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검색결과 356건 처리시간 0.025초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GPS기반 증강현실 시스템 (GPS-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Social Network Environment)

  • 양승의;유걸;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762-767
    • /
    • 2013
  • 최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고,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Social Network System)에 증강현실 기능의 추가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를 위한 GPS기반 증강현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페이스북(facebook)에서 친구 목록을 자동으로 동기화하여 최근 체크인 좌표를 추가하고, AR을 이용하여 추가된 위치 좌표를 실제 환경에서 표현하는 시스템이다. 기존 이용자들이 사용했던 마커기반 AR 시스템은 핸드 장치 구동에 필요한 프로세싱 빈도와 저장 공간의 소모가 많다. 그러나, 위치기반 AR어플리케이션은 기존 마커기반 AR 시스템의 단점을 해결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시스템은 향후 iOS 핸드 장치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GPS기반 AR 시스템을 Wifi와 4G 네트워크에 대해 최적의 속도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비유클리드공간 정보를 사용하는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Using Projective Information)

  • 서용덕;홍기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87-102
    • /
    • 1999
  • 가상의 삼 차원 컴퓨터 그래픽 영상을 실제 비디오 영상과 합성하는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초점거리 같은 내부변수와 카메라가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나타내는 회전 및 직선 운동에 대한 이동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들은 미리 카메라의 내부변수를 계산해 둔 다음, 실제 영상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이동정보를 계산하거나, 실제 영상에 카메라 보정을 위한 삼 차원 보정 패턴이 보이도록 한다음 영상에서 그 패턴의 형태를 분석하여 카메라의 내부변수와 운동정보를 동시에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실제 영상에서 얻어지는 정합점들로부터 카메라 조정없이 구할 수 있는 투영기하공간 카메라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카메라의 내부변수와 유클리드공간 이동정보를 대신하기 위하여 가상카메라를 정의하며, 가상카메라는 실제공간과 가상 그래픽 공간의 연결을 위하여 두 장의 영상에 사용자가 삽입하는 가상공간 좌표계의 기준점들의 영상좌표로부터 구해진다. 제안하는 방법은 카메라의 내부변수에 대한 정보를 따로 구할 필요가 없으며 컴퓨터 그래픽이 지원하는 모든 기능을 비유클리드공간의 정보로도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CLO 3D와 Vuforia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디지털 패션 콘텐츠 제작 (Production of Digital Fashion Contents based on Augmented Reality Using CLO 3D and Vuforia)

  • 강태석;이동연;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1-29
    • /
    • 2020
  • 본 연구는 패션에 대한 첨단 시뮬레이션 기술로 가상 의류 시각화를 지원하는 3D 패션 디자인 소프트웨어인 CLO 3D와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모바일 플랫폼 증강현실 개발 도구인 vuforia를 활용하여 유니티 엔진 개발 환경에서 대화식 구조의 디지털 패션 콘텐츠 제작을 위한 공정을 정의한다. CLO 3D 소프트웨어를 통해 패턴, 재봉선, 텍스쳐 등의 작업을 거쳐 가상 의류 모델을 제작하는 방법과 유니티 엔진 개발 환경에서 vuforia 개발 도구의 기능과 속성 들을 활용하여 컴퓨터 비전 기술 기반의 증강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그리고 패션 디자이너, 디렉터 등 실무 사용자의 관점에서 현실적으로 활용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증강현실 디지털 패션 콘텐츠를 정의한 제작 공정의 흐름으로 직접 제작함으로써 활용 방법을 제시한다.

안드로이드 기반 로고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 (Augmented Reality Logo System Based on Android platform)

  • 정은영;정운국;임선진;문창배;김병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4호
    • /
    • pp.181-192
    • /
    • 2011
  • 스마트 폰의 등장과 모바일 인터넷을 제공함에 따라 휴대폰은 음성통신 수단이 아닌 웹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도구 또는 각종 게임 및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놀이 수단으로도 발전하였고, 이로 인하여 사용량도 증가하였다. 사용량의 급증으로 인하여 모바일 광고에 대한 업계의 관심도 증가 하였지만, 한정적인 출력 화면에 의하여 광고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로고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기반 로고 인식 증강 현실 시스템을 제안하였고, 이를 구현하여 실제 스마트 폰에 탑재한 후 다양한 성능 분석을 하였다. 실험결과, 그 가능성은 확인하였지만 현 하드웨어 성능상 실시간으로 지원하기에는 역부족임을 알 수 있었다.

공공지하시설물 관리를 위한 증강현실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ocation 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Public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 이효진;김지성;서호석;조영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37-243
    • /
    • 2018
  • 공공지하시설물은 대부분 지하에 매립되어 있어 지하시설물에 대한 정확한 도면이 있어도 현장작업자가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정확히 인지하기 어렵다. 이러한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를 현장에서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증강현실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었으나 공공지하시설물 공간정보는 2차원의 형태로 구축되어 있어 현장에서 증강현실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3차원 객체 모델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되어 있는 2차원 지하시설물 데이터를 추가적인 3차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없이 3차원 증강현실 데이터로 자동 변환하여 활용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증강현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Preliminary study on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visualization in robotic thyroid surgery

