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ribution Theory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6초

공항운영인력의 ASQ 서비스성과 공유에 대한 인식 및 귀인 연구 : 인천공항 아웃소싱직원을 중심으로 (A Study of Incheon Airport Employees' Perception and Attribution on ASQ Service Performances focusing on Outsource Workers)

  • 송정태;김기웅;최연철;박성식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2-70
    • /
    • 2016
  • Perception of outsource workers among Incheon Int'l airport employees was reviewed about the service performances of winning the ASQ awards in 11 consecutive years. 85% of Incheon airport operating authority(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Corp.) and its outsource companies employees was composed of outsource workers. Thus, their thoughts might represent the overall perception of airport operating authority employees. The perception on the service performances of winning the ASQ awards was analyzed by researchers using attribution theory model. It is useful to apply attribution modeling in order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Attribution is the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explain the causes of behavior and events. Attribution theory is the study of models to explain those processes. According to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outsource workers attributed the excellent service performance of Incheon airport to such an internal factor as service competence. However it was also implied they attributed to such external factors as the positive relationship and institutional support from airport and government authorities.

브랜드 명성에 따른 기술 침해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변화: 약자 브랜드의 언더독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chnology Infringement on Consumer's Attitude Change Depending on Brand Reputation: Focusing on the Under-dog Effect of Weak Brand)

  • 김건우;박도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4호
    • /
    • pp.167-18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consumer behavior when occur patent litigation and technology infringement of each conditions which are brand reputation gap, technology importance and technology leakage attribution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2x2x2 factorial design deducted and performed 3-way ANOVA then analyzed 2-way AVOVA with brand reputation gap as center from technology importance and technology leakage attribution on the basis of the Attribution Theory.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consumer attitude has no difference regardless of technology leakage attribution when top-dog vs. under-dog situation and top-dog vs. top-dog situation. Also, this study confirmed that when under-dog infringe important technology, consumer show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other. On the other hand, top-dog infringe important technology, consumer show more negative attitude than the other.

코로나 19 상황에서 고객의 셀프서비스기술에 대한 귀인 경향이 패스트푸드점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림자노동의 관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ustomer's Attribution Tendency Toward Self-Service Technology on the Intention to Revisit Fast-Food Restaurants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ed on Shadow Work Perspective)

  • 김현규;정남호;부백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3호
    • /
    • pp.109-12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ustomers' shadow work and risk perception have an impact on revisit intention to the fast-food restaurant, with mediating role of different types of attribution tendencies. We also added perceived unfairness in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verify it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tendencies and revisit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Applying the shadow work perspective and attribution theory, we designed a research model to confirm the hypotheses. After collecting the data from 331 customers who have used self-service technology in a fast-food restaurant, we conducted an analysis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by using Smart-PLS 3.0. Findings This study confirmed that Forced Use of self-service technology can enhance the tendency of dispositional attribution which would negatively affect perceived unfairness and revisit intention. On the other hand, affective risk perception was proven to affect situational attribution, which positively affects revisit intention.

하버마스와 루만의 논쟁이 남긴 문제: 소통과 행위의 관계 및 귀속 (Problems inherited from Habermas/Luhmann-debate: Th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action and the problem of attribution)

  • 정성훈
    • 철학연구
    • /
    • 제120호
    • /
    • pp.89-119
    • /
    • 2018
  • 하버마스/루만 논쟁의 쟁점들 중 비판이론 대 체계이론이라는 오래된 대립구도를 확인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오늘날 더 중요한 쟁점들은 두 학자가 논쟁 이후에 이룬 성과와 관련된 것이다. '소통적 행위'와 '토의'가 그런 쟁점들이다. 이 쟁점들로부터 출발해 하버마스는 소통적 행위 이론을 정립했고, 루만은 사회적 체계들의 요소를 소통으로 간주하고 행위를 자기관찰의 요소로 간주했다. 특히 소통을 일차적 개념으로 간주하고, 행위를 행위자에 대한 귀속결과로 본루만의 작업은 행위이론 중심의 사회학 전통에 도전한 매우 생산적인 전환이었다. 그럼에도 이 전환에는 귀속 갈등이 심화될 경우에 대한 고민이 결여되어 있다. 나는 무한 귀속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버마스의소통적 행위 개념에 들어있는 '이해시키기'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소비자 반품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Consumer Return Experiences)

  • 박경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61-970
    • /
    • 2006
  •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post-purchase consumer return experiences which had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consumer behavior research. As a first step to understand return experiences from consumers' viewpoint, the study took an exploratory approach and identified themes and patterns from subjective consumer experiences. Whenever possible, attribution theory was applied to interpret the identified patterns. A total of 99 cases were collected from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based on a qualitative method. The reasons of product return was classified into five groups: changing mind; product defects; unsuitable products; products not expected; and for a better deal. External attribution was observed for return decisions caused by consumers' changed mind as well as by product defects. Dissatisfaction with defected products seemed to be intensified or reduced by service failure or success in the post-purchase service encounter. Consumer expectation and situations seemed to affect this process. Overall, the study supported attribution theory in the post-purchase return experience, and insights for research questions were proposed.

