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y Model

검색결과 312건 처리시간 0.027초

직무자율성과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지식공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Job Autonomy and Self-Efficacy on Cre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Knowledge Sharing in Smart Work Environment)

  • 고은정;이성진;김상수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163-185
    • /
    • 2018
  • In order to solve problems in an uncertain and complicated management environment of the modern world, a creative solution that combines diverse perspectives, knowledge, and effort based on diversity within an organization is required. Smart work environmen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 potential diversity of an individual, extending the source of ideas to the organization, enhancing communication, and linking and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So, this results in increased creative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shar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of organizational members on creative behavior and the effect of smart work environment in the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oles of job autonomy, self-efficacy, knowledge sharing and smart work environment in creative process. For the study, 353 surveys with work use group(156 people) and unused group(197 peopl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job autonomy had positive effects on creative behavior and knowledge sharing, and job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Knowledge sharing has a positive effect on creative behavior, and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job autonomy and creative behavior. Particularly, knowledge sharing has a more positive effect on smart work use group. In case of smart work use group, self-efficacy and job autonomy have a relatively high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rather than direct influence on creative behavior appear.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achievements of smart work are revealed in terms of knowledge sharing and creative behavior.

지적분야 종사자의 자율성 정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Autonomy in Cadastral Employees - the mediating effects of leadership -)

  • 오정석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2호
    • /
    • pp.45-5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분야 종사자의 자율성 정도, 리더십, 조직성과 간에 영향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설문조사는 대한지적공사 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SPSS 20.0과 AMOS19.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이 조직성과(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으며, 단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기존 연구는 자율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이 있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자율성이 높다고 해서 조직성과가 높아지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아마도 이 결과는 분석대상이 공공부문이기 때문일 것이다. 둘째, 자율성과 조직성과간 관계에서 리더십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리더십은 지적분야 종사자가 직무에 만족하고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실천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즉, 업무의 특성과 공기업이라는 특수성으로 자율성이 잘 보장되지 않는 상황을 리더십을 통해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지적분야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사례보고> 건강격차 해결을 위한 주민참여형 보건사업: 주민자치회 중심 전략개발 (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Project to Reduce Health Disparity: Focusing on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 홍남수;김건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8권3호
    • /
    • pp.165-177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수준 격차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 1) 중재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2) 중재모형 평가를 통해 지역 간 격차 해소 전략을 제시하였다. 취약지역 1개동을 선정하여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주민자치회를 기반으로 주민건강조직을 구성하고 역량강화 교육을 시행하였다. 리빙랩을 활용하여 주민건강조직 중심으로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하였다. 이러한 주민참여 활동을 바탕으로 주민자치회 건강행복분과를 신설하여 지속적인 사업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사업 평가를 통해서 주민자치회 건강분과를 중심으로 보건소, 주민센터 등이 협력하고, 보건영역과 공동체 영역에서 사업을 지원하는 사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민자치회가 주민건강조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민참여나 자치활동과의 연계를 통해서 주민참여형 보건사업 전략이 활성화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사이트 가격 정책 기반의 그리드 어카운팅 모델 설계 (Design of Grid Accounting Model Based on Site Price Policy)

  • 황호전;안동언;정성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3A권1호
    • /
    • pp.35-44
    • /
    • 2006
  • 그리드 자원의 안정적인 수요와 공급이 뒷받침되기 위해서는 유틸리티 모델을 지향하는 그리드 어카운팅 모델이 필수적이다. 현재 개발된 대부분의 그리드 어카운팅 시스템들은 로컬 어카운팅 시스템을 변경함으로써 사이트의 자율성을 침해하거나, 사이트의 가격 정책에 따른 가변 비용을 고려하지 않은 채로 그리드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산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 참여하는 사이트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다양한 과금 정책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이트 가격 정책 기반의 그리드 어카운팅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그리드에 참여하는 엔티티들간에 어카운팅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GGF-UR 포맷으로 변환하여 Resource Usage Service가 가능하도록 제안한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그리드 어카운팅 모델은 기존의 어카운팅 시스템들에 비해 사이트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 정교한 과금 정책을 필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로 평가된다.

