장치의 적극적인 활용과 함께 부대 장비의 실시간 위치 확인, 실시간 준설수심 확인 및 작업정보 등을 통합적인 정보로 제공하여 준설 작업의 자동화를 꾀해야 한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스퍼드 제어시스템을 비치한 준설선은 준설 시공시 준설구역 내 준설점 위치로 이동을 스퍼드로 하고 스퍼드는 자동제어 기술을 적용하여 준설선이 능동적 이동에 의한 준설시공을 행하여 최소의 작업공간을 점유하게 되므로 항행하는 타 선박의 안전한 통과를 허용하면서 준설공사를 중단 없이 시공할수 있다. 또한, 스퍼드 활용 항로준설시스템은 스퍼드의 거동쾌적은 물론 전자해도와 함께 작업심도 자료를 동시에 제공하므로 신속한 작업성과까지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관리시스템과는 비교가 된다. 시스템 평가를 위한 부상항에서의 시험시공결과 일일 작업 시 기존의 앵카시스템을 이용한 작업시간의 2배정도를 실제 투입할 수 있었으며, 준설시공 요건별 비교에서도 준비시간을 38% 절감할 수 있었으며, 준비작업에 필요한 작업인력을 1인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