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obile Assembly Lin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1초

자동차 도장 공정의 셋업 감소 방법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분석 (Modeling and Simulation Analysis of the Setup Reduction Method in Automobile Painting Process)

  • 한용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47-1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도장 공장의 가장 큰 낭비 요소인 상도 공정의 세정 비용의 절감 및 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상도 공정 이전의 각 컨베이어 연결점에서의 운영 알고리즘 변경시의 셋업 감소 효과를 시뮬레이션 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동기가 된 도장 공정에서의 세정 비용 최소화 프로젝트 및 도장 공장 현황에 대해 설명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컨베이어 연결점에서의 운영 알고리즘 개선시 현재 1.8대의 그룹화 효율을 2.5대 수준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접근법을 사용할 경우 그룹화 효율 향상에 별도 설비 투자가 필요 없고, CRS(Color Rescheduling Storage) 설치와 병행 적용하여 그룹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하니컴 샌드위치 Panel을 이용한 LCD/PDP생산공정용 고기능성 복합 신소재 파렛트의 최적설계 (The Optimum Design of the Light-weight Composite Pallet Plank for Assembly Line of LCD/PDP by using Honeycomb Sandwich Panel)

  • 김윤해;최병근;손진호;조영대;엄수현;우병훈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5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388-394
    • /
    • 2005
  • A typical honeycomb sandwich panel consists of two thin, high-strength facings bonded to a thick, light-weight core. Each component by itself is relatively weak and flexible, but when it combind in a sandwich panel they produce a structure that is stiff, strong, and lightweight. In addition to use in honeycomb sandwich panels, honeycomb is used for energy absorption, radio frequency shielding, light diffusion, and to direct air flow.Accordingly, the usage of honeycomb sandwich structure is very widely applied to the aircraft, the automobile, and marine industry, etc., because of these advantages. Generally, this honeycomb sandwich structure is manufactured by autoclave process.In this study, the honeycomb sandwich structure was produced by prepreg. To prove the suitability the honeycomb sandwich structure with prepreg, The optimum design of the skin materials and honeycomb sandwich structure were evaluated with the theory of stress analysis.

  • PDF

지각불편도를 이용한 관찰적 작업자세 평가 기법의 비교 (Comparison of observational posture evaluation methods based on perceived discomfort)

  • 이인석;정민근;최경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3-56
    • /
    • 2003
  • Observational methods such as OWAS, RULA, and REBA have been widely used to identify posture-related risk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industry, since they are useful and efficient in evaluating postural stresse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comparing the methods and providing guidelines for selecting and using the methods. They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different backgrounds and with different application areas. Each method has its own characteristics. which must be considered in selecting and using them. In this study. 17 male subjects evaluated 42 different working postures that frequently assumed in the automobile assembly line using a psychophysical method. The postures were then evaluated by different observational methods.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al methods were compared with psychophysically evaluated stresses. The observational methods resulted in different values of stresses for certain postures. For some postures showing high values of perceived discomfort. the observational methods showed different values of stress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observational methods should be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application area and they have some weak points to be improved.

오프라인 프로그래밍을 위한 3차원 레이저 스캐닝 시스템 기반의 로봇 캘리브레이션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robot calibration method based on 3D laser scanning system for Off-Line Programming)

  • 김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6-22
    • /
    • 2019
  • 로봇을 적용한 자동화 생산 라인에서 로봇 셋업 시 시뮬레이션을 통한 Off-Line Programming(OLP)과 로봇 캘리브레이션은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양산 전부터 생산 품질을 관리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3D 스캐너를 사용하여 생산 라인의 CAD 데이터와 현장의 3차원 측정 스캔 데이터를 정합하는 로봇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Iterative Closest Point(ICP) 알고리즘을 통해 두 개의 3차원 점군 데이터를 정합하여 로봇을 교정한다. 정합은 3단계로 수행한다. 먼저 CAD 데이터로부터 3개의 평면으로 연결된 꼭짓점을 특징점으로 추출한다. 추출한 특징점 주변에 위치한 스캔 점군데이터로부터 평면을 재구성하여 대응하는 특징점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ICP 알고리즘을 통해 추출한 특징점들 간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위치 변환 행렬을 계산한다. 자동차 차체 조립라인의 스팟용접 로봇 설치에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 스팟용접에서 일반적으로 요구하는 정밀도 1.5mm 수준으로 로봇의 위치 및 자세를 캘리브레이션 할 수 있었으며, 기존에 레이저 트래커를 사용하면 로봇 한 대당 5시간 이상 소요되던 셋업 시간은 40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었다. 개발한 시스템을 사용하면 차체 스팟 용접에 필요한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자동차 차체 조립 라인의 OLP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로봇 정밀 티칭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제품의 품질 향상 및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인천지역 중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근골격계 증상 유병률과 관련요인 (Symptom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at Small & Medium Scale Industries of Incheon)

  • 최미경;김영숙;이연숙;성낙정;한상환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8-128
    • /
    • 2005
  •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musuculoskeletal symptoms in automobile manufacturing, steel processing, electric assembly line, and wood processing industries. A study subjects were 3,434 workers from small and medium scale companies of Incheon. Walk-through surveys were performed from Feb. of 2004 to Oct. of 2004 to investigate various physical work factors. Symptom prevalence rate by related factors was that women worker showed higher rate than man, and married person was higher than single person. For the working year, group of person who were working less than 3 year showed the highest rate. However, the group of person who were working more than 10 hour per day showed the highest rate. For the total subjects, prevalence of symptoms by body area was as follows: shoulder symptoms were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ymptoms(253 person, 7.0%), followed by back(155 person, 4.5%), hand or fingers (136 person, 4.0%), lower extremities(131 person, 3.9%), neck(108 person, 3.1%), and elbow symptoms(97 person, 2.8%).

  • PDF

자동차 공장의 혼류생산을 고려한 AS/RS 내 트윈크레인 Handshake 작업영역 위치 결정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A Simulation Study on Handshake Location in an AS/RS with Twin Cranes for Mixed-model Production in an Automotive Plant)

  • 박정태;김보성;이태훈;이승환;홍순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11-18
    • /
    • 2023
  • 본 연구는 자동차 공장의 혼류생산을 위한 자동창고시스템에서 저장과 반출 작업을 수행하는 트윈크레인 간 협업(Handshake) 위치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한다. Handshake 운영은 트윈크레인의 작업영역 구분을 통해 경로 간섭과 각 크레인의 이동 거리를 개선한다. 그러나 Handshake 위치로 구분된 작업영역 간 부품 이송을 위해 Handshake 위치에서 추가적인 부품 적재와 하역 작업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저장 및 반출 요청 응답시간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Handshake 위치 결정이 필요하다.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최적 Handshake 위치를 결정하였으며 평균 입고 요청 응답시간이 87% 개선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