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ous educational climat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자율적 교육풍토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Problem Solving Abilit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Autonomous Educational Climate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Students)

  • 김서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44-251
    • /
    • 2019
  •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자율적 교육풍토가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8년 5월 20일부터 6월 1일까지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치위생학과 249명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평균, t-test, one-way ANOVA로 실시하였다. 비판적사고성향의 전체평균은 3.47점이었고 의사소통생활의 전체평균은 3.48점으로 나타났다. 자율적 교육풍토의 전체 평균은 3.14점이었고, 문제해결능력의 전제 평균은 3.40점으로 나타났다.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 점수가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p<0.001),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 자율적 교육풍토를 향상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된다면 문제해결능력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ed Motivations on Relation between Class Climat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 김유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05-619
    • /
    • 2019
  •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학급풍토와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학생 589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지각된 학급풍토가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자율지향적 학급풍토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자율지향적 학급풍토는 자기결정성동기 유형 중에서 확인된 조절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통제적 학급풍토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지각된 통제적 학급풍토가 확인된 조절, 부과된 조절과 외적조절을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에 대한 자기결정성을 높이는 것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개입이 될 것을 시사한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재라;김서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57-263
    • /
    • 2018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8년 5월 14일부터 2018년 6월 1일까지 광주광역시에 있는 S 대학교에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114명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메타인지의 전체 평균은 3.26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 3.36점이 보통/불만족 3.16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숙달접근목표의 전체 평균은 3.26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이 3.38점이 보통/불만족 3.14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율적 교육풍토의 전체 평균은 3.08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 3.17점이 보통/불만족 2.98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창의 인성의 전체평균은 3.37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이 3.47점이 보통/불만족 3.26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대학생의 창의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메타인지와 숙달접근목표로, 메타인지와 숙달접근목표 점수가 높을수록 창의 인성이 높게 나타나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