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reobasidium pullulan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3초

Optimization of Tannase Produc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DBS66

  • Banerjee, Debdulal;Pati, Bikas R.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049-1053
    • /
    • 2007
  • Tannase production by Aureobasidium pullulans DBS66 was optimized. The organism produced maximum tannase in the presence of 1% tannic acid after 36 h. Maximum gallic acid accumulation was observed within 36 h and tannic acid in the fermented broth was completely degraded after 42 h of growth. Glucose had a stimulatory effect on tannase synthesis at 0.1% (w/v) concentration. The organism showed maximum tannase production with $(NH_4)_2HPO_4$ as nitrogen source. Shaking speed of 120 rpm and 50-ml broth volume have been found to be suitable for maximum tannase production.

Fructosyl transferase를 생성하는 효모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Black Yeast Producing Fructosyl transferase)

  • 조원태;임재윤;이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0-25
    • /
    • 1990
  • Fructosyl transferase의 생산성이 높은 미생물을 얻기 위해 자연계에서 폭넓은 검색을 수행하였다. 300점 이상의 미생물을 분리하고 각각의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커피 자동판매기로부터 분리한 C23번 분리균은 다른 분리균들과 비교하여 높은 효소의 활성을 나타내어 fructosyl transferase 생산균으로 선발되었다. 다양한 배지에서 C23 분리균을 배양하여 형태, 그리고 배양특징 등을 연구하여 Aureobasidium pullulans var. melanigenum으로 동정하였다.

  • PDF

Continuous Produc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by Immobilized Cells of Aureobasidium pullulans

  • Yun, Jong-Won;Jung, Kyung-Hoon;Jeon, Yeong-Joong;Lee, Jae-He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권2호
    • /
    • pp.98-101
    • /
    • 1992
  • Continuous production of fructo-oligosaccharides employing a packed bed reactor charged with immobilized cells of Aureobasidium pullulans was investigat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reactor operation were a feed concentration of 860 g/l; a feed rate, expressed as superficial space velocity of $0.2\;h^{-1}$, and a temperature of $50^\circ{C}$. Under these optimum conditions, the productivity of the reactor was $180\;g/l\cdot{h}$. Initial activity was maintained for more than 100 days. The reactor was successfully scaled up to a production scale of 1000l.

  • PDF

Aureobasidium pullulans IMS-822가 생산하는 ${\beta}-(1{\to}3)(1{\to}6)-Glucan$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beta}-(1{\to}3)(1{\to}6)-Glucan$ Produced by Aureobasidium pullulans IMS-822)

  • 이석준;안극현;박찬선;윤병대;김민수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3-68
    • /
    • 2009
  • 국내 토양시료로부터 점액성 고분자물질을 생산하는 효모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여 Aureobasidium pullulans IMS-822라 명명하였다. A. pullulans IMS-822가 생산하는 외분비성 폴리머를 정제 및 동결 건조하여 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HPLC를 이용한 구성당 성분분석에서 포도당 단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FT-IR을 이용한 구조분석에서는 890 $cm^{-1}$ 부근에서의 ${\beta}-configuration$을 확인하였으며, 3300 $cm^{-1}$ 부근으로 shift 된 완만한 -OH stretching은 폴리머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 사이에 강한 수소결합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13}C-NMR$ 분석결과는 A. pullulans IMS-822가 생산하는 외분비형 다당류인 (1,3)-linked ${\beta}-D-glucosyl$ unit의 6개의 탄소, ${\delta}$ 105.05 ppm (C1), 75.82 ppm (C2), 86.62 ppm (C3), 70.61 ppm (C4), 78.13 ppm (C5), 63.22 ppm (C6) 및 ${\beta}-(1,3)D-glucosyl$ 잔기에 분기사슬 되어 있는 ${\delta}$ 72.11 ppm의 C-6의 signal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pullulans IMS-822가 생산하는 ${\beta}-(1{\to}3)(1{\to}6)-glucan$의 알칼리 수용액(0.5%, w/v)에 24.0 ${\mu}M$의 Congo red 첨가하여 30분간 반응시킨 후 $400{\sim}700$ nm의 범위에서 최대흡수파장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NaOH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흡수파장은 장파장으로 이동하여 498 nm에서 515 nm까지 이동하였다. 최대흡수파장은 0.4 M NaOH 농도에서 점차로 감소하여 506 nm 부근에서 안정화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순차적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액의 pH가 Aureobasidium pullulans의 풀루란 생성과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 on the Elaboration of Pullulan and the Morphology of Aureobasidium pullulans)

