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change related to scienc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초

당뇨 자기관리를 위한 행위변화 이론: 개념적 고찰 (Behavior Change Theories in Diabetes Self-management: A Conceptual Review)

  • 최수영;송미순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7권1호
    • /
    • pp.1-9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behavior change theories in terms of important variables, concept definitions, and applicability to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 Methods: Six behavior change theories (the Transtheoretical Model, the Health Belief Model,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ocial cognitive theory, and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were reviewed which were applied in diabetes self-management interventions. Results: The five key concepts from the five non-stage behavior change theories were delineated. Based on the key concepts, a theoretical framework was formulated as the explanatory model of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s. The four major concepts in Information-Motivation- Behavioral skills Model were included. The cognitive arm of the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included constructs related to diabetes knowledge, motivation (beliefs, attitude, social norm), self-efficacy, and intention. Conclus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described here includes the key factors of successful diabetes self- management intervention. However, the concept of motivation needs further exploration and clarification for operationalization.

  • PDF

The Association between Skin Type and Skin Care Behavior and Stress Perception during COVID-19 Pandemic

  • Tae-Oim KIM;Ki-Han KWON
    • 산경연구논집
    • /
    • 제14권4호
    • /
    • pp.33-46
    • /
    • 2023
  • Purpose: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outbreak, mask-wearing is required to protect against and limit the spread of infection, but it can directly affect skin problems. Change in skin condition might be related to mental health. This study explored the association between skin conditions and behavior of skin cares and stress levels during the Covid-19pandemic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on 516 adults who were aware of damaged skin due to continuous wearing of masks for a long ti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 included 164 men and 352 women in the Republic of Korea. Results: Skin conditions and behavior of skin cares associated with stress perceptions.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 Conclusion: Since management so far in the COVID-19 Pandemic can cause skin concerns and change the original skin type, it is necessary to redefine and improve the use of skin care, face-washing methods, and functional cosmetics. People with high and low interest in skin type recognition and management were evenly identified, and it was confirmed that stress awareness decreases as awareness of skin care attitude increases.

과학 관련성 태도 변화 검사도구(CARS-Changes in Attitude about the Relevance of Science) 번역본의 타당도와 관련 변인 탐색 및 동형 검사 도구 구성 (Validat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CARS(Changes in Attitude About the Relevance of Science), Exploring Variables Related to CARS Scores, and Constructing Two Equivalent Test Sets of CARS)

  • 박은주;이상의;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2호
    • /
    • pp.179-194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CARS(Changes in Attitude of Relevance to Science)문항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여 우리나라 학생들에게의 적용여부를 판단하고, 성별 및 학교급별 차이를 비교한 후 라쉬 모델을 활용하여 두 개의 동형의 과학적 관련성 인식 검사도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59문항의 CARS 과학적 관련성 인식 검사문항을 번역하여 787명의 중 고등 (중학생 300명, 고등학생 431명의 답변이 분석됨)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CARS 문항의 우리나라 학생들에게의 적합도를 판단하고 많은 문항수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라쉬 모델의 문항연결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25문항으로 구성된 CARS-A와 CARS-B형의 두 과학적 관련성 인식 검사도구를 구성하였다. 두 동형검사도구의 라쉬 점수 상관관계는 0.78이며, 라쉬 모델 분석수치는 거의 일치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생성된 두 형의 과학 관련성 인식 검사도구는 학생들의 과학의 일상관련 태도를 확인하거나, 특정 수업과정 후 또는 학년별 변화를 확인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과학교육에서 학생들이 과학의 연관성 인식이 가지는 의미를 확인하고 도구개발 및 활용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천체관측을 통한 학습이 천문성취도, 천문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Influence of an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tronomy Achievement, Astronomy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Scientific Attitude)

  • 채동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8권2호
    • /
    • pp.79-101
    • /
    • 1999
  • Astronomy is a good area to introduce a student to the study of science. The student often questions what causes the change in seasons, in the day and right, and in the rotation of stars, etc. Attempts to find answers to problems related to these astronomical observations influence the student`s intellectual developmen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unning an astronomical observations program 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tronomy achievement, astronomy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scientific attitude. Students consist of twenty fou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ee instruments are used: one is the astronomy achievement test, which is of an essay type, and 5 items. The other is the astronomy teaching efficacy beliefs test, which is of a Likert scale type, and 22 items. Another is the scientific attitude test, which is of the Likert scale type, and 10 items. Data a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in the astronomical observations program, through the use of these tests. Data are compared. The results are: \circled1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structions in the astronomy achievement test(t=11.31, p=000). \circled2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structions in the astronomy teaching efficacy beliefs test(t=5.98, p=.000). \circled3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structions in the scientific attitude test(t=270, pde. There fore, the a=.013). As a result, running an astronomical observations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strono my achievement, astronomy teaching efficacy beliefs, and scientific attituuthor urges the teacher to teach astronomy through the astronomical observations in school.

