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dio collaboration system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IP 네트워크 기반 고품질 오디오 협업 시스템 (Implementation of a High-Quality Audio Collaboration System Over IP Networks)

  • 강진아;김홍국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18-22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IP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오디오 협업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을 구현하고 구현된 방법들의 성능을 검증한다. IP 네트워크가 갖는 지연(jitter) 및 패킷 손실 등의 특성은 음성 및 오디오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품질 저하를 줄이기 위해, 패킷 손실률은 패킷 크기를 줄임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MPEG-2 AAC 오디오 코덱을 이용한 저전송률 오디오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음성 전송 시 패킷손실에 따른 음성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킷 손실에 견고한 iLBC(Internet Low-Bitrate Codec) 음성 코덱 및 ITU-T G.711 패킷 손실 은닉 알고리즘을 오디오 협업 시스템에 적용한다. 제안한 방법들을 RAT (Robust-Audio Tool)[7]를 기반으로 구성된 오디오 협업 시스템에 구현하였다. 구현한 결과, 256 kbit/s에서 동작하는 MPEG-2 AAC 오디오 코덱은 압축하지 않고 전송된 오디오와 유사한 품질을 제공하는 것을, iLBC와 G.711 패킷 손실 은닉 알고리즘은 2~10% 패킷 손실 환경에서 음질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협업 세션 중심의 동기식 원격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on Session-Centric 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System)

  • 조성국;이장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09-219
    • /
    • 2011
  • 컴퓨터 기반의 원격교육 시스템의 대부분은 학생이 강의자에 의해 이미 강의된 내용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보는 형태의 비동기식(asynchronous) 원격 교육 시스템이다. 이러한 비동기적인 시스템의 경우,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강의 내용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학생과 강의자간의 실시간 상호작용 등을 지원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학습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과 강의자 간의 협업 세션(collaboration session)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과 강의자간의 실시간 상호작용, 강의 중의 인지 정보, 그리고 학생으로부터의 피드백을 지원하는 협업 세션 중심의 동기식 원격 교육 시스템(collaboration session-centric 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system)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기본 기능에는 음성 및 화상 회의(audio and video conferencing), 텍스트 기반 채트, 주석(annotation)이 가능한 공유 슬라이드가 포함된다.

QoS Based Enhanced Collaboration System Using JMF in MDO

  • 김종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281-284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QoS based enhanced collaboration system in MDO. This is an efficient distributed communication tool between designers. It supports text communication, audio/video communication, file transfer and XML data sending/receiving. Specially, this system supports a dynamic QoS self-adaptation by using the improved direct adjustment algorithm (DAA+). The original direct adjustment algorithm adjusts the transmission rate according to the congestion level of the network, based on the end to end real time transport protocol (RTP),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rate by using the information of loss ratio in real 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RTCP). But the direct adjustment algorithm does not consider when the RTCP packets are lost. We suggest an improved direct adjustment algorithm to solve this problem. We apply our improved direct adjustment algorithm to our of QoS (Quality of Service) [1] based collaboration system and show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ransmission rate and loss ratio.

  • PDF

공동작업환경을 위한 시물레이션과 오디오/비디오 입력 제어장치 구현 (A Simulation & Audio/Video Input Control Device for Co-work Environment)

  • 정재영;김석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9-35
    • /
    • 1998
  •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에서의 다중 사용자를 위한 오디오/비디오 입력제어장치는 멀티미디어 교육에서 개인당 시스템이 꼭 있어야 상호참여를 위한 발언모드 진행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여 하나의 시스템에 여러 사람이 상호 참여할 수 있는환경을 물리적인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시스템 하나 당 다중 사용자가 발언권 모드를 사용 가능하게 하는 오디오/비디오 입력제어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동반한 다수의 공동작업 환경에서의 시뮬레이션의 내용을 같이 제시하고 있다. 본 개발은 개인 당 하나의 시스템이 있어야 가능한 영상회의 및 원격교육의 발언권 모드에서 일부의 시스템만을 가지고도 똑같은 효과를 냄으로써, 저렴한 영상회의 및 원격교육의 장비를 구입할 수 있어 최고의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개발은 일반 프린터 포트에 쉽게 장착이 되어 별다른 작업이 필요치 않은 호환성과 범용성을 가지고 있다

  • PDF

핸드제스처를 이용한 원격미팅 자료 인터페이스 (Hand Gesture based Manipulation of Meeting Data in Teleconference)

  • 송제훈;최기호;김종원;이용구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26-136
    • /
    • 2007
  • Teleconferences have been used in business sectors to reduce traveling costs. Traditionally, specialized telephones that enabled multiparty conversations were used. With the introduction of high speed networks, we now have high definition videos that add more realism in the presence of counterparts who could be thousands of miles away. This paper presents a new technology that adds even more realism by telecommunicating with hand gestures. This technology is part of a teleconference system named SMS (Smart Meeting Space). In SMS, a person can use hand gestures to manipulate meeting data that could be in the form of text, audio, video or 3D shapes. Fer detecting hand gesture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called SVM (Support Vector Machine) has been used. For the prototype system, a 3D interaction environment has been implemented with $OpenGL^{TM}$, where a 3D human skull model can be grasped and moved in 6-DOF during a remote conversation between distant persons.