The Moderating Role of Attribution in Penalty Judgment: An Empirical Study in the Financial Service Industry

  • Kim, Young "Sally" K.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16
    • /
    • 2006
  • Many financial service organizations use various types of penalties (e.g., late payment fee, overdraft fee), often inflicting customer complaints and, in extreme cases, attrition. This study examines how customers evaluate penalties using concepts from attribution theory and literatures of social justice and customer satisfaction/dissatisfaction. The study hypothesizes that both cognitive (i.e., attribution, perceived fairness, disconfirmation) and affective (i.e., emotion) responses influence customer's penalty judgment and tests the effect of moderation between attribution and perceived fairness on penalty judgment. The study uses a cross sectional survey design and collects data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The results show that attributions ha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irness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penalty and that perceived fairness, emotion, and attributi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nalty evaluation. The study provides discussion of the finding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 PDF

행위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 - 귀인정서이론 적용 - (Process of Social Stigma on Behavioral Addictions -The Attribution Affection Theory applied -)

  • 박근우;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3호
    • /
    • pp.241-265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적 낙인이 행위중독의 치료를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라는 전제하에 행위중독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정을 검증하여 반낙인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모형은 정신장애에 대한 대중의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설명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는 귀인정서이론과 수정된 귀인정서이론을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즉, 행위중독의 원인을 성격이나 의지, 생활습관 등 개인적으로 통제 가능한 것으로 귀인할 경우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행위중독의 원인을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귀인할 경우 동정을 매개로 돕는 행동이 나타나거나(귀인정서이론), 오히려 위험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두려움이 증가하여 사회적 거리감이 가중되는(수정된 귀인정서이론) 두 가지 경로가 존재할 수 있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경상남도의 성인 383명을 대상으로 도박중독과 인터넷 게임중독의 모의 사례를 무작위로 제시하고 사례가 보이는 문제의 원인, 그들에 대한 정서적, 행동적 반응을 질문하였다. 그 결과 모든 경로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예측력을 가졌다. 따라서 개인적 원인으로 귀인할 경우 분노를 매개로 사회적 거리감이 증가하였다. 생물학적 원인으로 귀인할 경우 두 경로 모두 의미 있는 예측력을 가졌으나 동정을 매개로 돕는 행동을 예측하는 경로의 간접효과가 더 컸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연구자들은 행위중독이 치료가 필요한 정신건강의 문제임을 강조하는 반낙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 PDF

전환장벽의 귀인이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ttributions to Switching Barrier on Negative Emotions and Complain Behaviors)

  • 정윤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223-237
    • /
    • 2017
  • 전환장벽은 고객의 이탈을 막는다는 점에서 주로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되었으나, 최근에는 기업이 설정한 전환장벽이 장기적으로 해로울 수 있음이 논의되기 시작하였다(Jones et al. 2000; 정윤희, 2012). 전환장벽의 부정적 영향에 관한 기존연구에서는 전환장벽이 소비자의 전환의 자유를 방해한다는 점에서 부정적 심리반응을 이끌 수 있음은 보여주었으나, 당장 기업에 줄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환장벽으로 인해 전환을 못하는 상황에 서비스 실패상황에 관한 연구를 적용하여 소비자들의 전환장벽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전환을 어렵게 하는 전환장벽의 귀인(내적 혹은 외적)에 따라 후회와 원망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수용, 불평행동, 부정적 구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가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가설 검증한 결과, 내적귀인은 후회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외적귀인은 원망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후회는 수용과 불평행동에 영향을 주고, 원망은 불평행동과 부정적 구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전환장벽이 고객들의 부정적 감정과 불평행동을 이끌어 기업에 즉각적 피해를 줄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기존연구를 확장하고 있으며, 전환장벽에 대한 신중한 실무적 활용을 시사한다.

  • PDF

귀인이론을 바탕으로 한 도서관 SST(Self-Service Technology)기반 서비스실패와 서비스회복 전략 탐색 (Library SST-Based Service Failure and Service Recovery Strategy Based on Attribution Theory)

  • 이성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1-27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SST(Self-Service Technology)기반 서비스 이용자 관련 연구를 개관하고 귀인이론을 통해 이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서비스실패와 이에 대한 회복전략을 이해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적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는 SST기반 서비스의 특성 및 이용자연구를 문헌조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도서관 SST기반 서비스도 일반적인 SST기반 서비스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인 서비스와 다른 특성을 지니는 SST기반 서비스의 경우 이용자에 의한 서비스 실패가 발생했을 경우 적합한 회복 전략은 무엇인지를 귀인이론을 기초로 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 SST기반 서비스를 비롯한 SST기반 서비스의 이용자에 의한 실패를 회복하기위한 전략은 서비스자체의 기술적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