  • Lee, Dongheon;Kong, Hyoun-Joong;Kim, Donguk;Yi, Jin Wook;Chai, Young Jun;Lee, Kyu Eun;Kim, Hee Chan
    •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
    • /
    • 제95권6호
    • /
    • pp.297-302
    • /
    • 2018
  • Purpose: Increased robotic surgery is attended by increased reports of complications, largely due to limited operative view and lack of tactile sense. These kinds of obstacles, which seldom occur in open surgery, are challenging for beginner surgeons. To enhance robotic surgery safety, we created an augmented reality (AR) model of the organs around the thyroid glands, and tested the AR model applicability in robotic thyroidectomy. Methods: We created AR images of the thyroid gland, common carotid arteries, trachea, and esophagus using preoperative CT images of a thyroid carcinoma patient. For a preliminary test, we overlaid the AR images on a 3-dimensional printed model at five different angles and evaluated its accuracy using Dice similarity coefficient. We then overlaid the AR images on the real-time operative images during robotic thyroidectomy. Results: The Dice similarity coefficients ranged from 0.984 to 0.9908, and the mean of the five different angles was 0.987. During the entire process of robotic thyroidectomy, the AR images were successfully overlaid on the real-time operative images using manual registration. Conclusion: We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use of AR on the operative field during robotic thyroidectomy. Although there are currently limitations, the use of AR in robotic surgery will become more practical as the technology advances and ma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surgical safety.

UTAUT 모델을 응용한 패션 증강현실(FAR) 기술수용에 관한 한국 20대 여성의 소비자 태도, 기술 사용의도 및 구매의도 (Consumer Attitudes, Intention to Use Technology,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20's Women on the Acceptance of Fashion Augmented Reality (FAR) with the Application of the UTAUT Model)

  • 조성희;김칠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5-137
    • /
    • 2019
  • This study determined the impact of 'Fashion Augmented Reality (FAR)' acceptance factors based on the model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on consumer attitudes, intention to use technology, and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A survey asked participants to have an AR experience using a FAR app to understand FAR in advance. Data were analyzed factor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using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analysis classified the acceptance variables of FAR technology into 'social relations', 'shopping effectiveness', and 'easy to use FAR'. Second, among the three factors of FAR acceptance, 'shopping effectiveness' is statistically more influential on positive attitudes towards FAR. However, 'easy to use' factor was more influential on 'the intention to use technology' as well as 'purchase intention'. Third, 'social relations' were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consumer attitudes', 'intention to use technology' and 'purchase intention' which are not well covered in fashion technology research. In addition, 'the intention to use technology' was found to be influential on 'purchase intention' and indicated the importance of easiness of FAR to enhance purchase intention.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원칙 연구 -길찾기 서비스 중심으로- (Usability Principles for a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cus on Wayfinding-)

  • 유창화;오동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43-651
    • /
    • 2022
  • 메타버스의 급부상에 따라 모바일 증강현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증강현실 환경에서의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원칙 개발을 목표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1)모바일 증강현실의 특성을 파악하여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요인을 파악했다. 2)증강현실의 사용성 사례 연구 분석을 통해 사용성 원칙을 수집 및 선별하고,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사용성 원칙을 재범주화하여 14개의 사용성 원칙으로 개발했다. 3)개발된 사용성 원칙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성 원칙을 바탕으로 평가 문항을 구성하여 사용성 평가 설문을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몰입성, 현존감, 효율성, 만족감, 유희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였으며, 증강현실 기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유용한 사용성 원칙임을 검증했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사용성 원칙에 관한 기초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증강현실 기반 스마트 칫솔의 치면세균막 제거효과 평가 (Dental plaque removal efficiency of a smart toothbrush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children)

  • Min-Ji Park;Suk-Bin Jang;Jae-Young Lee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3-42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스마트 폰을 활용한 증강현실의 기반의 칫솔질 가이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어린이의 치면세균막 제거 효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중맹검 교차임상시험을 통하여, 5-12세 어린이 20명을 대상으로 일반 칫솔질 후 치면세균막 제거효율을 측정하고 워시아웃기간 이후, 증강현실 기반 칫솔질 수행 후 치면세균막 제거효율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증강현실 기반 양치질이 일반 양치질보다 플라그 제거 효율이 우수하였다(p<0.05).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전치부에서는 두 가지 칫솔질 방법 간 플라그 제거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6), 구치부에서는 플라그 제거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결론: 증강현실 기반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양치질에 대한 치태 제거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ICT 기술을 접목한 구강보건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골조 수직, 수평 측정작업 시 LiDAR 및 AR 기술 적용방안 제시 (Exploring the Combined Use of LiDAR and Augmented Reality for Enhanced Vertical and Horizontal Measurements of Structural Frames)

  • 박인애;김상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3-284
    • /
    • 2023
  • 건설프로젝트 진행 시 골조공사 후 시공상태를 점검하는 업무가 필수적이며, 이에 골조의 수직 및 수평 정확도를 점검하고 결함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기존의 업무방식은 점검자의 주관적 판단 및 인적오류의 발생 가능성으로 인한 신뢰성 문제, 수작업으로 인한 인력 및 시간 소모적 문제 등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골조공사 시공상태 점검 및 결과공유 과정의 효율을 높이고자 LiDAR 및 AR 기술의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iDAR를 통해 골조의 3D Point Cloud 데이터를 취득하여 시공상태 점검에 적용하는 방안과, 점검결과 데이터를 BIM 모델에 입력 후, AR을 통해 시각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 방식 대비 점검과정의 객관성, 결과공유의 신속성 및 정확도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식임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건설프로젝트 전체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