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endance Management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31초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상호협력기반 전자출결 시스템 (Attendance-Absence Management System based Mutual Cooperation using Smart Device)

  • 정필성;조양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9-27
    • /
    • 2021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스마트기기 활용성이 높아짐에 따라서 대학에서 효율적으로 출결 관리를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전자출결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현재 전자출결 시스템은 학생들의 스마트폰이 독립적으로 전자출결을 진행하기 때문에 와이파이에 연결이 잘 안 되면 출결에 오류가 생기는 단점이 존재하며 실시간 푸시메시지 전송 기능이 배제되어 출결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정 출결 방지, 실시간 출결 관리 결과 안내, 와이파이 연결 문제로 인한 출결 처리 지연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전자출결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교수자의 스마트폰과 학생들의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교수자의 스마트폰이 전자출결을 처리하기 때문에 부정 출결과 출결 처리 지연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시메시지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출결 관리 결과 안내를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푸시메시지를 이용한 능동적인 출결관리시스템 (Active Attendance-Absence Management System using Push Message)

  • 정필성;조양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9-36
    • /
    • 2020
  • 교육부에서 대학이 수업시간 준수와 학생의 출결관리를 엄격하게 관리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항목이 추가됨에 따라서 대학에서는 전자출결시스템을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전자출결시스템을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출결관리와 기록관리가 가능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전자출결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인 부정행위방지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수정으로 전자출결이 가능하다. 수동으로 전자출결을 진행하면 교수 스마트폰의 BLE 비콘 서비스를 활성화한 후 푸시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학생의 전자출결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킨다. 학생이 출석체크 버튼을 눌러 비콘이 검색되면 출결을 처리한다. 자동으로 처리하는 경우 학생이 개입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비콘을 검색하고 출결을 처리한다. 제안 시스템은 학생이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자동으로 출결을 처리하며, 불특정 주기로 출결을 재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정출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A Search Model Using Time Interval Variation to Identify Face Recognition Results

  • Choi, Yun-seok;Lee, Wan 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3호
    • /
    • pp.64-71
    • /
    • 2022
  • Various types of attendance management systems are being introduced in a remote working environment and research on using face recognition is in progress. To ensure accurate worker's attendance, a face recognition-based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must analyze every frame of video, but face recognition is a heavy task, the number of the task should be minimized without affecting accuracy.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earch model using time interval variation to minimize the number of face recognition task of recorded videos for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The proposed model performs face recognition by changing the interval of the frame identification tim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attendance status for a certain period. When a change in the face recognition status occurs, it moves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performs frame checks to more accurate attendance time checking. The implementation of proposed model performed at least 4.5 times faster than all frame identification and showed at least 97% accuracy.

스마트 출결 통합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mart Attendanc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 강세현;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36-144
    • /
    • 2022
  • 기존 각 기관에서 수행하는 연수는 출결 관리 시스템의 미비로 인해 신청자들의 출결유무를 현장에서 수기로 작성 후 문서로 관리하고 있었다. 각 기관에서 수기로 작성된 문서를 관리자들이 2차 가공 후 취합하여 보관/관리를 하다 보니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연수신청자들도 수강한 연수의 출결유무와 연수정보를 확인하려면 직접 방문 또는 유선연결을 통해 직접 알아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데이터 수집/저장 방식은 저장 및 검색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존과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바코드를 이용한 스마트 출결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통해 교육신청자의 출석체계가 구축되고, 출석관련 보안이 강화되며, 교육 참석 자료의 전산화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또한 각 기관이 교육정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료의 기준을 선정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한 번의 구축으로 다양한 기관을 추가할 수 있어 기관관리 확장성이 용이하며 추가로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제공하는 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연수담당자들의 업무편의성 증대와 사용자들의 출결데이터 통제/관리를 통해 교육의 질적 향상을 기대한다.

A Study of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and BLE Advertisement Function

  • Jang, Bong-Soo;Lee, Sang-Joon;Kwak, Ho-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67-73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lectronic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bluetooth function of the beacon and BLE advertising function of the smart phone. In the beacon-only bluetooth attendance confirmation system, it is needed more than one beacons according to the class room sizes. A BLE advertising function based attendance confirmation system can not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attendances. In the proposed system, we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instructor using the beacon of the class room, and confirm the attendances by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attendances's smart phone. In this system, we can achieves the goals of electronic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only one beacon per a class room.