조직 기업가 정신이 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 외식 프랜차이즈 산업 (The Impa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Employee Commitment and Performance: Evidence from the Korean Food Franchising Sector)

  • 박희현;류용규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7권2호
    • /
    • pp.5-14
    • /
    • 2016
  • Purpose - Competitive industry structure and recent economic depression challenge a survival of Korean small- and medium-sized food franchising companies (SMFCs), albeit the explosive growth of the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for last few decades. Against this backdrop, it examines how these SMFCs overcome liabilities of smallness and resource scarcity to strengthen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To tackle this, in this article we focus o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human resources as a knowledge-based asset for these SMFCs. Furthermore, the ratio of employee turnover is high in SMFCs. We view that such brain-drain may result in poor performance of the Korean SMFCs. As such, we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an organization as a solution for enhancing individual-level employees' loyalty toward their organiz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ur research question is to what extent corporate entrepreneurship (i.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autonomy, and administrative innovation) affects an individual-level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and, in turn, employee creativity and satisfaction in the Korean SMFCs context. We collected data from employees in SMFCs for three months. A total of 126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ath modeling. Results - The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model feed into testing the structural model. Our findings suggest that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autonomy positively affect employee commitment. Particularly, organizational autonomy has a greater effect than innovative culture on employee commitmen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innovation and employee commitment is not significant. We also find that employee commitment positively affects both employee creativity and satisfaction. Conclusions - Our contribution to the existing franchising business and management literature is twofold. First, the conceptual model includes three antecedents in the organizational entrepreneurship dimension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we conceptualize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employee commitment, and validate its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and job satisfaction at an individual performance level. Overall, this article suggests that it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Korean SMFCs to develop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facilitate employees'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ir organizations.

치위생과정(ADPIE)의 임상적용 가능성과 실천방안 모색 (A Study on Clinical Feasibility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Dental Hygiene Process (ADPIE))

  • 이주영;한경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3-441
    • /
    • 2014
  • 치위생과정을 임상에서 활용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SEM을 이용하여 치과위생사 업무 자율성과 치위생과정의 임상적용 기대효과 및 장애요인이 임상적용 의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치위생과정에 대한 태도가 임상적용 의향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적 모형은 ${\chi}^2=421.67$, GFI=0.858, CFI=0.915, TLI=0.896, RMR=0.039, RMSEA=0.099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SEM을 검증한 결과, 치과위생사 업무 자율성(${\beta}=0.398$, p<0.05)과 치위생과정 기대효과(${\beta}=0.363$, p<0.01)는 치위생과정 태도에 정(+)의 방향으로, 치위생과정 태도(${\beta}=0.678$, p<0.05)는 임상적용 의향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 업무 자율성(${\beta}=0.269$, p<0.05)과 기대효과(${\beta}=0.246$, p<0.01)는 치위생과정 태도를 매개로 임상적용 의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의 결과로 치과위생사의 업무 자율성, 치위생과정에 대한 기대효과와 태도는 임상적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위생과정을 임상에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치과위생사 역량을 제고하여 업무 자율성을 확보해야 하며, 치위생과정에 대한 경영적 효과와 가치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술사용이 근로환경과 근로자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Impact of use of Technology on Work Environment and the Health of Workers)

  • 김영선;이경용;진주현;김기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46-153
    • /
    • 2014
  • This study looks at the impact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of the working conditions on the health of workers depending on whether technology is used by such workers. The data used for the study is the third work environment survey. Out of 50,032 respondents, a total of 29,711 paid workers were used as analysis subjects. Although it was anticipated that the use of technology was a factor that hindered job autonomy and teamwork autonomy.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showed low levels of job autonomy and teamwork autonomy in the group that did not use technology. The study assumes a regression analysis model about work environment and work organizational practices of workspaces that have an impact on musculoskeletal complaints, stress symptoms and level of work satisfaction by controlling the social demographic variable that represents the level of individual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e study, ergonomic risk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groups that did or did not use technology with respect to stress symptoms, musculoskeletal complaints and level of work satisfaction. In particular, as workspace practices and work environment had an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musculoskeletal complaints in the group that used machines, there is a need to improve such situation. The autonomous team work or level of job autonomy within the group that used technology may act as a risk factor to the health and welfare of workers. However, because it may also act as a buffer factor,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to reduce stress symptoms and increase the level of work satisfaction by improving autonomous team work and the level of job autonomy.