  • PDF

과학사 활용 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물의 순환과 날씨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Effect of Instruction Utilizing History of Science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apter of 'Water Cycle and Weather Change)

  • 이현선;유정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565-57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중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 조사하였다. 여중생 3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에서 대하여 과학사 활용 수업, 통제 집단에 대하여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과학사 활용 수업에서는 필수 학습요소와 관련된 과학사를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소개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STS인식을 유도하였다. 과학사 활용 수업은 전통적인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학사 활용수업은 과학 학업 성취도에서는 상위권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서는 상, 중위권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교수-학습 자료와 수업 모형 개발은 과학사 활용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죽음에 대한 가상강좌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nline Education on Death)

  • 조계화;이현지;이윤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42-452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online education on death, 'successful life, and beautiful death'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evaluate students' changes regarding perception of self and death. Metho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with one experimental group pre-post test. Subjects were 154 students who enrolled for online education about death for 16 weeks. SPSS/WIN 12 was used for analyzing data.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clearly indicated this class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perception of death-related concepts, attitudes toward death, and self-concept,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post-tests than in pre-tests. In addition, the result of class evaluations showed a positive response, Conclusion: Findings suggested that this online education about death was effective to change students' perceptions of death related knowledge, attitude toward death, and self-concept. Recommenda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ovided.

UCC 제작을 통한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by Producing UCC - 2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

  • 김여진;양영훈;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39-34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STEAM 교육의 교육적 동향과 국내외 연구 사례를 살펴보고 'UCC 제작을 통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2학년 1학기 슬기로운 생활을 기반으로 한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된 프로그램을 적용한 학생들의 창의성 지수가 비교집단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또한,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영역 중 흥미와 태도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하였다. 연구 결과 'UCC 제작을 통한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 신장과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삼화 ${\cdot}$ 보충형 수준별 수업모형의 중학교 과학 교육에서의 적용 효과; '물의 순환과 일기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riched-Supplementary Ability-Grouping Within Class to Educ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In the Capter of 'Water Cycle and Weather Change')

  • 김혜현;유정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3-115
    • /
    • 2000
  • 2000년도부터 교육 현장에 적용될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주요 핵심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과학과에서는 심화 ${\cdot}$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될 것이다. 이에 대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심화 ${\cdot}$ 보충형 수준별 수업 모형이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물의순환과 일기 변화' 단원에 대하여 심화 ${\cdot}$ 보충형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중학교 2학년의 4개반 152명을 대상으로 실험반(76명)에 대하여 심화 ${\cdot}$ 보충형 수준별 수업을, 그리고 통제반(76명)에 대하여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수업을 각각 약 6주간 실시하여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대한 변화를 공분산 분석으로 비교 ${\cdot}$ 분석하였다. 수업 처치 후, 실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하여 학업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이러한 효과는 상위권 학생들보다 하위권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한편 과학에 관련된 태도 변화에 있어서 통제 집단은 향상되었으나 실험 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는 수준별 수업의 유의미한 부정적 효과를 보였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세 가지 영역을 분석한 결과에서 실험 집단은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 에서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에서는 유의미한 부정적 변화를 보였다. 특히, 하위 요소 중 '과학 수업에 대한 불안' 에서 수준별 수업의 부정적 효과가 컸다.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서 상위권 학생들은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소인 '과학 교수 방법에 대한 인식 ·만족' 에서 긍정적, 그리고 하위권은 '과학 수업에 대한 불안 에서 부정적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수준별 수업 방법이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제공하여 학업 성취도를 증진시켰지만, 과학 관련 태도를 전반적으로 개선하지 못했다. 따라서 학생들의 흥미와관심도 고려되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과 내용의 적절한 변화가 동반된다면,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본다.

  • PDF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물리 교수·학습 방법이 과학적 태도와 개념 이해 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hysics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Storytelling on Scientific Attitudes and Perception of Concepts Understanding)

  • 손정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2호
    • /
    • pp.213-225
    • /
    • 2017
  • 대부분의 학생들은 물리 학습에 대한 어려움과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특히 내러티브 사고가 배제된 논리-과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는 학습으로 학생들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어려워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 수업에 내러티브 사고를 활용하는 스토리텔링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물리 학습에 대한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적 태도 향상, 개념이해가 가능한 스토리텔링 교수 학습 방법을 문헌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이를 고등학생과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에 흥미가 낮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활용 교수 학습 방법은 과학 관련 직업, 과학 및 과학관련 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였고, 비판성, 개방성, 협동성, 자진성 등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학습에 적극적인 중학생은 스토리텔링 활용 교수 학습 방법이 물리 개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스토리텔링 교수 학습 방법은 학생들의 물리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을 일으키고, 과학적 사고력을 증진시켜 개념 학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공대 학생들의 두뇌 우성 사고에 따른 공학태도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Toward Engineering Science And Academic Accomplishment According To Brain Dominance Thinking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 박기문;이규녀;최유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4-139
    • /
    • 2010
  • 이 연구는 공대생을 대상으로 공학에 대한 태도 변인과 두뇌 우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대 학생틀의 공학에 대한 태도는 인지적 요소(3.73), 정의적 요소(3.05), 행동적 요소(2.86)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실적 맥락에서 공학적인 인지적 능력 배양뿐만 아니라 실험 실습과 같은 행동적 요소를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공대 학생들의 두뇌 우성 사고(A유형:분석자, B유형:관리자, C유형:협동자, D유형:합성가)에 따른 공학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분석적 사고의 특성을 갖는 A유형의 학생들이 학업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적인 측면에서 학생을의 사고 유형에 따른 교수-학습 전략의 변화가 필요하며, 특히, 개별 학습자의 약한 우성적 특성과 사고유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수자의 교수-학습 전략과 실천이 중요하다는 교수자들의 인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