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ypical Architectur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18초

스티븐 홀의 건축공간에서 나타나는 현상적 빛의 표현방법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Phenomenal Light In Steven Holl's Architecture)

  • 장현주;박찬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43-15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o make use of the light and expression methods to embody phenomenal space by considering the representation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a variety of 'Phenomenal light' in his works focused on the Steven Holl's views that thought the light as object of creating space. The process is summarized as follows: (1)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color, Classify concept and type of phenomenal light by phenomenal color (2)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the phenomenal light in the Steven Holl's architecture (3) Finally, organize the concepts and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phenomenal light, and then present method to embody phenomenal space by light. According to th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Perceptual color by the light of the sense forms a variety of perception and texture of light and shadow according to the contrast of shades and the change of materiality, thus embodying multisensory space with the light as the medium approach that helps to experience formal and tactile senses. (2) Spatial color by the light of volume distinguishes the flow and movement of sight, and embody inducing space with the light as Atypical activity that forms atmosphere of space through concentrated or overlapped mass of light and darkness. (3) Existential color by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visualizes the existence of the uncertain light, and embody the receptive space with the light as emotional communication that forms symbolic and psychological meaning through metaphorical phenomena of colored light.

3D 프린팅을 통한 거푸집 제조 및 건축 상품 구현 - 제조인자예측과 실험을 통한 적용가능성 검증 - (Architectural Product and Formwork Manufacture using 3D Printing - Applicability Verification Through Manufacturing Factor Prediction and Experimentation -)

  • 박진수;김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13-117
    • /
    • 2022
  • 적층제조(AM, 일명 3D프린팅)기술은 디자인 자유도가 높고 디지털화된 기술의 특성으로 품질데이터의 예측·관리가 용이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이점으로 AM기술은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과 기반시설을 AM기술로 제조하는 방법이 건설 산업에 제안되고 있다. 다만, 다소 부족한 기술의 역사와 품질 및 시공 관리방법의 미비, 제조상품의 인증과 같은 문제로 인해 기술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간접적인 형태로 AM기술을 활용하여 건축 상품제조를 구현하고 있다. 특히, 거푸집을 적층 제조하고 건축 소재를 투입하여 상품으로 구현하는 방법이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크기의 거푸집을 적층제조하고 건축 상품을 구현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압출적층제조를 활용한다. 또한, 적층제조과정에서 생산성과 경제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건축물의 구현결과와 생산 비용과 시간을 줄이기 위한 형상설계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거투르드 지킬(Gertrude Jekyll)의 와일드 가든(Wild Garden)에서 사용된 식물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Plant Relationships used in Gertrude Jekyll's Wild Gardens)

  • 박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3-80
    • /
    • 2019
  • 본 연구는 거투르트 지킬(Gertrude Jekyll)이 조성한 와일드 가든 형식의 작품에 사용된 식물의 종류와 식물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식재패턴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를 위한 사례지는 코츠월드 코타지(Cotswold Cottage), 드라이톤 우드(Dryton Wood), 리틀 애스톤(Little Aston), 클랭프 코트(Frant Court) 4개소이다. 작품별로 사용된 식재 패턴에서 식물간의 직접적인 연결관계를 보기 위해 사회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R을 이용하여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에 따라 상위그룹의 3순위에 속하는 식물을 도출하여 식물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철쭉류로 나타났고, 야생 장미가 그 다음 순이었다. 내한성이 강한 교배종의 철쭉류는 하부식재로 여러 수종과 연결되어 비정형식의 숲정원 느낌을 추구하였다. 야생 장미 또한 자생 수종으로 생태적인 면과 미적인 면에서 연결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층식재를 이루고 있다. 또한, 마가목, 채진목, 둥글레, 서양매발톱 등 흰색의 작은 꽃이 피는 수종을 식재하여 드리프트를 통한 식물 종을 자연스럽게 연결지을 수 있는 식물군락으로 와일드 가든을 조성하였다.

