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toward service

검색결과 384건 처리시간 0.028초

예비화학교사의 TPACK 발달을 위한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방해 요인 분석 (The Effect and Disturbance Factors of Practical-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TPACK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 정미선;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05-32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전문성(TPACK)을 향상시키고자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TPACK 발달 측정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 및 방해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K 교사양성대학교에서 화학교육강좌를 수강하는 화학교육과 3학년 20명과 4학년 2명이었다. 개발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은 준비, 리허설, 실습, 성찰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준비, 리허설, 성찰 단계에서는 연구자와 동료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제해결"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사전과 사후에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0수준으로, 테크놀로지를 단순히 교과 내용 설명이나 오개념 개선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비교사가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를 통해 수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도록 계획하였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경우 사전에 0수준이었던 예비교사들이 1수준으로 변화하였다. 즉,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지 않고 단순 기억에 의존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수업을 구상하였던 학생들의 대부분이 교사가 제시한 테크놀로지의 관찰을 통해 다양한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학습자가 스스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고 다양하게 조작하면서 다양한 문제를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자발적 학습을 구성하는 2수준에 해당하는 예비교사들은 많지 않았다. 또한, 예비화학교사들이 TPACK 발달에 대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외적요인으로는 TPACK 구현을 위한 교실지원환경 미흡, 교육 계획을 위한 시간 부족, 부적절한 기술 역량 등이 있었으며, 내적요인으로는 전통적 교육관,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대한 부정적 태도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 부적절한 기술 역량을 외적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비율이 높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을 위해 TK를 통해 TPACK 발달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TPACK 발달 유형 중 유형 2나 유형 3에 해당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부산지역 제조기업과 비제조기업의 기업금융에 대한 의식과 함의 (The Consciousness and Implication of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Firms on Corporate Finance in Pusan Region)

  • 최진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83-602
    • /
    • 2011
  • 이 논문은 부산지역 기업을 제조업과 비제조업으로 구분한 후 이들이 기업금융에 대해 어떻게 의식하고 있으며 그것은 무엇을 함의하고 있는지를 설문조사결과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부산지역의 제조기업과 비제조기업은 은행과의 거래가 상이하다. 이는 각자의 영업기반이 상이한데서 기인한다. 비제조기업은 주된 영업기반이 부산지역에 있어 지방은행을 주거래은행으로 하면서 주거래은행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에 반해 제조기업은 영업망이 지역에 한정되어 있는 지방은행이 제공하는 금융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면서 지방은행 이외의 은행과 밀접한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방은행으로 하여금 보다 폭넓게 지역기업의 정보생산기능과 감시기능을 발휘하도록 요구하는 것이다. 설문조사를 기초로 지방은행이 지역밀착경영을 강화해야 한다는 점을 논리적으로 밝힌 점은 이 논문의 중요한 기여의 하나이다.

  • PDF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한 브랜드 클러스터링: 자동차 산업 사례연구 (Clustering Corporate Brands based on Opinion Mining: A Case Study of the Automobile Industry)

  • 황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53-462
    • /
    • 2016
  • 인터넷의 등장으로 고객들은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인터넷 공간에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기업은 인터넷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업에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결과를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과거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만족도, 충성도 등을 분석하던 방식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등에서 추출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NS에서 수집된 결과를 활용하여 브랜드간의 군집을 발견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제시된 프레임워크의 실무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자동차 산업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두 개의 브랜드 이름이 소셜 미디어에서 동시에 언급되는 빈도가 높을수록 고객이 두 브랜드를 유사하게 인식한다는 가정 하에 자동차 브랜드 사이의 유사성을 측정하고 거리의 개념으로 변화한 후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3차원 상에 표시하였다. 또한 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고객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유사한 브랜드간의 군집을 도출하고 각 군집을 특징을 기술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해외직접구매의 혜택지각 및 위험지각 요인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enefit perception and risk perception on consumer evaluation during overseas direct purchase)

  • 손제영;정헌주;강인원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3-28
    • /
    • 2017
  • 본 연구는 해외직접구매 사이트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혜택지각요인, 위험지각요인, 제품측면, 웹사이트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각각의 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직접구매 경험이 있는 한국소비자 298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해외직접구매 사이트에 대한 신뢰수준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배송위험과 제품성능위험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직접구매 사이트에 대한 신뢰수준은 추천의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도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다는 것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는 해외직접구매의 유형(해외직접배송, 해외구매대행, 해외배송대행)과 소비자들이 주요하게 구매하는 제품군(의류, 식 음료품, 가전제품)에 따라 평균차이검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각각의 해외직접구매 서비스 관련 주체별, 소비자 특성별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실무적 시사점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여행사경험에 의해 형성되는 소비자의 감성적 반응 (Consumer's Affective Response Formation from Experience of Travel Agency)

  • 정문영;김계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4호
    • /
    • pp.33-40
    • /
    • 2012
  • 본 연구는 관광상품의 주요 구성요소인 여행사에 대한 경험이 PAD모형에 따른 소비자의 감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의 감성민감도가 여행사 경험에서 유도되는 감성에 대한 조절적 역할을 분석하였고 여행사 경험에서 유도된 감성이 여행사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재구매의도 형성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자료 분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요한 여행사 경험요소로 반응성, 정중성, 업무수행능력, 차별성 등 네 요소가 식별되었고 이들이 소비자의 경험이 즐거움-각성-지배(Pleasure-Arousal-Dominance: PAD) 정서를 차별적으로 유도한다는 가정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정서에 관련된 주요 개인차 변수의 하나인 감성민감도(Affect Intensity)가 여행사경험에서 유도되는 정서 형성에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여행사 경험에서 유도된 정서는 각각 여행사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 형성과 재구매의도 형성에서 차별적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역시 검증되었다.