열차 내 승무원과의 원격대화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Design of A/V Communication System for Passenger and Attendant in Train)

  • 장덕진;강송희;박현휴;강대호;허재석;송달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48-454
    • /
    • 2010
  • Currently a KTX train of 20-car formation is 388m long and carries 931 passengers including one captain and three crews which is quite a few to cover the lengthy service area and many customers. On the other hand, if a passenger wants to talk to an attendant, he has to wait for an attendant passing by his/her seat or walk to an intercom which is placed at every other car. Any of these choices is inconvenient. So, in this paper, we presented a system design for developing an audio/visual communication system for a passenger and an attendant. The system was analyzed and designed according to the Object-Oriented methodology with UML (Unified Modeling Language). Based on a problem statement, a Use-case Diagram, Sequence Diagrams, Class Diagram, State Charts, collaboration Diagram were generated. The design will be used in system implementation to a HEMU-400X test train and to be tested.

  • PDF

Connection Management Scheme using Mobile Agent System

  • Lim, Hee-Kyoung;Bae, Sang-Hyun;Lee, Kwang-Ok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92-196
    • /
    • 2018
  • The mobile agent paradigm can be exploited in a variety of ways, ranging from low-level system administration tasks to middle ware to user-level applications. Mobile agents can be useful in building middle-ware services such as active mail systems, distributed collaboration systems, etc. An active mail message is a program that interacts with its recipient using a multimedia interface, and adapts the interaction session based on the recipient's responses. The mobile agent paradigm is well suitable to this type of application, since it can carry a sender-defined session protocol along with the multimedia message. Mobile agent communication is possible via method invocation on virtual references. Agents can make synchronous, one-way, or future-reply type invocations. Multicasting is possible, since agents can be aggregated hierarchically into groups. A simple check-pointing facility has also been implemented. Another proposed solution is to use multi agent computer systems to access, filter, evaluate, and integrate this information. We will present the overall architectural framework, our agent design commitments, and agent architecture to enable the above characteristics. Besides, the each information needed a mobile agent system such as text, graphic, image, audio and video etc, constructed a great capacity multimedia database system. However, they have problems in establishing connections over multiple subnetworks, such as no end-to-end connections, transmission delay due to ATM address resolution, no QoS protocols. We propose a new connection management scheme in the thesis to improve the connection management involved of mobile agent systems.

온라인 대화 행위에서 XML 기반 메시지를 이용한 미디어 지원 (Supporting Media using XML-based Messages on Online Conversational Activity)

  • 김경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1호
    • /
    • pp.91-9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대화 행위에서 다양한 미디어를 지원하기 위하여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온라인 대화 행위에서 미디어 정보를 XML 기반 메시지로 변환하여 기존 텍스트 기반 메시지와 유사하게 처리한다. 이때 XML 기반 메시지와 미디어는 서버에 저장되며, XML 기반 메시지는 하나의 XML 문서로 통합된 후 XSLT 문서를 적용하여 HTML 문서를 생성한다. 각 클라이언트의 대화자는 HTML 문서의 하이퍼링크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재생 및 프레젠테이션 한다. 제안한 방법은 온라인 대화 행위에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의 다양한 미디어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또한 XML 태그의 확장 및 변경에 따라 텍스트 기반 메시지의 글자 크기, 색깔, 스타일 등의 유지보수에 효율적이다. 적용 예로서, 온라인 대화 행위에서 미디어를 지원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서버구조를 가지는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각 대화자는 웹 브라우저에서 JAVA 애플릿과 서블릿을 사용하여 텍스트 및 미디어 기반 메시지를 입력하며, 대화자가 메시지를 입력할 때마다 대화 메시지가 자동으로 갱신되도록 하였다. 대화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대화 메시지에서 하이퍼링크의 클릭으로 미디어를 재생 및 프레젠테이션 한다. 제안한 방법의 응용 분야로는 원격 교육, 게임, 협업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