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enuated vaccine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6초

T Cell Immune Responses against SARS-CoV-2 in the With Corona Era

  • Ji-Eun Oh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11-222
    • /
    • 2022
  • After more than two years of efforts to end the corona pandemic, a gradual recovery is starting in countries with high vaccination rates. Easing public health policies for a full-fledged post-corona era, such as lifting the mandatory use of outdoor mask and quarantine measures in entry have been considered in Korea. However, the continuous emergence of new variants of SARS-CoV-2 and limitations in vaccine efficacy still remain challenging. Fortunately, T cells and memory T cells, which are key components of adaptive immunity appear to contribute substantially in COVID-19 control. SARS-CoV-2 specific CD4+/CD8+ T cells are induced by natural infection or vaccination, and rapid induction and activation of T cells is mainly associated with viral clearance and attenuated clinical severity. In addition, T cell responses induced by recognition of a wide range of epitopes were minimally affected and conserved against the highly infectious subsets of omicron variants. Polyfunctional SARS-CoV-2 specific T cell memory including stem cell-like memory T cells were also developed in COVID-19 convalescent patients, suggesting long lasting protective T cell immunity. Thus, a robust T-cell immune response appears to serve as a reliable and long-term component of host protection in the context of reduced efficacy of humoral immunity and persistent mutations and/or immune escape.

작약(Paeonia lactiflora) 뿌리 추출물의 대식세포에서 p62/SQSTM1 증가를 통한 자가포식 유도 (Induction of Autophagy by Paeonia lactiflora Root Extracts through Upregulation p62/SQSTM1 in RAW264.7 Cells)

  • 정진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5-281
    • /
    • 2023
  • 본 연구에서 우리는 작약 뿌리 추출물이 TLR4/PI3K/Nrf2 신호전달을 통해 p62/SQSTM1을 증가시켜 대식세포에서 자가포식을 유도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의 자가포식 유도는 선천성과 적응성 면역 반응 간의 연결을 강화해 백신 보조제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표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작약 뿌리 추출물은 백신개발에 필수적인 백신보조제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Salmonella enterica serovars Enteritidis, Gallinarum 및 Typhimurium의 마우스 면역반응의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murine immune responses to Salmonella enterica serovars Enteritidis, Gallinarum and Typhimurium infection)

  • 김기주;김두리;선지선;박소연;조영재;고현정;주홍구;한태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95-101
    • /
    • 2013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and compare the immune responses in mice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either wild-type or isogenic mutants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s Enteritidis (SE), Salmonella Typhimurium (ST) and Gallinarum (SG). The mutant strains were constructed by allelic replacement of some virulence-associated genes in the wild-type strains. Seven-week-old female BALB/c mice were orally or intraperitoneally inoculated by injecting bacterial suspension. To evaluate the immune responses,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enzyme-linked immunospot (ELISPOT) assay were conducted with serum and fecal samples. As a result, the mice group infected orally with the SE mutant strai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pecific IgA-secreting splenocyte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The peritoneally injected groups showed the greater levels of IgG1 than the orally injected groups, which was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mutant infected groups had the similar secretion levels of antibodies with the wild-type infected group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E mutant strain elicited humoral immune response as much as wild-type, implying that it can be useful as a delivery vehicle as well as a candidate of a live attenuated vaccine.

면역체 분석을 위한 탄저균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의 구축 (Construction of the Genomic Expression Library of Bacillus anthracis for the Immunomic Analysis)

