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broadcasting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 언론사 사이트의 웹 접근성 평가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of Domestic Broadcasting System)

  • 유강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52-259
    • /
    • 2014
  • 2009년부터 공공기관, 교육기관, 의료기관, 복지시설의 국내 웹 접근성 의무화를 시작하여 2015년까지 문화예술, 법인까지 단계적으로 의무화 적용을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언론사(방송사, 종합일간지, 스포츠신문, 인터넷신문) 사이트의 웹 접근성 평가를 통하여, 국내 언론사들이 어느 정도 웹 사이트 접근성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KWA-H 4.3 자동평가도구에서 제공하는 6개 자동점검 지침으로 평가하고, 통계적인 측면에서 분석해 보았다. 비모수적 분석인 크루스칼-왈리스(Kruskal-Wallis) 검정 결과, 기본언어 명시 항목의 경우 방송사> 인터넷신문> 종합일간지> 스포츠신문 순으로 높은 준수율(p값=0.041)을 보였으며, 레이블 제공 항목에 대해서는 스포츠신문> 방송사> 종합일간지> 인터넷신문 순으로 준수율(p값=0.015)이 나타났다.

동판의 결함 검출 위한 3차원 분석 시스템 개발 (3D Analysis System for Copper Palate Defect Detection)

  • 오춘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55-62
    • /
    • 2013
  • 동판 생산량의 증가와 수요의 활성화로 더욱 동판에 대한 자동 검사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판의 3차원 표면형상 및 결함 검출을 하기 위한 3차원 영상 분석 시스템 및 GUI를 개발했다. 2차원 영상을 통해 분석을 할 수 있으나 오류가 많이 발생하기 쉽고, 작업자가 분석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기 때문에 3차원 영상으로 분석하여 살펴보고 자동으로 판정을 내리므로 작업자가 사용하기 쉽다. 동판 제작 공정에서 발생되는 검사 방법에서 사람에 의한 육안 검사가 주로 행해지고 있는데, 여기서 자동 검사를 통해 정확한 검사율과 비용 발생을 감소를 할 수 있다. 동판에 대한 결함을 정의하고, 동판 결함 검사 측정을 위한 시스템을 개발한다. 그리고 분석 알고리즘과 3차원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동판에 결함을 자동 검출한다.

합성곱신경망을 이용한 구조적 텍스처 분석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tructural Textures using CNN (Convolution Neural Network))

  • 이봉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01-205
    • /
    • 2020
  • 구조적인 텍스처는 텍스처를 구성하는 기본요소인 텍셀 (texel)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형태로 정의된다. 구조적 텍스처 분석/인식은 직물류의 자동검사, 금속표면 자동테스트 및 마이크로 이미지의 자동 분석 등, 산업적인 응용이 다양하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 텍스처 분석을 위한 합성곱신경망 (Convolution Neural Network, CNN) 기반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합성곱신경망이 분류 대상 텍스처들의 구성 요소인 텍셀을 학습한다. 인식 단계에서는 입력되는 텍스처 영상에서 얻은 부분 영상을 이용하여 학습된 합성곱신경망이 텍스처를 인식하다. 실제 구현 및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자동 원격검침을 위한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등화 기법 연구 (Performance of Equalizer Schemes in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s for Automatic Metering Reading)

  • 김요철;배정남;김진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9-3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자동 원격검침을 위한 전력선 통신에서의 등화기 기법인 zero-forcing (ZF)와 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 기법을 제안하고 분석하였다.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효율적인 AMR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 임펄스 노이즈와 다중경로 채널의 영향들은 완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영향들을 극복하기 위해, 앞서 말한 등화기 기법들을 사용하였다. 시스템 성능은 비트오류율 (BER)에 의해서 평가되어진다. 모의실험 결과로부터 등화기가 전력선 통신 시스템의 BER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키고 MMSE가 ZF보다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는 AMR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마트 그리드 서비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자동 노드 인식 기능을 갖는 ARP 스푸핑을 이용한 인터넷 차단기 (An Internet Stopper Using ARP Spoofing with Automatic Node Identification)

  • 정인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93-10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 환경에서 ARP 스푸핑(spoofing)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컴퓨터들의 인터넷 사용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인터넷 차단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된 차단기에서는 ARP 스푸핑을 작동시키고 모든 패킷들이 관리자 컴퓨터로 보내지는 상황에서 그 패킷들을 본래 라우터로 전달하지 않고 폐기하는 방식으로 인터넷 차단기를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차단기는 차단 대상 컴퓨터들에 에이젼트(Agent)와 같은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관리자 컴퓨터 단독으로 차단 기능이 가능하다. 또한 차단 대상 컴퓨터들을 수동으로 정해주는 것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 접속되어있는 컴퓨터들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수의 컴퓨터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컴퓨터 수에 관계 없이 ARP 스푸핑 메시지 발송 주기를 4초 미만으로 유지하면 인터넷 차단이 가능하였으며 ARP 스푸핑을 위한 추가적인 네트워크 부담은 무시할 정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구현된 인터넷 차단기는 물리적으로 같은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다면 모든 서브넷의 노드들을 인식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서브넷의 컴퓨터들에 대해서도 인터넷 차단이 가능하다. 구현된 인터넷 차단기는 대학교 실습실에서 강의 중 인터넷 차단을 위한 도구로 및 망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도구로도 활용되고 있다.