직무자율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Innovative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 진윤희;김성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51-461
    • /
    • 2015
  • 공기업에서 혁신행동을 유발하는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에서 출발하여 직무자율성을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적 분석결과로 부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연구가 수행되었다. 공공조직의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관한 이론이 잘 정립되지 못해 일반 조직행태 분야 선행연구에서 주로 사용하는 직무자율성, 직무열의 등의 변수들이 공공조직의 혁신행동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연구를 기획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 검증이 이루어졌고 분석결과 직무자율성인식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부분적 매개변수로 작용함이 나타났다. 직무열의가 직무자율성인식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한다는 것은 행동의 준비상태인 태도를 구성하는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요소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통한 확인이라는 점에서 이론적 기여가 있다. 실무적 차원에서는 공기업에서도 직무자율성을 높이는 것을 통해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태도를 불러일으키고 혁신행동을 격려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성과관리와 같은 제도적 수단과 함께 업무계획의 수립, 업무수행방법의 선택 등에 관한 결정을 할 수 있는 자율성을 보장해줌으로써 직무수행과정에서 열정을 느끼고 궁극적으로 혁신행동을 유발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자율적이고 지능적인 리소스 모델에 기반한 프랙탈 생산시스템 (Fractal Manufacturing System (FrMS) based on Autonomous and Intelligent Resource Model (AIR-model))

  • 신문수;정무영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8-353
    • /
    • 2006
  • Autonomous and intelligent resource model (AIR-model) defines a building-block of complex systems to pursue value creation by means of diverse resources, referred to as an AIR-unit, and presents a collaboration model with the AIR-units. An AIR-unit represents a piece of resources, such as machines, labor, raw materials, and other assets, considered individually by a complex system as means to accomplish given tasks. It is defined with its own service capability and a goal, and pursues achieving the goal by means of the capability. Moreover, an Air-unit is equipped with autonomy and intelligence, whereby it makes a decision on its course of action on its own initiative. Air-units collaborate on system operations with each other through goal-oriented negotiations. In this research, distinctive features of the AIR-model are addressed and described in detail. Principal components of the AIR-model are also designed via object-oriented modeling techniques. A prototype system based on the AIR-model is finally presented as an embodiment tool of a fractal manufacturing system (FrMS).

  • PDF

국제상사중재판정의 준거법선택에 있어서 당사자자치의 원칙 - 당사자에 의한 lex mercatoria의 선택과 준거법 분할지정의 가능여부를 중심으로 - (The Party's Autonomy Principle on the Choice of the Applicable law to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l Awards - Focus on the Choice of the Lex Rercatoria and the Possibility of $d\acute{e}pe\c{c}age$ by the Party -)

  • 오석웅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17권1호
    • /
    • pp.117-136
    • /
    • 2007
  • Currently, it is the general trend that the party's autonomy principle is applicable in determining the applicable law for the international private law and the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make research on the party's autonomy principle for the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l awards. For this purpose ist to analyse regal issue the applicability of the lex mercatoria and the possibility of $d\acute{e}pe\c{c}age$ relating to the party autonomy. In this Article ist dealt with Art. 29 para. 1 of the Korean Arbitration Act in comparison with Art. 28 para. 1 UNCITRAL Model Law and Art. 1051 para. 1 of the German Code of Civil Procedure. The Art. 28 para. 1 UNCITRAL Model Law and Art. 1051 para. 1 of the German Code of Civil Procedure provides equally. "The arbitral tribunal shall decide the dispute in accordence with such 'rules of law' as chosen by the parties as applicable to the substance of the dispute. Any designation of the law or legal system of a given State shall be construed, unless otherwise expressed, as directly referring to the substantive law of that State and not to its conflict of laws rules." The term 'rule of law' used to describe the applicability of the lex mercatoria and the possibility $d\acute{e}pe\c{c}age$. Unlike Art. 28 para. 1 UNCITRAL Model Law and Art. 1051 para.1 of the German Code of Civil Procedure. Act, Art. 29(1) of the Korean Arbitration Act provides that the arbitral tribunal shall decide the dispute in accordence with the 'law' chosen by the parties as applicable to the substance of the dispute. However the majority view in Korea takes the position that the term 'law' should be interpreted broadly so as to encompass 'rules of law' at UNCITRAL Model Law and the German Code of Civil Proced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