  • 박문규;정경화;김연희;이기은;채영규;윤장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1-26
    • /
    • 2010
  • 탄저균(Bacillus anthracis)은 탄저(Antrax)의 원인균으로 사람은 물론, 초식동물인 소, 양, 말 등에서 급성의 폐사성 전염병을 일으킨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탄저 치료 및 예방법은 항생제 치료와 약독화 백신주를 토대로 하고 있으나, 항생제 내성주의 출현 및 잔류 병원성이 문제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체에 적용 가능하며 보다 안전한 탄저 치료제 및 백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최근 탄저균 아포 및 영양세포, 그리고 탄저독소(Anthrax toxins)에 대한 동시 면역을 유도하는 다가백신 개발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탄저균에 대한 새로운 다가백신 후보물질 발굴을 위하여, 탄저균에 대한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whole genomic expression library)를 구축하였다. 라이브러리 구축을 위하여, 탄저균(ATCC 14578) 게놈 DNA를 Sau3AI으로 부분 제한효소 처리였고, 유도 발현이 가능한 pET30abc 벡터에 접합시킴으로써, 총 $1{\times}10^5$개에 해당하는 대장균 BL21(DE3) 유래의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다. 염기서열분석을 통한 중복성(redundancy) 확인 결과, 111개의 무작위 클론 중 56개(50.5%)가 탄저균 유전자로 확인되었으며, 17개(15.3%)는 벡터 유전자였고, 38개(34.2%)는 BLAST 탐색에서 일치하는 유전자를 찾지 못하였다. 또한 웨스턴 분석을 통하여 단백질 유도발현을 확인하였으며, 탄저균 항혈청에 대한 colony blot으로부터 양성반응을 보이는 일부 클론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물들은, 구축된 전장 유전자 발현 라이브러리가 향후 탄저균에 대한 면역체(immunome) 분석을 위해 적용 가능함을 암시한다.

소아에서 진단된 다발성 저음영 결절 형태를 보인 간흡충증 1례 (A Case of Clonorchis Sinensis with Multiple Low Echogenic Nodules in a Child)

  • 황영준;한만용;하두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8권1호
    • /
    • pp.123-128
    • /
    • 2001
  • 한국은 간흡충증의 집중유행지역이고 성인에서의 간흡충증과 합병증의 보고는 많이 있었으나 소아의 경우 보고가 없었다. 본 증례는 8세 소아의 대변검사에서 충란을 발견하여 간흡충증을 진단하였다. 방사선 검사 소견에서는 이전에 보고된 전형적인 간흡충증의 방사선 소견과는 달리 간내 말초담도계의 확장 없이 간실질에 다발성의 저음영 결절과 간문맥내에 임파선 증식을 보였다. 저자들은 환아의 과거력 및 임상증상과 말초혈액 검사소견 등을 미루어 볼 때, 이러한 소견을 간흡충 감염에서 급성기의 방사선학적 소견이 아닌가 추정하였다. 이에 8세 남아의 대변검사에서 충란을 발견하여 확진하고 praziquantel 경구복용으로 치유한 1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2002년 한국에서 발생한 돼지콜레라의 역학적 특성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2002 outbreak of classical swine fever in Korea)

  • 박최규;송재영;위성환;이은섭;윤하정;문운경;최은진;남향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7-117
    • /
    • 2006
  • This paper described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2002 outbreak of classical swine fever (CSF) in Korea. A total of thirteen CSF-infected farms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clusters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ime of outbreak. Two farms located in the same county of Gangwon province and 11 farms located in several different districts of Incheon metropolitan/Gyeonggi province were identified as CSF-infected from April 16 to 30 and from October 7 to December 21 in 2002,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epidemiological analysis, the two clusters of outbreaks were turned out to be independent epidemics which had different sources of virus introduction. Three farms were found to have been infected primarily; one located in Cheolwon county of Gangwon province and two located in Kangwha county of Incheon metropolitan area. The most likely factors of virus introduction into these primary infected farms were considered to be direct or indirect contact by foreign workers and/or owners of the infected farms who had come back from traveling in China before outbreaks. This was supported by the genetic typing of CSF viruses isolated from the pigs of infected farms. All the virus isolates of 2002 outbreak were found to be genetic type 2, whereas the viruses isolated before 2000 were type 3 and the reference strains, such as attenuated live vaccine virus (LOM strain) and high virulent challenge virus (ALD strain), were type 1. Accordingly, we concluded that the 2002 CSF outbreak must have been caused by a newly introduced virus from overseas and the type 3 virus must have been eradicated after the last outbreak of 1999 by the national CSF eradication campaign which were implemented since 1996. Based on the combined analysis of epidemiological data and genetic typing, the transmission routes of classical swine fever virus were found to be the movement of vehicles (60%) and persons (10%), neighbourhood spread (20%) and unknown (10%).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zed data and findings of classical swine fever outbreak epidemic could be very useful to establish the disease control and eradication program for the country in the future.

