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blems inherited from Habermas/Luhmann-debate: The 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action and the problem of attribution

하버마스와 루만의 논쟁이 남긴 문제: 소통과 행위의 관계 및 귀속

  • Received : 2018.02.19
  • Accepted : 2018.03.16
  • Published : 2018.03.31

Abstract

Among the controversial issues of Habermas/Luhmann-debate, the more important issue today is the achievement of the two scholars after the debate rather than confirming the old antagonistic framework of critical theory versus systems theory. 'Communicative action' and 'discourse' are such issues. Starting from these issues, Habermas established a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and Luhmann regarded elements of social systems as communications and considered actions as elements of system's self-observation. In particular, Luhmann's work, which regards communication as a primary concept and action as a result of attribution to the actor, was a very productive conversion of sociological tradition. Nevertheless, this conversion lacks a solution of intensified attribution conflicts. I think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Verst{\ddot{a}}ndigung$' in Habermas' concept of communicative ac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infinitely repeated attribution conflicts.

하버마스/루만 논쟁의 쟁점들 중 비판이론 대 체계이론이라는 오래된 대립구도를 확인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 오늘날 더 중요한 쟁점들은 두 학자가 논쟁 이후에 이룬 성과와 관련된 것이다. '소통적 행위'와 '토의'가 그런 쟁점들이다. 이 쟁점들로부터 출발해 하버마스는 소통적 행위 이론을 정립했고, 루만은 사회적 체계들의 요소를 소통으로 간주하고 행위를 자기관찰의 요소로 간주했다. 특히 소통을 일차적 개념으로 간주하고, 행위를 행위자에 대한 귀속결과로 본루만의 작업은 행위이론 중심의 사회학 전통에 도전한 매우 생산적인 전환이었다. 그럼에도 이 전환에는 귀속 갈등이 심화될 경우에 대한 고민이 결여되어 있다. 나는 무한 귀속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하버마스의소통적 행위 개념에 들어있는 '이해시키기'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