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biographical Metho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자전적 회상을 통한 자연스런 정서음성정보 수집방법에 관한 연구 (Acquisition of natural Emotional Voice Through Autobiographical Recall Method)

  • 조은경;조철우;민경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6-70
    • /
    • 1997
  • 통제된 실험실에서 자연스런 정서음성을 수집하기 위하여 자전적 회상 방법이 시용되었다. 16명의 대학생에게 행복, 화, 슬픔, 두려움을 가장 강하게 경험한 과거 사진을 회상하도록 하였고, 비교집단으로서 4명의 연극배우에게는 스스로 감정 상태에 몰입하게 하였다. 3명의 독립적 평정자들이 피험자들의 얼굴 표정과 음성 특징을 평가하였다. 대학생들의 유도된 음성과 배우들의 음성을 비교한 결과, 자전적 회상 방법은 미묘한 감정적 단서를 전달하는데 효과적으로 평가되었으며 배우들이 모사한 음성은 더 극단적인 정서를 표출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정서음성 수집에 있어서 자전적 회상 방법이 가지는 함의와 이 방법의 잠재적인 문제점도 논의되었다.

  • PDF

교사의 자서전을 통한 수학 수업 연구 (Autobiographies of Teachers as Qualitative Inquiry on the Teaching Mathematics)

  • 김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435-453
    • /
    • 2008
  • 본 논문은 수학 수업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법으로서 교사의 자서전을 소개하고 그에 따른 연구 사례를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로 수학 수업 연구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교사의 자서전 도입의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자서전 연구의 성격을 밝히고 수학 수업 연구 방법으로서 자서전 연구가 갖는 의의와 난점을 논의하였다. 둘째로 본 연구가 설정한 자서전 연구 방법에 의한 연구 사례로서, 초보교사에서 경력교사로 가는 동안의 자서전을 통하여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숙고 과정을 살펴보았다.

  • PDF

알코올 의존자 부인의 자서전 분석: 삶의 의미찾기 (Meaning of Life in Wives of Alcoholics: Autobiographical Method)

  • 조선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58-767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life-stories and meanings of life in wives of alcoholics by analyzing their autobiographies. Methods: Autobiographies were collected from 20 participants who produced their own autobiographies in the logotherapeutic autobiography program at community alcohol counseling centers in Korea. The data were coded to identify themes of agency and communion using the manual coding system developed by McAdams, and analyzed by the existential approach. Results: There were 214 coded episodes in twenty autobiographies. There were 128 agency themes and 86 communion themes. The most common themes were Love/Friendship. Five themes emerged from the autobiographical episodes on the existential perspective: 1) overcoming the suffering, 2) meaningful people and relationships, 3) spiritual maturation, 4) caring and helping, and 5) finding a meaning of life.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wives of alcoholics who participated in the logotherapeutic autobiography program fou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their suffering. Furthermore, a study on existential nursing interventions for people who have meaninglessness in life needs to be done.

Covid-19이후 학생 수업참여를 위한 교수자의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rofessors for Student Participation after Covid-19)

  • 이은주;김민정;송연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04-413
    • /
    • 2022
  • Covid-19이후 대학에서 비대면 수업이 필수적인 수업방식으로 채택되면서 학생의 수업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수업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수업참여는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선행 요건이기에 비대면 수업에서는 더욱 중요한 요건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이후 비대면 혹은 비대면과 대면 수업의 혼용으로 운영되어 온 D대학의 교수자 3인이 학생의 수업참여를 높이기 위해 시도한 경험과 고민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비대면 수업 초기 교수자와 학생 모두 시행착오를 거쳤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들은 적극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뿐 아니라 자발적으로 수업활동을 확장시켜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수자 주도의 수업이 대면과 비대면의 적절한 조화와 다양한 매체의 활용으로 학습자 참여형 수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자서전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노인부양의 변화과정에 대한 생애사적 재구성 - 농촌노인의 관점을 중심으로 - (A Biographical Reconstruction of the Process Involving Changes in Elderly Suppor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ural Elderly)

  • 양영자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1-2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노인부양의 변화과정을 농촌노인의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6쌍의 노인부부와 3차례에 걸쳐 Schütze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17개를 하였고, 분석도 그의 '생애사적-이야기식 인터뷰 분석' 방법에 따라 하였다. 연구결과, 본 '생애사주체들'이 경험한 노인부양은 '가족부양'이 주를 이루는데, 현대화과정을 거치면서 '이중적으로 구조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편으로는 '세대 간 상호부양 차원의 가족부양'이 '세대 내 자기부양 차원의 가족부양'으로 변환되는 '내적 구조전환'이, 다른 한편으로는 '가족부양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외적 구조전환'이 나타났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중적 구조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부양규범과 부양행위는 '괴리'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적 구조전환'에 대한 인식은 '양가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현대화이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하였고, 노인부양을 위한 실천적 함의도 제시하였다.

