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tion on the Performance Variation by the Rover Position of the One-way Network RTK

사용자 위치별 단방향 Network RTK 측위 성능 예측

  • Published : 2014.06.12

Abstract

As the demand for precise navigation has increased, more focus is put on the precise positioning, RTK(Real Time Kinematics) which has been used in the surveying field. The Position of Single Reference Station RTK or two-way network RTK such as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is accurate enough to be used as a main technology in land surveying, however its service area and number of users is limited and the users are assumed static. This characteristic is not suitable to the navigation, whose service target is infinite number of users moving over a wide area. One-way network RTK has recently been suggested as a solution for the precise navigation technique for the mobile user. This paper shows the performance prediction of the one-way network RTK such as MAC(Master-Auxiliary Concept), or FKP (Flachenkorrekturparameter). To show the performance variation by the rover position, we constructed a simulation data of users on the grid with 0.1 degree spacing between 36.5 and 37 degree latitude and between 127 and 127.5 degree longitude.

최근 정밀 항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과거 측량 분야에서 전용되던 정밀 측위인 RTK(Real Time Kinematics)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단일 기준국 RTK나 양방향 Network RTK기술인 VRS(Virtual Reference Station)는 측량에 사용될 정도로 측위 정확도 성능은 매우 우수하나, 기본적으로 제한된 공간에서 제한된 수의 정지 측량을 가정하므로, 광역에서 이동하는 무한한 항체를 그 대상으로 하는 항법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광역에서 적용 가능한 보정정보를 단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는 Network RTK 기술들이 최근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단방향 Network RTK 기술인 MAC(Master-Auxiliary Concept), FKP (Flachenkorrekturparameter)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한다. 특히 기준국-사용자 간 기하학적인 관계에 따른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도 36.5~37도, 경도 127~127.5도 지역에 대하여 0.1도 간격의 격자에 위치한 사용자의 측위 정확도, 미지정수 결정 시간, 보정정보 데이터량 등을 추정하여 비교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