다발성 낭성 유두상 폐선암 1예 (A Case of Papillary Adenocarcinoma Presenting with Multiple Cysts)

  • 전수연;김유진;경선영;안창혁;이상표;박정웅;정성환;조은경;성연미;김나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2호
    • /
    • pp.93-96
    • /
    • 2010
  • A 23-year old woman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hemoptysis. The chest X-ray showed reticulonodular opacity and multiple cysts throughout the entire lung field. The chest CT scan revealed numerous bilateral cysts with various sizes, some of them with thickened walls. An open lung wedge resection was performed. The resected specimen showed scattered small nodules, 0.3 to 0.6 cm in size. Microscopically, each nodule was composed of atypical glands with an occasional papillary architecture spreading to the alveolar septa, which were morphologically consistent with a papillary adenocarcinoma with a bronchioloalveolar carcinoma growth pattern. Immunochemically, the tumor cells were negative for the S-100 protein.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n adenocarcinoma of the lung. A variety of diseases can produce or mimic multiple, thin-walled cysts in the lung. Lung cancer with multiple cysts is quite rare. Nevertheless, adenocarcinoma should be a diagnostic consideration. We report a case of a multiple cystic adenocarcinoma of the lung.

3D 프린팅 기술의 건설 산업 적용가능성 검토 (Reviewing the Applicability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 박진수;김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119-124
    • /
    • 2022
  • 최근 적층제조기술을 활용한 건축 상품 시공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적층제조기술은 건축 상품 시공과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자 안전을 확보한다. 또한, 비정형 형상의 구현효율성이 높아 건축물과 기반시설제조과정에 적용 가능성을 주목 받고 있다. 적층제조기술은 현대의 건설 산업에서 요구되는 컴퓨터 기반의 시공자동화, 자원관리, 시공기간예측 등을 만족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하지만, 아직 부족한 누적 데이터와 표준, 규제, 운영방법 등에 의해 산업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 적층제조기술 적용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2개의 적층제조시스템으로 건축 상품을 제조한다. 또한 각 건축 상품은 적층생산결정모델을 통해 적합한 제조시스템으로 투입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실증 실험을 통해 제조과정의 문제를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건축 상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확장된 적층생산결정모델을 제안한다.

거리 가구 제작을 위한 3D 프린팅 기술 중요도 도출 및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Applicat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for Street Furniture Manufacturing)

  • 이성호;이태희;임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09-517
    • /
    • 2020
  • 본 연구는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거리 가구 제작 시 기술 특성 중요도를 도출하고 거리 가구 중 비정형 벤치 제작을 통해 우선순위가 높은 3D 프린팅 기술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품질기능전개(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방식으로 중요도를 분석하여 점수로 계량화하였으며 개발 및 연구에서 우선시 되어야할 기술요소는 '출력 크기', '재료의 수축성', '출력 각도'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의 검증을 위해 비정형 거리 가구 디자인을 대형 3D 프린팅 출력물로 제작하였으며 제작 과정에서 우선순위 기술요소들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였다. 거리 가구 제작은 기능성과 안정성을 기반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경제성, 제작성, 심미성 등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출력 크기'는 파츠의 분할을 최소화시켜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재료의 수축성'은 형태의 오차를 최소화시켜 심미성 및 제작성을 충족시켰으며 마지막으로 '출력 각도'는 출력물의 품질을 향상시켜 다양한 출력 각도를 통해 효율적이고 구조적 안정성이 있는 각도를 선정함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검증과 적용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3D프린팅 조형설치물 경향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rend of installations Using 3D Printing Technique)

  • 김지민;이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2-60
    • /
    • 2021
  • 본 논문은 발전하는 3D프린팅 기술의 추세에 맞추어 크기와 디자인의 한계를 벗어난 대형 조형 설치물 제작으로 3D프린팅을 이용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이 나타나는 경향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은 3D프린팅으로 제작한 조형설치물의 유형을 분류하고 2가지 경향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디자인 측면의 경향, 둘째, 출력방식 측면의 경향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이 나아가고 있는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알고리즘을 통한 디자인 구현이 이루어지면서 복잡한 표현이 두드러지는 비정형 디자인으로 변혁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로봇 공학과 3D프린팅의 적층 제조기술이 융합되어 기존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다. 따라서 알고리즘 디자인 구현 방식과 Freeform 3D프린팅 기술의 상호작용으로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의 제작과 활용이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 세계 3D프린팅 조형설치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앞으로 발전할 국내 3D프린팅 기술과 함께 3D프린팅 조형설치물 제작 연구의 기초적인 역할을 하였다. 추후 재료 및 결합 방식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밝힌다.

