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utoEncoder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초

AE-SOM을 이용한 EVA 생산 공정 이상 검출 및 진단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for EVA Production Processes Using AE-SOM)

  • 박병언;지유미;심예슬;이규황;이호경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3호
    • /
    • pp.408-41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auto-encoder와 self-organizing map을 결합한 auto-encoder with self-organizing map(AE-SOM) 기법을 이용하여 EVA 생산공정의 이상을 검출 및 진단하였고, Granger의 인과분석을 통해 이상 검출 데이터의 이상 전파 방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데이터는 1년 7개월 간의 조업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autoclave 반응기의 조업 변수를 주로 분석하였다. 데이터 전처리 과정에서 데이터의 표준화를 먼저 진행하고, 조업의 각 grade의 sample 수를 동일하게 200개 임의로 추출하였다. 이후 AE-SOM을 적용하여 각 grade의 best matching unit (BMU)를 도출하였다. 각각의 BMU를 기준으로 조업 데이터가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기준으로 데이터의 이상을 판별하였다. 공정 이상이 발견될 시 이상원인을 contribution plot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이상원인 변수의 인과성을 Granger의 인과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업 시 발생한 2번의 셧다운의 전조를 모두 검출하였으며 이상이 발생한 원인변수에서 기인한 공정 이상의 전파 방향을 분석하였다.

IOT 환경에서의 오토인코더 기반 특징 추출을 이용한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 (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Feature Extraction Based on AutoEncoder in IOT environment)

  • 이주화;박기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12호
    • /
    • pp.483-490
    • /
    • 2019
  • 네트워크 침입 탐지 시스템(NIDS)에서 분류의 기능은 상당히 중요하며 탐지 성능은 다양한 특징에 따라 달라진다. 최근 딥러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에서는 많은 수의 트래픽과 고차원의 특징으로 인하여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딥러닝을 분류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징 추출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사용하며 추출한 특징을 기반으로 분류하는 연구 방법을 제안한다. 딥러닝의 대표적인 비지도 학습인 Stacked AutoEncoder를 사용하여 특징을 추출하고 Random Forest 분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분류한 결과 분류 성능과 탐지 속도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IOT 환경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상 및 공격트래픽을 멀티클래스로 분류하였을 때 99% 이상의 성능을 보였으며, AE-RF, Single-RF와 같은 다른 모델과 비교하였을 때도 성능 및 탐지속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층 콘볼루션 오토엔코더를 활용한 악성코드 탐지 기법 (Technique for Malicious Code Detection using Stacked Convolution AutoEncoder)

  • 최현웅;허준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39-44
    • /
    • 2020
  • 악성코드는 탐지 프로그램을 피해 기기들에게 피해를 유발한다. 기존의 악성코드 탐지 기법으로 이러한 새로운 악성코드를 탐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서명 기반의 탐지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기법은 기존 악성코드들은 효과적으로 탐지하지만, 새로운 악성코드에 대해서는 탐지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휴리스틱 기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활용하여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술에 대해 소개하여 새로운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기술에 대해서 제안한다. 또한, 악성코드를 탐지한다는 것은, 기기에서 실행 가능한 파일의 개수는 무수히 많으므로, 지도학습 방식(Supervisor Learning)으로는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준지도 학습으로 알려진 SCAE(Stacked Convolution AutoEncoder)를 활용한다, 파일들의 바이트 정보들을 추출하여, 이미지화를 진행하고, 이 이미지들을 학습을 시켜, 학습 시키지 않은 10,869개의 악성코드, 3,442개의 비악성코드를 모델에 추론한 결과 정확도를 98.84%을 달성하였다.

Pipe Leak Detection System using Wireless Acoustic Sensor Module and Deep Auto-Encoder

  • Yeo, Doyeob;Lee, Giyoung;Lee, Jae-Cheo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59-6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저전력 무선 음향센서 모듈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딥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배관의 누출을 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데이터 통신량을 줄이기 위해서 푸리에 변환을 통해 음향센서 데이터 양을 약 1/800로 감소시키는 저전력 무선 음향센서 모듈을 구성하였고, 20kHz~100kHz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에 강인한 누출 탐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또한, 데이터 양의 감소에도 배관 누출을 정확하게 탐지하도록 딥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기법을 설계하였다. 수치적인 실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누출 탐지 시스템이 고주파 대역대의 노이즈가 섞인 환경에서도 99.94%의 높은 정확도와 Type-II error 0%의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다.

LSTM/RNN을 사용한 감정인식을 위한 스택 오토 인코더로 EEG 차원 감소 (EEG Dimensional Reduction with Stack AutoEncoder for Emotional Recognition using LSTM/RNN)

  • ;임창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717-724
    • /
    • 2020
  • 감성 컴퓨팅은 인간의 상호 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인간을 인식하는 인공 지능을 통해 감정을 이해하고 식별한다. 우울증, 자폐증,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및 게임 중독과 같은 정신 질환을 잘 이해함으로써 감정과 관련된 문제들을 잘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감정 인식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기계학습을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알고리즘의 복잡성을 줄이고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노력중의 하나로 Stack AutoEncoder (SAE)를 이용하여 차원을 감소하는 방법과 Long-Short-Term-Memory/Recurrent Neural Networks (LSTM / RNN) 분류를 이용한 감성 분류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모델의 복잡성을 줄이고 분류기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 결과를 가져왔다.