NFC 기술을 활용한 앱(App)기반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uto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pp using NFC Technique)

  • 김봉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719-723
    • /
    • 2016
  • 최근 무선 통신 기술에 대한 관심 증가와 빠른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응용 기술이 출시되고 있다. 학교에서도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출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출석부에 의한 출결 관리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시스템이 RFID, Bluetooth, 클리커 등을 이용한 출결 관리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은 출석 호명과 수기에 따른 종이와 시간 낭비를 해결하기는 하였으나 부가적인 장비를 구매 또는 대여함으로써 비용 추가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 지원되고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NFC를 이용한 자동 출결 관리 시스템은 교수용과 학생용 두 개의 앱으로 구성되며, NFC와 TCP/IP 기술을 이용하여 출결 정보를 자동 관리하게 함으로써 대리출석 및 수업시간 손실, 부가적인 비용 발생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건설 현장 특성을 고려한 출역관리시스템 선정 프레임워크 개발 (A Development of Framework for Selecting Labor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Condition of Construction Site)

  • 김성아;진상윤;장문석;정충원;최철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60-69
    • /
    • 2015
  • 출역관리는 전통적으로 출역점검표 작성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구했다. Bar Code, QR code, RFID와 같은 전자장치들이 발달하면서 자동화된 출역관리시스템이 출현하였고, 최근에는 지문, 정맥인식과 같은 생체인식과 융합된 다양한 유형의 출역관리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출석체크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인식 장비들의 출연에도 불구하고, 건설현장 마다 적합한 출역관리시스템을 선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기준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출역관리에 사용되는 다양한 인식 장비를 건설 현장에 적합한 시스템을 선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의사결정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의 사용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인식장비 마다 특징들을 살펴보고, 기존 문헌 및 전문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테스트 결과, 가장 빠른 시간 내에 많은 인원의 출석을 확인하는 것에는 RFID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손혈관과 지문의 경우, 손가락 변형과 상관없이 페인트, 시멘트와 같은 오염물질이 많이 묻어있는 경우 인식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테스트 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는 출역관리시스템 선정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보다 효율적인 출역관리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900 MHz 대역의 RFID를 활용한 자동출결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Attendance Check System Using 900MHz RFID)

  • 이광수;최성운;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19-127
    • /
    • 2006
  • This paper deals with the middleware and S/W development of real time automatic attendance check management system using ubiquitous 900Mhz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his system supports the real time automatic attendance check and necessary data processing in class management. We expect to decrease the effort for class management and to upgrade the status of real time management of class.

전자출결 시스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사용자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Focused on User's Awareness-)

  • 이재학;이희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41-49
    • /
    • 2019
  • 본 연구는 IT를 활용한 학습관리시스템인 전자출결 시스템을 직접 사용하는 교수 및 대학생들의 전자출결 시스템의 인식과 현황을 조사하고, 전자출결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1차 5명의 교수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스마트출결 시스템의 인식과 요구사항을 조사하였으며, 2차는 S대학 264명의 대학생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스마트출결 시스템 이용현황 및 인식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수자는 전자출결 시스템에 대하여 대부분 만족하며, 학습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학습역량 및 자기관리 기능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대학생들은 전자출결 시스템의 유저인터페이스와 속도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지연시간, 로그인, 업데이트, 부정출석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문 및 안면인식을 활용한 로그인의 간편화, 블루투스의 세기와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부정출석 방지를 통한 전자출결 관리시스템 기능의 개선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NFC를 활용한 출결관리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NFC)

  • 조대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639-1644
    • /
    • 2013
  • 최근 근거리 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출결체크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NFC 기술을 활용한 출결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각 강의실에는 책상마다 NFC 태그를 부착하고, 학생들은 스마트 폰에 내장되어 있는 NFC 인식기능을 이용하여 출석을 확인한다. 출결관리 시스템은 교수용 PC 웹 프로그램, 학생용 안드로이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며, 학생들의 출결정보를 효율적으로 확인함으로서 교수에게 더 많은 강의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 논문은 NFC를 이용한 출결관리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하고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본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는데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