2014년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해외유입 홍역 바이러스의 분자역학적 특성 분석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y of measles virus throughout an imported epidemic outbreak in Gyeonggi-do in 2014)

  • 윤희정;박포현;황선일;허정원;남수정;용금찬;윤미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8
    • /
    • 2017
  • 홍역바이러스(Measles virus)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발진성 열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이며, 약독화된 생백신 접종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에서 어린아이들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해마다 20만명이 사망하는 풍토병이다. 우리나라는 1996년 이후부터 국가적으로 시행된 정기예방접종으로 인한 높은 백신 접종률(>95.0%)로 획득된 집단면역과 고도의 기술적 감시체계의 결과로 홍역이 퇴치되었으며, 2014년 3월 WHO로부터 '홍역퇴치국가'로 인증 받았다. 그러나 2014년 초부터 경기도에서 홍역환자가 다시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경기도에서 발생한 홍역 확진 환자를 대상으로 홍역바이러스의 유행양상 및 유전형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72건의 홍역바이러스 양성검체에서 60주의 홍역바이러스를 분리하였고, nucleoprotein(N)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유전형의 확인 및 유전자변이를 분석하였다. 총 60건의 홍역 확진검체를 분석한 결과 58건(96.7%)에서 B3 genotype을 확인하였다. 또한 nucleoprotein(N) 유전자 부위의 유전자 변이 분석결과, 경기도내 분리주들이 2013년에서 2014년 필리핀에서 유행한 홍역 분리주들과 99% 일치하였다. 따라서 필리핀 등에서 감염된 후 국내에 유입되어 2차 감염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마우스에서 조류 병원성 대장균의 P Fimbriae subunits을 발현하는 약독화 살모넬라균 경구 접종 후 면역 반응 유도 실험 (Induction of Systemic and Mucosal Immune Responses in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Recombinant Attenuated Salmonella Expressing Subunits of P Fimbriae of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 오인경;문보미;이존화;허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7-302
    • /
    • 2011
  • 조류병원성 대장균 (APEC)은 가금에서 많은 장관외 질병을 야기한다. 병원성 인자 중 하나인 P-fimbriae 또한 질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마우스에 P-fimbriae의 subunit 들인 PapA와 PapG를 발현하는 재조합 약독화 Salmonella Typhimurium 백신균주 접종 후 APEC 방어에 필요한 면역반응 유도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백신 균주로 경구 접종 후 각 항원에 대한 serum IgG 항체 역가는 접종 후 4주째부터 대조군에 비해 항체 역가가 높게 유도되기 시작하여 실험이 끝날 때까지 높은 항체 역가가 계속 유지 되었다. 한번 접종 된 경우보다 추가 접종 된 군에서 보다 높은 항체 역가가 관찰되었다. 더불어 각 항원에 대한 mucosal IgA 역가 또한 높게 유도되었다. 두 균주를 혼합하여 접종 하였을 경우에는 각 백신 균주를 접종하였을 경우보다 높은 serum IgG와 mucosal IgA의 역가가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이들 백신 균주가 면역원성이 있음을 확인하는 결과였다. 또한 helper T cells type을 알아보기 위해 IgG1과 IgG2a의 항체 역가를 측정하여 본 결과 각 백신 균주를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IgG2a의 항체 역가가 IgG1의 항체 역가 보다 월등히 높은 이들 백신 균주를 접종 하였을 경우에는 Th1-type의 면역 반응이 유도되지만 두 백신 균주를 혼합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Th1-과 Th2-type 모두를 유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이들 두 백신 균주를 혼합 접종 하였을 경우에는 세포성 면역뿐만 아니라 체액성 면역 모두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