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meter reading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5초

원격검침을 위한 저 전력 무선 디지털 수도계량기 (Wireless Digital Water Meter with Low Power Consumption for Automatic Meter Reading)

  • 이영우;오승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963-970
    • /
    • 2008
  • RFID/USN 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계량기를 원격으로 검침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수도 검침의 경우 아직 무선으로 원격 검침하는 체계가 발표되었거나 상용화되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검침을 위한 디지털 수도 계량기의 설계 및 구현을 기술한다. 자기장을 감지하는 홀 센서를 사용하여 검침하고 그 결과를 ZigBee 무선으로 게이트웨이에 전송한다. 배터리만으로 계량기의 내구연한을 견뎌야 하므로 저전력 설계가 필수적이다. 구현된 계량기의 전력 소모량을 분석하여 3V, 3000mAh 용량 배터리, 2개로 8년의 내구연한을 견딜 수 있음을 보였다.

Lightweight CNN based Meter Digit Recognition

  • Sharma, Akshay Kumar;Kim, Kyung Ki
    • 센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19
    • /
    • 2021
  • Image processing is one of the major techniques that are used for computer vision. Nowadays, researchers are using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for the aforementioned task. In recent years, digit recognition tasks, i.e., automatic meter recognition approach using electric or water meters, have been studied several times. However, two major issues arise when we talk about previous studies: first, the use of the deep learning technique, which includes a large number of parameters that increase the computational cost and consume more power; and second, recent studies are limited to the detection of digits and not storing or providing detected digits to a database or mobile applications. This paper proposes a system that can detect the digital number of meter readings using a lightweight deep neural network (DNN) for low power consumption and send those digits to an Android mobile application in real-time to store them and make life easy. The proposed lightweight DNN is computationally inexpensive and exhibits accuracy similar to those of conventional DNNs.

기존 전력량계를 ICT 기반 지능형 AMI 센싱 장치로 변환 연구 (Development of Intelligent AMI Sensing Technique Using ICT)

  • 윤상옥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23-28
    • /
    • 2023
  • 자동전력량 측정이 가능한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설치 비율은 전국적으로 43% 미만이고 특히 지역 기준인 경우에는 10.5%로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따라서 스마트그리드를 위해서는 전력량계의 자동 정보 기록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서 기존 전력계량계를 개선하여 원격검침 및 사용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전력량계를 AMI기능이 가능하게 하려면 IoT 및 AI를 이용하여 스마트 그리드 핵심인 AMI를 위한 기존 전력 계량기의 원격검침 및 제어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SG를 위한 전력계량기 감지 장치로 변환하기 위하여 Tensorflow와 Open-cv를 이용하여 숫자를 인식하였고, SG를 위한 전력계량기 원격검침 기능 테스트를 위해서는 Intel-Edson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장치를 구성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기존 전력량계를 ICT 기반 지능형 AMI 센싱 장치로 변환 연구 (Development of Intelligent AMI Sensing Technique Using ICT)

  • 이양원;윤상옥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6-549
    • /
    • 2022
  • 자동전력량 측정이 가능한 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의 설치 비율은 전국적으로 43% 미만이고 특히 지역 기준인 경우에는 10.5%로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따라서 스마트그리드를 위해서는 전력량계의 자동 정보 기록이 필요하므로 이를 위해서 기존 전력계량계를 개선하여 원격검침 및 사용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전력량계를 AMI기능이 가능하게 하려면 IoT 및 AI를 이용하여 스마트 그리드 핵심인 AMI를 위한 기존 전력 계량기의 원격검침 및 제어 기술 개발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SG를 위한 전력계량기 감지 장치로 변환하기 위하여 Tensorflow와 Open-cv를 이용하여 숫자를 인식하였고, SG를 위한 전력계량기 원격검침 기능 테스트를 위해서는 Intel-Edson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장치를 구성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양방향 페이징을 사용한 원격검침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elemetry System using Two-Way Paging)

  • 박종범;김민;김홍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723-2725
    • /
    • 2003
  • The research on Automatic Meter Reading(AMR) using PSTN. Power Line and Wireless network, is currently lead by the utilities, and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ordinary manual reading method, so more accurate reading and management can be achieved. In this thesis, AMR system based on two-way paging was studied.

  • PDF

A study about Embodying an AMR Based on Power Line Communication.

  • Yoon, Gun;Park, Hong-Seo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119.2-119
    • /
    • 2001
  • The inspection of a meter is an action that measures the amount of electricity, water and gas used to impose user on a charge. In past days, a meter who visit consumer to look over meter and write data to the ledger and then go back his office to calculates the inspection of a meter. On the other hand, the AMR(Automatic Meter Reading) is remote control system to measure the amount of utility used and monitor a condition of the meter. A study about AMRS is started at 1960 all over the world and a successful application example is presented continuously in American, Europe and Japan etc. In this paper we use a check meter that is used in past days and we add an AMR to it. AMR receives data that is the amounts of electricity from the check meter and stores those ...