AC TO AC Direct Voltage Conversion Using A Solid State Transformer

  • Um, Keeh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5권1호
    • /
    • pp.6-8
    • /
    • 2013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ntelligent digital controller circuit which can be applied to automatic voltage regulation. The proposed solid state transformer with Pspice simulation model shows that our approach is very efficient and produces the desirable output. It is comparable to an ordinary magnetic coupled autotransformer.

Automatic Left Ventricle Segmentation using Split Energy Function including Orientation Term from CTA

  • Kang, Ho 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1-6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ic left ventricle segmentation method in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using separating energy function. First, we smooth the images by applying anisotropic diffusion filter to remove noise. Secondly, the volume of interest (VOI) is detected by using k-means clustering. Thirdly, we divide the left and right heart with split energy function. Finally, we extract only left ventricle from left and right heart with optimizing cost function including orientation term.

방송 오디오 신호로부터 음악 신호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utomatic Detection of Music Signal from Broadcasting Audio Signal)

  • 윤원중;박규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5호
    • /
    • pp.81-8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실제 방송 환경에 적용 가능한 방송용 음원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사전연구로 방송 오디오 신호로부터 음악신호 구간을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음악구간과 비음악구간의 구분을 위한 특징으로는 사람의 음성 발화 특성을 반영하여 에너지 표준편차와 log 에너지 표준편차 그리고 log 에너지 평균 등 3개의 간단한 시간영역 특징들을 사용하였으며 최종 음악신호 구간 판별은 각 에너지 한계값(threshold)을 이용한 Rule-base 분류를 기반으로 하였다. 실제 FM 라디오 방송 신호를 24시간 녹음하여 진행한 모의실험에서 음악구간 인식률은 96%, 비-음악구간 인식률은 87%를 나타내어 방송용 음원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처리기로 손색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객의 CTI와 방송연계를 위한 UX기반 자동제어시스템의 구현 -콜센터 데이터를 중심으로- (Implementation of UX-base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CTI and Broadcasting Linkage of Customer -Focusing on call center data-)

  • 이재용;신승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61-6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홈쇼핑 이용자가 매년 증가하고 있고 이들 고객들의 불편한 사항들도 이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는 바 고객 대기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UX기반의 방송화면을 구현하여 고객불만을 낮추고 콜센터의 경영효율성을 향상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주목한 고객불만은 홈쇼핑상품 주문시 통화중인 경우가 많고 이에 대한 사전 안내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에 본 제안 시스템은 고객의 주문현황을 불편함을 느끼는 정도의 고객 대기상황(20초이상, 30초이상 등)에 대해 UX상의 기준을 설정하고 자동으로 안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고객이 콜센터로 전화해서 상담원과의 통화를 위해 대기하지 않고 주문대기가 많으면 콜센터 데이터를 기반으로 TV화면 상에 모바일 주문이나 자동주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UX기반의 자막을 자동제어 시스템을 통해 안내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SK스토아 콜센터와 주조정실에 구현하여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T-DMB에서의 교통여행정보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Traffic and Travel Information Service for Terrestrial DMB System)

  • 권대복;채영석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03-213
    • /
    • 2007
  •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에서 비디오 서비스에 이어, 본격적인 데이터 서비스가 시작되고 있는데, 교통여행정보 서비스는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데이터 서비스로 간주되고 있다. 본 논문은 교통여행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시스템의 설계와 구현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며, 전체 시스템은 저작 시스템, DB 시스템, 송출 시스템 및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현한 시스템은 국내 지상파 DMB 교통여행정보 서비스 표준인 TPEG(Transfer Protocol Expert Group) 프레임을 따른다. 본 시스템은 실시간 혼잡교통정보(CTT), 혼잡교통정보(CTT SUM)를 비롯하여 다양한 비실시간 관심지점정보(POI), 안전운전정보(SDI) 등을 저작 및 자동 송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양질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작하고 제작한 콘텐츠를 비디오 및 오디오와 함께 안정적으로 송출하는데 중점을 두어 구현하였다. 구현한 시스템은 다양한 수신기와의 실내외 정합실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으며,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거쳐 현재 방송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