오토 인코더 기반의 단일 클래스 이상 탐지 모델을 통한 네트워크 침입 탐지 (Network Intrusion Detection with One Class Anomaly Detection Model based on Auto Encoder.)

  • 민병준;유지훈;김상수;신동일;신동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22
    • /
    • 2021
  • 최근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공격이 급속도로 고도화 및 지능화 되고 있기에, 기존의 시그니처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은 한계점이 명확해지고 있다. 지능형 지속 위협(Adavanced Persistent Threat; APT)과 같은 새로운 공격에 대해서 시그니처 패턴은 일반화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계학습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공격 샘플은 정상 샘플에 비해서 매우 적게 수집되어 클래스 불균형(Class Imbalance) 문제를 겪게 된다. 이러한 데이터로 지도 학습 기반의 이상 탐지 모델을 학습시킬 경우 정상 샘플에 편향된 결과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토 인코더(Auto Encoder; AE)를 활용해 One-Class Anomaly Detection 을 수행하여 이를 극복한다. 실험은 NSL-KDD 데이터 셋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제안한 방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지도 학습된 모델들과 성능을 비교한다.

VAE(Variational AutoEncoder) 기반 머신러닝 모델을 활용한 체중 라이프로그 이상탐지에 관한 연구 (Study on Lifelog Anomaly Detection using VAE-based Machine Learning Model)

  • 김지용;박민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91-98
    • /
    • 2022
  •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수집되는 라이프로그 데이터는 많은 이상값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상값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상치의 개수가 정상 데이터의 개수보다 적기 때문에 클래스 불균형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ariational AutoEncoder를 outlier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으로 이상치 데이터를 전처리한 후, 다수의 머신러닝 모델(분류)을 통해 검증한다. 체중 데이터를 이용한 검증 결과, 모든 분류 모델에서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라이프로그 체중 데이터 분석 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상치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처리한 후 성능이 가장 좋은 LightGBM 모델을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Convolutional auto-encoder based multiple description coding network

  • Meng, Lili;Li, Hongfei;Zhang, Jia;Tan, Yanyan;Ren, Yuwei;Zhang, Huaxi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4호
    • /
    • pp.1689-1703
    • /
    • 2020
  • When data is transmitted over an unreliable channel, the error of the data packet may result in serious degradation. The multiple description coding (MDC) can solve this problem and save transmission cos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ep multiple description coding network (MDCN) to realize efficient image compression. Firstly, our network framework is based on convolutional auto-encoder (CAE), which include multiple description encoder network (MDEN) and multiple description decoder network (MDDN). Secondly, in order to obtain high-quality reconstructed images at low bit rates, the encoding network and decoding network are integrated into an end-to-end compression framework. Thirdly, the multiple description decoder network includes side decoder network and central decoder network. When the decoder receives only one of the two multiple description code streams, side decoder network is used to obtain side reconstructed image of acceptable quality. When two descriptions are received, the high quality reconstructed image is obtained. In addition, instead of quantization with additive uniform noise, and SSIM loss and distance loss combine to train multiple description encoder networks to ensure that they can share structural in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framework performs better than traditional multiple description coding methods.

Comparative Study of Dimension Reduction Methods for Highly Imbalanced Overlapping Churn Data

  • Lee, Sujee;Koo, Bonhyo;Jung, Kyu-Hwan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454-462
    • /
    • 2014
  • Retention of possible churning custom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o companies try to predict churn customers using their large-scale high-dimensional data. This study focuses on dealing with large data sets by reducing the dimensionality. By using six different dimension reduction methods-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actor analysis (FA), locally linear embedding (LLE), local tangent space alignment (LTSA), locally preserving projections (LPP), and deep auto-encoder-our experiments apply each dimension reduction method to the training data, build a classification model using the mapped data and then measure the performance using hit rate to compare the dimension reduction methods. In the result, PCA shows good performance despite its simplicity, and the deep auto-encoder gives the best overall performance.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urn prediction data that is highly correlated and overlapped over the classes. We also proposed a simple out-of-sample extension method for the nonlinear dimension reduction methods, LLE and LTSA, utiliz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data.

유한요소해석과 순환신경망을 활용한 하중 예측 (Load Predict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 강정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51-160
    • /
    • 2024
  •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at enable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being used in many fields. However, the application to mechanical structures has several problems and research is incomplete. One of the problems is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large amount of data necessary for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recognize external forces and forces for safety working and accident prevention of mechanical structures.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by applying the Current Neural Network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detect and recognize the load on the machine. Tens of thousands of data are required for general learning of Recurrent Neural Networks, and to secure large amounts of data, this paper derives load data from ANSYS structural analysis results and applies a stacked auto-encoder technique to secure the amount of data that can be learned. The usefulness of Stacked Auto-Encoder data was examined by comparing Stacked Auto-Encoder data and ANSYS data.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detection and recognition of load data with a Recurrent Neural Network, the optimal conditions are propos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related fun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