텍스트 마이닝과 인자분석에 의한 도시경관이미지 연구 - 롯데월드타워를 대상으로 - (Urban Landscape Image Study by Text Mining and Factor Analysis - Focused on Lotte World Tower -)

  • 우경숙;서주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104-117
    • /
    • 2017
  •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인자분석를 활용하여 경관이미지 분석의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이 경관이미지 연구에서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롯데월드타워의 경관이미지는 텍스트 마이닝 분석 결과, 형용사 '새로운', '변화적인', '특이한', '신기한', '인상적인', '개성적인' 등이 도출되었으며, 롯데월드타워의 경관이미지가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사람들의 활동적인 요소(구경, 나들이, 프로젝트, 야경 등)와 미디어매체(신문, 블로그 등), 기후(날씨, 계절) 등이 경관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변동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인자분석 결과, 롯데월드타워의 경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상징성, 심미성, 조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형태적 특징인 식별성은 규모성, 가시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오히려 독특성, 특별성 등의 특징을 갖고 있는 상징성과 주변 환경과의 특성과의 조화성, 아름다움의 특징을 갖고 있는 심미성 등 심리적인 요인이 경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연구방법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결과는 건축물의 장소나 위치 등 형태적 물리적인 특성보다 도시를 대표하고 상징할 수 있는 요소 등 심리적인 특성이 경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은 사람들이 대상을 보고 느낀 이미지에 해당되는 명사 형용사를 파악할 수 있고, 도출된 키워드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경관이미지 형성 과정과 더 나아가 도시의 이미지까지 파악이 가능하므로, 조경분야에서 경관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조경의 연구 분야인 경관분석에서 빅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실제 실행을 통하여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추후 빅데이터 기반의 정보를 파악 분석하여 경관 연구 영역의 확대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목조주택 모형개발을 위한 평면모듈 설정에 대한 연구 - 기둥-보 방식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 Modular Establishment for the Development of Wooden Dwelling Model - Focused on the Post & Beam Structure -)

  • 강만호;주석중;김재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41-148
    • /
    • 2007
  • In this research, to develope wooden house model with post & beam structure which is commensurate with domestic environment, we analyzed the size and module of a unit space and space organization of existing habitation, then, based on the result, we tried to suggest general wood house modules. For this, we investigated 98 floor plans for 30 pyeong apartment in Seoul, Gyounggi-do, Gwangju, and Jeolla-do. The results are showed as follows. 1) It has shown that 7 posts distances are available in 2 bay floor plan type - 3.0 m, 3.3 m, 3.6 m, 3.9 m, 4.2 m, 4.5 m, and 4.8 m. 2) It has shown that 8 posts distances are available in 3 bay floor plan type - 3.0 m, 3.3 m, 3.6 m, 3.9 m, 4.2 m, 4.5 m, 4.8 m, and 5.1 m. It was concluded as follows, applying the standard of regulations of horizontal modular coordination design, from $\ulcorner$the standard of modular coordination design in architecture(KSF 1525)$\lrcorner$. 1) The available widths are 3.0 m, 3.3 m, 3.6 m, 4.2 m, and 4.8 m, and the available depths are 3.0 m, 3.3 m, 3.6 m, and 4.2 m. 2) To guarantee a space through post module of a room combination, we can use a module of 3.6 m, 4.2 m, 4.8 m except 3.0 m, 3.3 m among available modules. The module investigated in post & beam structure wooden house is applied in basic 6 floor plans as follows. 1) When organize the room on the basis of tile module of 3.6 m, 4.2 m, it was possible to organize the floor plan. 2) After arranging main room, making practical application of variableness which is advantage of post & beam structure, putting to practical use of extra space that becomes the combination of atypical room such as kitchen, dining room, and bathroom, it was possible to organize the floor plan of the residence. 3) It is possible to organize whole rooms through the plan module from 3.6 m to 4.2 m, that decides the floor plan of a wooden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