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dio codec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9초

IP 네트워크 기반 고품질 오디오 협업 시스템 (Implementation of a High-Quality Audio Collaboration System Over IP Networks)

  • 강진아;김홍국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218-22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IP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오디오 협업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들을 구현하고 구현된 방법들의 성능을 검증한다. IP 네트워크가 갖는 지연(jitter) 및 패킷 손실 등의 특성은 음성 및 오디오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품질 저하를 줄이기 위해, 패킷 손실률은 패킷 크기를 줄임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MPEG-2 AAC 오디오 코덱을 이용한 저전송률 오디오 전송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음성 전송 시 패킷손실에 따른 음성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패킷 손실에 견고한 iLBC(Internet Low-Bitrate Codec) 음성 코덱 및 ITU-T G.711 패킷 손실 은닉 알고리즘을 오디오 협업 시스템에 적용한다. 제안한 방법들을 RAT (Robust-Audio Tool)[7]를 기반으로 구성된 오디오 협업 시스템에 구현하였다. 구현한 결과, 256 kbit/s에서 동작하는 MPEG-2 AAC 오디오 코덱은 압축하지 않고 전송된 오디오와 유사한 품질을 제공하는 것을, iLBC와 G.711 패킷 손실 은닉 알고리즘은 2~10% 패킷 손실 환경에서 음질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지각 부호화를 이용한 스테레요 오디오 코덱의 구현 및 음질 평가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stereo audio codec using perceptual coding)

  • 차경환;장대영;홍진우;김천덕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3B권4호
    • /
    • pp.156-163
    • /
    • 1996
  •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implementation and the sound quality assessment of a real-time stereo audio codec using TMS320C40 DSP (digital signal processing) chip for low bitrte and high quality audio. We implemented hardware and software in order to overcome a real-time processing problem of audio compression algorithm that can be produced by largely recursive computing and complexity of the process. We have studied five types of distortion that can be produced by perceptual coding and the codec was evaluated by eight test musics that are selected in SQAM (sound quality assessment material) 422-2-4-2 produced by EBU (european broadcast union). The subjective listening tests were carried out on the codec quality and preformance by double blind method in a listening room with eleven listeners. As a result, 5 grade-impairment scale was scored under minus one and the codec quality was evaluated to be perceptible, but not annoying.

  • PDF

디지털 오디오 방송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코덱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Audio CODEC for Digital Audio Broadcasting Service)

  • 장대영;홍진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66-7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의 소스 부호화기로 사용하기 위한 AAC (MPEG-2 Advanced Audio Coding) 코덱 시스템의 개발에 관하여 기술한다. 인코더 및 디코더는 ETRI에서 제안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해 MPEG-2 (moving Picture Exports Group Phase 2) 시스템의 TS(Transport Stream) 형식으로 입출력한다. 내부 오디오 신호처리를 위한 DSP (Digital Signal Processor)는 TI(Texas Instruments) 사의 TMS320C6701 (Floating point 166 MHz)을 사용하였으며, 인코더 에서는 DSP를 4개까지, 디코더에서는 3개까지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DSP에서는 시스템 제어. 오디오 신호 입 력. 오디오 신호 처리, TS 신호 발생, 비트스트림 출력 등의 처리를 수행하며, 각 DSP는 직렬 및 병렬 접속에 의해 데이터를 전 달한다 현재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2채널의 AAC 코덱을 구현하였으며, 이후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멀티채널 AAC 코덱, MPEG-4 오디오 코덱을 구현할 예정이며. DAB 및 디지털 방송 분야에 활용될 것이다.

  • PDF

고선명 TV 위성 방송을 위한 멀티 채널 오디오의 성능 평가 (A Performance Measurement of Multi-channel Audio codec for HDTV Satellite Broadcasting)

  • 김성한;장대영;홍진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71-76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고선명 TV의 위성 방송 서비스를 위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의 전송 및 재생시에 비트율 변화에 의한 음질의 주관적인 평가 모의 시험 결과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며, 이 시험 결과를 기초로 하여 4 채널 오디오 코덱의 특징 및 주관적인 성능 평가 결과에 대해 기술하였다. 멀티채널의 모의시험시 비트율은 384,320,256,128kbps로 가변 하였으며, double blind법에 의한 주관 평가 결과를 보면 3/2채널에서 320kbps까지는 -1 이하로 원음과 차이가 없거나 거슬리지 않는 것으로 평가 되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된384kbps 4채널 오디오 코덱에서는 10개의 시험재료중 3개만이 diffgrade가 -0.5이하의 결과를 보여 HDTV 방송용 코덱으로 사용 가능함을 보이고 있다.

  • PDF

Multi-Channel Audio CODEC with Channel Interference Suppression

  • Choi, Moo-Yeol;Lee, Sung-No;Lee, Myung-Jin;Lee, Yong-Hee;Park, Ho-Jin;Kong, Bai-Su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5권6호
    • /
    • pp.608-614
    • /
    • 2015
  • A multi-channel audio CODEC with inter-channel interference suppression is proposed, in which channel switching noise-referred sampling error is significantly reduced. It also supports a coarse/fine mode operation for fast frequency tracking with good harmonic performance. The proposed multi-channel audio CODEC was designed in a 65 nm CMOS process. Measured results indicated that SNR and SNDR of ADC were 93 dB and 84dB, respectively, with SNDR improved by 43 dB. Those of DAC were 96 dB and 87 dB, respectively, with SNDR improved by 45 dB when all the channels are running independently.