  • PDF

SNS를 통한 군(軍)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 :메시지 형태가 장병의 위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ilitary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on a Social Network Service :Focusing on the effect of message form on the crisis perception of soldiers)

  • 김태웅;양종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02-110
    • /
    • 2019
  • 군은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운용된다는 측면에서 위기 발생 시 외부공중의 반응에 매우 민감하게 대처한다. 하지만 군 조직은 다른 여타 조직과 다르게 내부공중인 장병이 군 복무를 통해 군을 체험하고 전역 후 조직을 평가하는 외부공중이 된다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군의 위기상황 관리 측면에서 내부공중인 장병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군 복무 중인 장병들의 미디어 이용행태를 고려해 SNS에서 전달되는 위기관리 메시지 형태(디지털이미지 메시지 vs.텍스트 메시지)가 장병들의 군 조직의 위기에 대한 인식, 메시지 수용도, 그리고 군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디지털이미지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이 텍스트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보다 군의 위기대응 메시지를 수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군의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했다.

광고에서 감정의 역할사고 (The Role of Affect in Advertising)

  • 황병일;김범종
    • 산학경영연구
    • /
    • 제13권
    • /
    • pp.67-87
    • /
    • 2000
  • 과거 16년 동안 광고에서 감정에 관한 연구는 놀랄만한 성과를 이룩해 왔다. 광고에서 감정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 광고를 집행하는 데 지침이 되는 밑걸음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통합적으로 정리되지 않아 실무에서 광고표현전략을 전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광고에서 감정에 관한 역할을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계화시켜 정리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시각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과 관련되는 유사 개념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여 광고에서 감정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는 데 기초로 삼았다. 광고에서 감정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자극으로서 장고 특성과 관련한 연구, 자극으로서 광고가 제시되는 환경과 관련한 연구, 개인의 특성과 관련한 연구, 광고 태도 및 상표 태도와 관련한 연구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향후 광고에서 감정과 관련해서 연구할 분야로 광고 소구, 부정적인 감정의 역할, 감정의 측정, 새로운 매체에서의 역할, 인지요소와의 관련성 등을 제시하였다.

  • PDF

현상학적 접근을 통한 노인의 삶의 경험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 of Elderly People)

  • 황보선;신유선;윤석옥;이지현;정경임;김정순;김이순;김복용;강영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6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 by poor elderly people.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is the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life of a poor elderly people.' The sample consisted of 21 single poor elderly persons in Pusan. The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audio-recorded and analyzed using the Van Kaam method. This study was 368 responses which yielded of descriptive expressions and priority classifications. The result generated 74 common elements, 18 syntheses of hypothetical definitions and 5 identifications of the structural definition. The structural definitions and hypothetical definitions were as follows; 1. physical discomfort ; complaints of severe pain ; dysfunction of physical organs 2. emotional cognition ; despair ; resignation ; attitude toward death 3. support system ; interaction with family ; thinking about God ; economical difficulties ; expectancy of social services ; opinions about health service ; leisure ; interaction with neighborhood ; dissatisfaction due to inadequate environment 4. past reminiscence ; negative reminiscence of one's past ; past regret ; positive reminiscence of one's past 5. desire ; desire of unrealization life ; self satisfac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or nursing are; Comprehension of the lived experience of client and identification' of nursing approach method concerning the lifestyle of client.

  • PDF

주제공원개발을 위한 외래 관광객 성향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International Tourist Attitudes Analysis for the Theme Park Development in Busan)

  • 황영우;양위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121-125
    • /
    • 2003
  • 세계의 각국들은 관광산업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관심을 기울이고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움직임까지도 보여주고 있다. 기존 관광 선진국들의 이러한 동향은 관광분야에서 특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 못한 도시 또는 국가에서는 생존 차원에서의 전략을 창출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서 경쟁력있는 매력적인 관광자원을 개발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세계도시를 지향하는 부산이 관광목적지로서 경쟁력 높은 지닌 해양 주제공원의 설립 움직임과 관련하여, 사전에 검토되어야 할 성공적 운영을 위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의 측면, 그리고 사업의 직ㆍ간접적 영향 대상인 외래 관광객의 입장에서 각각의 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운영 프로그램 상에 어떻게 반영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전략적 대안들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PDF

노인복지관 여가활동 참여자의 자아통합감과 전두엽인지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integration and frontal lobe cognitiv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nt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 박혜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19-2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복지관 여가활동 참여자들의 자아통합감과 전두엽 인지기능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K도, M시 소재한 복지관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120명을 대상으로 2018년1월 16일 ~1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증,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인복지관 여가활동 참여대상자들의 현재 만족이 자아통합감의 '생에 대한 태도', '지나온 일생 수용', '현재 삶의 만족'과 통계적 차이를 보였고, 자아통합감은 현재 만족정도에 28.3%정도 설명력을 보였다. 동거인에 따라 전두엽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는 16.1%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자아통합감과 전두엽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노인 공동체 생활을 함께 할 수 있는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