  • 신용철;변시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93-199
    • /
    • 1991
  • The effects of pH on the cell growth, the elaboration of pullulan, and the morphology of Aureobasidium pullulans IFO 4464 were examined. A. pulluans grew in yeast-like form at constant pH7.5 and in mycelial form at constant pH2.5. At the both pH conditions, the elaboration of pullulan was very low, about 6.0~6.5g/l. The mixture of yeast-like form and mycelial form of cells was found at the constant pH4.5, at which condition, the elaboration of pullulan was high, about 24.5g/l. The pH shift experimemts showed that the specific production rates of pullulan were 0.048($hr^{-1}$)for the mycelial form and 0.058($hr^{-1}$)for the yeast like form, which indicated that the yeast-like form has the similar, only slightly higher, biosynthetic activity of pullulan to the mycelial form at pH4.5 and the pH of culture broth is more important factor for the elaboration of pullulan than the morphology of A. pullulans.

  • PDF

Production of $\beta$-1,3/1,6-gluc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SM-2001

  • 서형필;김지모;신현동;김태권;장희정;박복련;이진우
    • KSBB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376-380
    • /
    • 2002
  • 항암, 항콜레스테롤, 항산화 및 면역증강 효과와 피부재생 효과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밝혀지고 있는 $\beta$-1,3/1,6-글루칸은 크게 식물성 유래, 효모 및 곰팡이 유래, 버섯 유래의 것으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풀루란을 생산하는 Aureobasidum pullulans ATCC 42023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얻은 변이주인 Aureobasidum puiluian SM-2001 균주가 생산하여 체외로 분비하는 고분자 중합체를 핵자기 공명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beta$-1,3- 및 $\beta$-1,6- 결합이 서로 혼재되어 있는 $\beta$-1,3/1,6-글루칸의 전형적인 구조임을 확인하였으며, 평균 분자량은 2.6$\times$$10^{5}$ 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beta$-1,3/1,6-글루칸의 생산에 최적인 탄소원이 설탕임을 확인하였으며, 0.5% (w/v)의 설탕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약 50%의 변환율로 $\beta$-1,3/l,6-글루칸을 생산할 수 있었다. 이는 생물공학적인 방법으로 $\beta$-1,3/l,6-글루칸의 생산을 의미하며 저렴한 생산비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을 의미한다한다

Aureobasidium pullulans C-23 균주에 의한 Fructosyl Transferase의 생산 최적 배양조건 (Optimum Cultur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Fructosyl transferase by Aureobasidium pullulans C-23)