BcN용 미디어 프로세서형 단말(PMG)의 구현 및 성능시험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Measurement of Personal Media Gateway for Applications over BcN Networks)

  • 장성환;양수경;차영철;최우석;손석배;김정준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29-332
    • /
    • 2005
  • In this paper, we describe implementation of personal media gateway (PMG) for applications over BcN networks. PMG is a TV based set-top terminal, which enables transmission of Full D1 high quality video and audio at the speed of maximum 2Mbps. It supports SIP protocol and QoS for the BcN networks. The hardware of the PMG consists of host module, audio/video codec processing module, DTMF module, and remote control I/O module. H.263 and MPEG4 software are implemented in DSP as codec for hi-directional communication and streaming, respectively. G.711 and Ogg-Vorbis are implemented as audio codec. We examined the quality of video using the Video Quality Test Equpment, which was developed by KT Convergence Lab.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video quality of MOS 4.1 and audio quality of MOS 4.3. We expect that PMG will be prospective business models, and create new customer value.

  • PDF

가변 지연 MDCT/IMDCT를 이용한 오디오/음성 코덱 (Audio /Speech Codec Using Variable Delay MDCT/IMDCT)

  • 이상길;이인성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9-76
    • /
    • 2023
  • MDCT/IMDCT 과정을 사용하는 고품질 오디오/음성 코덱은 이전 프레임 과의 중첩-합(Overlap-add) 과정을 통해 현재 프레임을 완벽 복원 가능하다. 중첩-합 과정에서 프레임 길이 만큼의 알고리즘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알고리즘 지연을 줄이기 위해 MDCT/IMDCT에 가변적인 위상변이를 사용하여 알고리즘 지연을 줄인 MDCT/IMDCT 과정을 제안한다. 가변 지연 MDCT/IMDCT알고리즘을 ITU-T 표준 코덱 G.729.1 코덱에 적용하여 저지연 오디오/음성 코덱을 제안하였다. MDCT/IMDCT 과정에서의 알고리즘 지연은 기존 20 ms에서 1.25ms 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저지연 MDCT/IMDCT를 적용한 오디오/음성 코덱의 복호화된 출력신호는 객관적 음질 시험 방법인 PESQ 시험을 통해 성능 평가하였다. 전송 지연이 감소 됨에도 불구하고 기존 방법과 음질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간 처리를 위한 멀티채널 오디오 코덱의 구현 (The Implementation of Multi-Channel Audio Codec for Real-Time operation)

  • 홍진우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4권2E호
    • /
    • pp.91-97
    • /
    • 1995
  • 본 논문은 저비트율을 갖는 고품질의 HDTV용 멀티채녈 오디오 코덱을 구현에 대해 기술한다. 이 코덱은 저주파수 효과 채널을 포함한 최대 3/2 스테레오 채널 구성, 최대 채널 구성보다 낮은 채널 구성과의 호환성, 기존 2채널 스테레오 시스템과의 호환성(MPEG-1 오디오), 그리고 다중 대화 채널 등을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구현한 멀티채널 오디오 코덱의 인코더는 3개의 DSP(TI의 TMS320C40)로 구성되었고, 최대 48KHz 샘플링율과 16비트의 부호화를 갖는 5.1 채널의 아날로그 및 AES/EBU, IEC 958등의 포맷을 갖는 스테레오 2채널의 디지털 오디오를 이력으로 받아 지각 심리음향 모델을 사용하여 압축한후 384Kbps의 빛 스트림으로 전송하는 특징을 가지며, 디코더는 2개의 DSP로 구성되어 있고, 384Kbps로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을 받아 최대 5.1 채널의 아날로그 및 2개의 2채널 스테레오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출력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DSP를 이용한 다중처리는 DMA를 통한 통신포트를 이용한 DSP들간의 고속 데이터 전송에 의해 이루어진다. 끝으로, 멀티 채널 오디오 코덱의 구현을 통하여 나타난 실시간 처리는 위해 고려해야할 기술적 사항을 제안한다.

  • PDF

MPEG-4 ALS - The Standard for Lossless Audio Coding

  • Liebchen, Tilman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618-629
    • /
    • 2009
  • The MPEG-4 Audio Lossless Coding (ALS) standard belongs to the family MPEG-4 audio coding standards. In contrast to lossy codecs such as AAC, which merely strive to preserve the subjective audio quality, lossless coding preserves every single bit of the original audio data. The ALS core codec is based on forward-adaptive linear prediction, which combines remarkable compression with low complexity. Additional features include long-term prediction, multichannel coding, and compression of floating-point audio material. This paper describes the basic elements of the ALS codec with a focus on prediction, entropy coding, and related tools and points out the most important applications of this standardized lossless audio format.

MDCT 도메인에서 오디오 신호 특징을 고려한 초광대역 코덱 개선 (Enhancement of Super-wideband Coder by Considering Audio Feature in MDCT Domain)

  • 홍기봉;정규혁;이인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5호
    • /
    • pp.129-13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입력신호에 따라 효율적인 부호화를 위해 다중모드를 가지는 초광대역 부호화기를 제안하였다. 최근에 개발된 G.718기반의 초광대역 확장 코덱은 초광대역에 존재하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기 위하여 Generic모드와 Sinusoidal모드로 신호를 분류하여 부호화 하지만, 현악기, 관현악기와 같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하는 멀티플 피치 및 하모닉 성분과 타악기와 같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하는 Individual-Line 성분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하지 못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하는 하모닉과 Individual-Line성분의 특징을 고려하여 모드를 세분화하였다. 성능평가를 위하여 객관적인 평가로 MDCT 도메인에서 SNR을 이용하였으며 MUSHRA 테스트를 통해 주관적인 평가를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G.718 초광대역 부호화기보다 Individual-Line신호 경우 약 3dB, 하모닉 신호의 경우 약 0.8dB 높은 SNR을 보였으며 MUSHRA 테스트 역시 평균 5점 음질 향상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