  • PDF

상수도 원격검침시스템의 현장 적용성 평가 및 가정용수 사용량 분석 (Field Application of Waterworks Automatic Meter Reading and Analysis of Household Water Use)

  • 주진철;안호상;안창혁;고경록;오현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656-663
    • /
    • 2012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15 mm 구경 자기저항(magneto-resistance) 방식의 디지털 수도계량기를 활용해 인천시 B구 S동 일대 아파트 단지 내 96가구에 상수도 원격검침시스템을 설치 후 현장적용성을 검토하였다. 현장 성능시험은 2011년 7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수행되었고 데이터의 평균 정상 수신율은 와이브로망의 불안정으로 인한 통신 두절, 계량기 보호함 및 설치환경에 따른 통신 음영지역 발생, 유무선 공유기의 일시적 오작동으로 인해 84.6%로 비교적 낮은 수신율을 나타냈다. 현장성능시험에 참여한 수용가 중 세대구성원수가 각각 1~5명에 해당하는 대표 세대를 층화추출법(stratified random sampling)으로 추출하여 총 10가구의 가정용수 사용량을 분석한 결과, 8월에 가정용수를 가장 많이 사용한 반면, 9월에는 가정용수 사용량이 감소되고 다시 11월에 증가한 후 12월에 감소되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기상요인(온도, 습도 등)이 가정용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세대수를 30세대로 증가시킨 후 계절별 1인 1일 용수 사용량(Lpcd)을 분석 후 다항식(polynominal function)을 활용한 회귀곡선을 통해 추세선을 도출한 결과, 1인 1일 용수 사용량(Lpcd)은 세대의 총 가정용수 사용량과 유사하게 계절적 주기성을 나타냈으며, 구성원수가 적은 가구(1인, 2인의 구성원)일수록 명확한 계절적 주기성을 나타냈다. 연구에 참여한 96가구 수용가 전체가구의 세대 구성원별 1인 1일 용수 사용량(Lpcd)을 분석한 결과, 세대 구성원이 1인 증가함에 따라 1인 1일 용수사용량이 약 14%씩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1인이 거주하는 세대에서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세탁, 음료, 취사, 청소용수 등의 생활에 필히 요구되는 가정용수 사용량이 있는 반면, 거주 인원이 많은 경우 공동 활용을 통해 이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스마트 박스를 활용한 실시간 수요관리 (A Real-Time Demand Response Management Using Smart Box)

  • 고동관;배준철;민경천;이재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4권1호
    • /
    • pp.57-62
    • /
    • 2016
  • 수요자원 거래시장은 한국전력거래소rk 운영하는 수요관리 프로그램으로 한전 검침정보제공 포털 시스템이 제공하는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기준으로 에너지 절감여부를 판단한다. 그러나 검침정보제공 포털 시스템이 제공하는 에너지 사용 데이터는 실시간 데이터가 아닌 지연 데이터로 에너지 절감 주체인 수용가와 관리 주체인 수요관리사업자 모두 현재의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수용가 수전단에 스마트박스를 설치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확인하고 전력부하를 능동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하였다.

실시간.양방향 New Automatic Meter Reading Infrastructure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New Automatic Meter Reading Infrastructure of Real-Time and Both Direction)

  • 고종민;진성일;유인협;정남준;김선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4 No.1 (D)
    • /
    • pp.137-140
    • /
    • 2007
  • 전력계통의 환경변화(분산전원 연계, 구역전기사업자 출연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소비자-공급자간 양방향 통신/서비스 인프라의 핵심으로 Consumer Energy Portal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는 에너지 서비스 사업자와 수용가 설비 및 기기들 사이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H/W 및 S/W의 결합 또는 수용가의 In-Building Network와 Wide-Access Network를 연결하는 물리적인 Link이자 논리적인 결합 등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즉, Consumer Energy Portal은 전력에너지 체인의 운영방식을 물리적인 것에서 웹 방식으로 전환한 것으로 전력사업자와 소비자 사이의 양방향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고 최종 소비자의 모든 기기들을 서로 네트워킹하며 이를 통해 과거 물리적인 방식의 운영과는 차원이 다른 다양한 서비스와 운영이 가능하게 하는 Service Portal이다. 본 논문은 수용가의 실시간 원격검침 데이터를 지그비(ZigBee)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수집하는 것과 물리적으로 연결된 설비들을 제어할 수 있는 양방향 Network Access 망을 구축하여 전력사업자의 통합자원관리, 수요관리, 부가서비스제공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Curves for Classified Demand Patterns of the Electricity Customer

  • Yu, In-Hyeob;Lee, Jin-Ki;Ko, Jong-Min;Kim, Sun-Ic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379-1383
    • /
    • 2005
  • Introducing the market into the electricity industry lets the multiple participants get into new competition. These multiple participants of the market need new business strategies for providing value added services to customer. Therefore they need the accurate customer information about the electricity demand. Demand characteristic is the most important one for analyzing customer information. In this study load profile data, which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 are analyzed for getting demand patterns of customer. The load profile data include electricity demand in 15 minutes interval. An algorithm for clustering similar demand patterns is developed using the load profile data. As results of classification, customers are separated into several groups. And the representative curves for the groups are generated. The number of groups is automatically generated. And it depends on the threshold value for distance to separate groups. The demand characteristics of the groups are discussed. Also, the compositions of demand contracts and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in each group are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the classified curves will be used for tariff design, load forecasting, load management and so on. Also it will be a good infrastructure for making a value added service related to electri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