  • 조원태;임재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7-422
    • /
    • 1990
  • 선발균의 효소생산성 향상을 위해 배양과정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의 탄소원은 sucrose (35)이고, 질소원은 ammonium oxalate와 yeast extract를 함께 넣어 주었을 때이었다. 5l jar fermentor에서 선발균의 배양형태를 조사한 결과 2-3일 배양기간에는 pH가 4 이하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4일 이후 다시 pH가 5-6 사이로 증가하였다. 균의 성장은 4일까지 증가하였다. 균체내 효소의 생성은 2일까지는 현저한 증가를 보이고 3-4일 정도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5일 이후 감소하였다. 균체외 효소는 5-6 일까지 계속 증가하는 형태를 나타내었다. Glucose로 24시간 동안 미리 배양한 후 surcose를 첨가하여 배양했을 때 균체내 효소의 생산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균주를 사용한 풀루란의 대량 생산을 위한 파이롯트 규모에서 용존산소와 관련된 조건의 최적화 (Pilot-scale Optimization of Parameters Related to Dissolved Oxygen for Mass Production of Pullulan by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 고와;김이준;정정한;이잔홍;이진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10호
    • /
    • pp.1433-1442
    • /
    • 2010
  •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균주를 사용하여 풀루란을 대량 생산을 위하여 7 l 및 100 l 생물배양기를 사용하여 용존산소와 관련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풀루란의 생산에 최적인 탄소원과 질소원은 각각 50.0 g/l 포도당 및 2.5 g/l 효모추출물이었으며 플라스크 규모에서의 풀루란 변환율은 37%이었다. 풀루란 생산 균주의 생장에 최적인 배지의 초기 pH 및 배양온도는 7.5 및 30oC이었으나 풀루란의 생산에 최적인 배지의 초기 pH 및 배양 온도는 각각 6.0 및 $25^{\circ}C$이었다. 7 l 생물배양기에서 Aureobasidium pullulans HP-2001 균주의 생육에 최적인 교반속도 및 통기량은 각각 600 rpm 및 2.0 vvm이었으나 풀루란 생산에 최적인 조건은 각각 500 rpm 및 1.0 vvm이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풀루란의 생산농도는 18.13 g/l이었다. 100 l 생물배양기에서 풀루란 생산 균주의 생장에 최적인 내압은 0.0 kgf/$cm^2$이었으나, 풀루란 생산에 최적인 내압은 0.4 kgf/$cm^2$이었으며 최적 조건에서 풀루란의 생산 농도는 22.89 g/l이었다. 이는 내압이 없는 상태에 비하여 풀루란의 생산 농도가 1.38배 증가한 것이다.

납 이온의 생물흡착에 따른 미생물들의 변화 (A Variation of Microorganisms by the Biosorption of Pb\ulcorner)

  • 김동석;서정호;송승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1-337
    • /
    • 2000
  • The variation of microorganisms (activated slude, Saccharomyces cerevisiae, Aureobasidium pullulans) caused by the biosorption of $Pb^{2+}$ was observed by TEM and microscope. By the TEM observation of S. cerevisiae, the plasmolysis and lysis of cell wall or cell membrane were occurred by the penetration of $Pb^{2+}$ into the inner cellular region. However, in the case of A. pullulans, the plasmolysis and lysis of cell wall or cell membrane were not occurred because of the prevention of $Pb^{2+}$ penetration by the extracelluar polymeric substances (EPS). A floccul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case of A. pullulans, was observed by the $Pb^{2+}$ accumulation after 3~4 h and the color was changed from white to black after 1 day. The flocculation of activated sludge was improved by the accumulation $Pb^{2+}$ after 1 h, however, the floc was broken up and the settling efficiency decreased after 1 day.

  • PDF

미생물흡착을 이용한 수은과 납의 제거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Removal of Mercury and Lead by Microorganisms)

  • 서정호;서명교;곽영규;강신묵;노종수;이국의;최윤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8-103
    • /
    • 1998
  • A study on the removal of mercury and lead by microorganisms,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ureobasidium pullulans, was performed, in which the comparison of adsorption model between these two heavy metals was done. The amounts of mercury removed were more than those of lead in both microorganisms. In case of mercury, the adsorption isotherm of S. cerevisiae was accorded with Langmuir model but A. pullulans was followed to Freundlich model. In the case of lead, however, the adsorption isotherm had opposite results. The adsorption rate of mercury to S. cerevisiae was faster than that of A. pullulans, but in the case of lead, it revealed contrary results. It seems, therefore, that the type of microorganisms used as biosorbents should be selected differently with the type of heavy metals removed for applying these to real adsorption proce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