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endance Managing Syste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실내 위치 추적 기법을 이용한 근태관리 시스템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Indoor Localization Techniques)

  • 서동인;안다예;하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0권10호
    • /
    • pp.2068-2079
    • /
    • 2015
  • 최근 유연근무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일부 중앙부처와 대기업 등에서 유연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유연근무제의 도입으로 근무자는 편의를 얻을 수 있게 되었으나, 관리자가 근무자의 근무시간을 관리하는 비용이 증가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근무자의 근무시간을 관리하는 비용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스마트폰과 Wi-Fi 지문을 통한 실내 위치 추적 기법을 이용하여 근무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근무자가 지정된 근무지에 위치하고 있는 시간을 근무시간으로 기록한다. 기존의 근태관리 시스템은 대부분 출퇴근 기록 장치가 필요하며, 근무자의 출퇴근 처리를 통해 출퇴근 시간을 기록한다. 본 시스템은 출퇴근 기록 장치가 필요 없고 근무자가 출퇴근을 처리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근무시간을 기록한다. 그리고 기존의 근태관리 시스템은 출퇴근 시간만 기록하였지만 본 시스템은 출퇴근 시간과 근무자가 지정된 근무지에서 근무한 시간을 기록한다. 본 시스템이 기록한 근무자의 근무시간을 이용하여 근무자의 다양한 근무형태에 따라 효율적인 근태관리를 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본 시스템이 근무자의 근무시간을 파악하여 평균 98.7%의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스마트 출결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Attendan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강세현;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36-144
    • /
    • 2022
  • 기존 각 기관에서 수행하는 연수는 출결 관리 시스템의 미비로 인해 신청자들의 출결유무를 현장에서 수기로 작성 후 문서로 관리하고 있었다. 각 기관에서 수기로 작성된 문서를 관리자들이 2차 가공 후 취합하여 보관/관리를 하다 보니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연수신청자들도 수강한 연수의 출결유무와 연수정보를 확인하려면 직접 방문 또는 유선연결을 통해 직접 알아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데이터 수집/저장 방식은 저장 및 검색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존과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바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출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통해 교육신청자의 출석체계가 구축되고, 출석관련 보안이 강화되며, 교육 참석 자료의 전산화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각 기관이 교육정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료의 기준을 선정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한 번의 구축으로 다양한 기관을 추가할 수 있어 기관관리 확장성이 용이하며 추가로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제공하는 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연수담당자들의 업무편의성 증대와 사용자들의 출결데이터 통제/관리를 통해 교육의 질적 향상을 기대한다.

QR코드를 활용한 스마트폰 기반 출석체크 시스템 (Attendance Check System based on Smartphone using QR code)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25-334
    • /
    • 2014
  • 교수자가 학생들의 출결을 신속, 정확하게 체크하기 위한 자동화된 출결시스템 구축을 위해 RPID 리더기, 지문인식기 클리커 등 별도의 장비가 요구되어 비용 및 관리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벌도의 시스템 구축 및 추가 장비 사용없이 이미 구축된 무선 인터넷과 수강생들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기반 출석체크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수강생들이 출석체크앱을 로그인하면 날짜, 시간, 위치, 강의실 좌석을 인식하며, 강의와 관련된 퀴즈나 설문조사를 통해 강의 피드백 및 수시로 출석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적용 결과 강사는 많은 학생들의 출결을 손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며, 퀴즈와 설문을 통해 학생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고, 특히 출석, 퀴즈, 설문결과를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어서 편리하다고 하였다.

NFC 기술을 활용한 앱(App)기반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uto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pp using NFC Technique)

  • 김봉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19-723
    • /
    • 2016
  • 최근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한 관심 증가와 빠른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기술이 출시되고 있다. 학교에서도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출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출석부에 의한 출결 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시스템이 RFID, Bluetooth, 클리커 등을 이용한 출결 관리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출석 호명과 수기에 따른 종이와 시간 낭비를 해결하기는 하였으나 부가적인 장비를 구매 또는 대여함으로써 비용 추가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 지원되고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NFC를 이용한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은 교수용과 학생용 두 개의 앱으로 구성되며, NFC와 TCP/IP 기술을 이용하여 출결 정보를 자동 관리하게 함으로써 대리출석 및 수업시간 손실, 부가적인 비용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교무업무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 Interface Enhancement for NEIS School Affairs Business System)

  • 한지숙;조성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69-79
    • /
    • 2009
  • 현행 교무업무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데이터 입력방식이 복잡하고, 유사 항목들 사이나 관련 기능 메뉴들 사이에 연계가 원활하지 않아 업무의 효율이 떨어진다. 여기에서 UI는 해당 시스템 사용자가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입출력, 입출력 관련 기능, 메뉴구성 등을 포함한 포괄적 개념이다. 본 논문에서 우선, 경기도내 3개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교무업무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기존 교무업무시스템의 UI 문제점들은 수작업에 의한 입력과 메뉴구성의 불편, 학사 일정과 교육과정의 연계 미비, 출결관리 및 교과평가의 복잡성 등이다.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입력기능과 메뉴구성 등이 개선된 UI를 고안하여 교사들에게 제시한 후 다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입력 편의성과 사용자 중심의 화면 구성 등의 면에서 UI가 개선되는 것을 크게 선호하였다.

  • PDF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경력관리시스템 구축 (An Implementation of the Care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Android Platform)

  • 이원주;주치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45-15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MBTI, 적성검사 결과와 외국어(TOEIC, 회화, 작문) 능력 등을 관리하고, 재학기간 동안 현장실습, 인턴십, 프로젝트 참여, 졸업작품전, 공모전 수상 등의 실적을 관리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경력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경력관리시스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모듈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서버 모듈은 경력관리시스템의 웹 사이트를 구축한다. 이 웹 사이트는 학생 개인의 경력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두 번째 클라이언트 모듈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앱을 개발 한다.이 앱은 학생 개인의 경력 관련 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항상 새로운 데이터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경력관리시스템을 활용한다면 대학의 관련 부서들이 학생 서비스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고, 학생들의 부가가치를 높임으로써 취업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블록체인 기반 대학 공공기록물 관리 서비스 설계 연구 (Study on Blockchain Based University Public Records Management Service)

  • 홍기완;장항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9-91
    • /
    • 2021
  • 대학의 공공기록물은 공공기록물법 시행령에 따라 기록물분류체계를 수립하고 그에 준하는 공공기록물 관리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대학의 공공기록물들은 대학 발전계획 수립과 같은 기록물부터 교내 공문 등 학생 성적관리 기록물까지 다양한 종류의 기록물들을 포함한다. 이중에서, 성적관리 기록물들은 성적에 관한 기록물로 중에서 출석부, 답안지, 과제물 등의 서류는 여전히 원본을 종이문서로 관리하고 있고, 학교별로 관리체계와 방법이 상이하여 관리담당자의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종이문서로 보관되고 있는 대학의 성적 관련 기록물들을 블록체인 기반 기록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서비스는 종이문서 보관 및 관리에 소모되는 비용, 시간과 노력 등의 자원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