전북농촌 여성노인 A의 생애구술에서 드러난 삶의 원동력 (An Authobiographical Narrative Interview Study on Life-Driveing Forces of A, a Female Farmer from Chonbuk Rural Area)

  • 오마리아;김하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95-303
    • /
    • 2009
  • 본 연구는 전북농촌에서 평생 살아온 여성노인 A의 삶의 주제를 찾아본 생애구술사 연구이다. 약 40여회의 면담에서 드러난 A 삶의 주제는 본인의 자율학습과 자식교육을 향한 끊임없는 노력인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는 어려서 야학당에 다니며 공부를 했다. 둘째, 일곱 자녀의 교육비 마련을 위해 농사를 짓고, 가마니 짜기, 삼베 짜기, 누에치기 등을 하고, 농산물과 해산물을 팔고, 쌀계의 계주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셋째, 아들교육이 우선되어 딸들 교육은 어려웠으나 누에가 크면 팔아서 갚는다고 "외상입학"을 시키기도 하면서 어렵게 이어갔다. 동시대 많은 여성노인이 교육기회박탈에 아쉬워하기만 할 때 본인과 자녀의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한 A의 삶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사회변화의 힘이 개인의 능동적인 노력에서 기인한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비슷한 삶의 주제를 가진 이들의 구술생애 연구가 활성화되어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농촌 여성노인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화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Induced Mood on Rehabilitation Engagement: a Study Focusing on Muscle Activity

  • Kim, Jung-Yeon;Jung, Bong-Keun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61-169
    • /
    • 2022
  • Eng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as it is a known factor tha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functional gaining in people who receive rehabilitation therapy. Although a number of measurements for engagement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investigation of possible factors that may have influence on engagement is not well established. Currently available evidence suggests that engagement is affected by mood and it is hypothesized that a personal factor may contribute to engag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test the hypothetical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engagement while performing a manual dexterity task through an experiment in healthy participants prior to investigation on people with medical condition who requires rehabilitation therapy. After inducing target mood (positive or negative mood) for study participants by asking them to recall autobiographical memories, change in muscle activity, which was operationalized as an indicator of engagement, was investigated. Electromyogram (EMG) was recorded from four muscle areas in non-dominant hand side to quantify muscle activ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target moods were appropriately induced with the method. Although there were subtl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ngagement between different moods, certain variables derived from muscle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mean amplitude for wrist extensor EM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moods (Z = -2.023, p < .05) indicating that muscle activities in the wrist extensor are greater for positive mood than negative mood region during manual dexterity task. Meanwhile, performance outcomes of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 (MMDT), such as mean completion time and number of errors, between mood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different moods, resulting in MMDT administration may not be useful task in distinguishing the level of rehabilitation engagement.

기억 향상 요소를 강화한 노인 집단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a Memoir Writing Program for the Elderly Using Cognitive Enhancement Techniques)

  • 진영선;김영경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401-417
    • /
    • 2011
  • 인생회고는 자기 삶을 돌아보고 평가하는 것으로 노년기에 삶의 의미를 찾는 데 필요한 과정이고, 이러한 인생회고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 자기 일생의 사적(史跡)을 기록하는 자서전 쓰기다. 본 연구에서는 인생의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자서전 내용을 구성하여, 자전적 기억의 점화 및 인출 지지를 통해 글쓰기를 실행하고, 원고의 편집 및 교정작업을 거쳐 프로그램 종결 시 자신의 완성된 자서전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60세 이상 노인 14명을 대상으로 15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검사 결과, 자아 통합감, 생활 만족도, 삶의 질이 향상되고 우울감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단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이 노인의 안녕감 증진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논의에서 연구 결과의 함의를 비롯하여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해 기술하였다.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와 건강한 노인의 일화기억 이미지 비교 분석 (Analysis of the Mental Images in Episodic Memory with Comparison between the patients with Dementia of Alzheimer Type and Healthy Elderly People)

  • 한경훈
    • 인지과학
    • /
    • 제20권1호
    • /
    • pp.79-107
    • /
    • 2009
  • 공간, 시간적 환경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일화기억(episodic memory)은 알츠하이머병에 의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일반 노화과정에서도 손상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기능인 일화기억을 내적회상 기법을 사용하여 평가함으로써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일화기억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진이나 동영상처럼 뇌에 투사되는 피시험자 자신의 과거를 직접 회상한 이미지(the mental image)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사용하였다. 초기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3명, 경도 우울증 환자 1명, 대조를 위한 건강한 노인 2명에게 검사 당일로부터 하루, 일주일, 한달 전 그리고 원과거(remote)에 있었던 일을 회상하게 하였다. 회상된 이미지 안에서의 감정상태, 이미지의 색, 사건 발생 순서 등의 중점을 두고 피시험자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순행성기억(anterograde memory) 손상을 관찰하고자 피시험자에 그들이 검사 당시 재현한 모든 이미지를 검사 다음날 다시 상기하도록 요구하였다. 3명의 환자군 모두 회상한 이미지들 사건 발생순서에 맞게 정리하는데 실패하였다. 이들은 대조군과 같은 수의 이미지를 회상해 내었지만, 색이 선명하지 않고 사진과 같은 정적인 이미지를 회상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치매환자가 최근기억(recent memory)을 화상 하는데 일차적으로 손상이 있을 시사하며, 또한 의미기억의 양적인 손상보다 질적 손상이 먼저 발생함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