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ractylodes Rhizome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피복재료(被覆材料)가 백출(白朮)의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 김수용;권오흔;류태석;오세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16-224
    • /
    • 2000
  • 본 시험은 최근 중국에서 도입되어 경북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백출재배에서 토양 피복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 피복재료별 오전 10 시의 지온은 전 재배기간에 걸쳐 무피복에 비하여 흑색과 투명P.E피복구에서 각각 $1.0^{\circ}C,\;1.6^{\circ}C$ 정도 높았고, 오후 2시의 지온은 투명P.E피복구에서 $5.5^{\circ}C$ 정도 높았다. 2. 피복재료별 지상부의 생육은 무피복이나 볏짚피복구에 비하여 투명P.E와 흑색P.E피복구에서 경수와 경직경이 증가하였으며 중량도 컸다. 화수도 무피복과 볏짚피복구, 투명P.E피복구, 흑색P.E피복구순으로 많았다. 3. 지하부의 생육은 무피복에 비하여 피복 구가 높은 경향이고 건근경 수량은 흑색P.E 피복구가 다른 시험구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잡초발생은 투명P.E 피복구와 무피복구에서 많았고 볏짚피복구와 흑색P.E피복구에서 크게 억제 되었다. 4. 역병 발병율은 투명P.E과 흑색P.E피복구에서 감소하였으나 근경의 정유함량은 차이가없었다. 5. 지상부 및 지하부 형질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수량인 근경중은 지상부의 중량이 가장 크게 관여하고 지상부 형질 중에서는 경수와 경직경 등의 줄기 형질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화기제거가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의 생육 및 정유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lower removal on Growth and Content of essential oil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 김수용;권오흔;조지형;임재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2-156
    • /
    • 2001
  • 최근 중국에서 도입되어 경북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있는 백출의 재배기술확립 시험의 일환으로 화기제거가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 수행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백출의 화기제거에 따른 지상부 생육은 무제거에 비해 화기제거에서 초장은 1.7∼2.5cm정도 화기가 제거된 만큼 짧았으며 엽의 크기, 경수와 경직경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상부 생체중은 48∼60% 감소되었다. 2. 백출의 화기제거시기별 화기생체중은 화기제거시기가 늦어질수록 무거워져 개화직후에는 주당 39g으로 지상부 생 체 중의 60%를 차지 하였다. 3. 화기제거에 따른 지하부 생육은 무제거에 비해 화뢰출현기제거(7월 15일)와 개화전제거(8월 20일)에서 근경장, 근경직경 등이 컷으며 건근경수량도 유의하게 증수되었는데 화뢰출현기제거구는 290.5kg/10a으로 무제거구보다 40% 증수되어 가장 많았다. 4. 정유함량은 무제거구 0.71m1/50g에 비해 화뢰출현기제거는 12% 개화전 제거는 9%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화후 제거는 차이가 없었다.

  • PDF

백삼(白蔘)과 홍삼(紅蔘)이 포함된 이중탕(理中湯)의 마우스 대식세포 내 hydrogen peroxide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d Ginseng-Ejung-tang and White Ginseng-Ejung-tang Water Extract on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 박완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8-8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intracellular hydrogen peroxide productions of mouse macrophage RAW 264.7 are modulated by Red Ginseng-Ejung-tang water extract (ER) and White Ginseng-Ejung-tang water extract (EG). Red Ginseng-Ejung-tang were composed of Red Ginseng, Atractylodes rhizome white, Zingiberis Rhizoma Siccus, and Glycyrrhizae Radix. White Ginseng-Ejung-tang were composed of White Ginseng, Atractylodes rhizome white, Zingiberis Rhizoma Siccus, and Glycyrrhizae Radix. The intracellular hydrogen peroxide productions were measured by dihydrorhodamine 123 assay with spectrofluorometer (excitation 485 nm; emission 535 nm). For 4, 20, 24, 44, 48, 68, and 72 h incubation, ER significantly increased hydrogen peroxide productions of RAW 264.7 at the concentration of 25, 50, 100, and $200{\mu}g/mL$ (P <0.05). EG for 4, 20, 24, 44, and 48 h incub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hydrogen peroxide productions of RAW 264.7 at the concentration of 25, 50, 100, and $200{\mu}g/mL$ (P <0.05). For 68 and 72 h incubation, EG at the concentration of 50, 100, and $200{\mu}g/mL$ significantly increased hydrogen peroxide productions in RAW 264.7 (P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ER and EG have the immune-enhancing properties related with their increasing effects on the intracellular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of macrophage.

삽주의 정식전 $GA_3$ 처리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_3$ Before Planting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 박정민;강진호;이희경;김만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19-326
    • /
    • 2000
  • 삽주의 근경은 한방에서 중요한 생약재인 백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백출수급은 자연산 채취 또는 수입품에 주로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시급히 재배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본 시험은 삽주재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정식전 $GA_3$를 농도와 침지기간을 달리하여 처리한 후 삽주의 생장, 형태 및 수량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A_3$ 처리는 무처리에 비하여 줄기수, 잠아수, 생체중을 증가시켰다. 2. $GA_3$ 처리시 50 ppm에서는 줄기수, 100 ppm에서는 잠아수 및 근경생체중, 250 ppm에서는 지상부 생체중이 가장 많았다. 3. $GA_3$ 처리기간에 따라서는 1일 처리시에는 엽수, 뿌리수, 초장, 지상부와 뿌리의 생체중이, 2일 처리시에는 줄기수, 잠아수, 근경생체중이 가장 높았다. 4. $GA_3$ 처리에 따른 단위면적당 수량은 100 ppm으로 1일 처리할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의 품질평가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법 평가 (Development of HPLC Method for Quality Assessment of Marker Components in Atractylodis Rhizoma Alba)

  • 이재웅;김준희;강병만;안병관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2-58
    • /
    • 2021
  • 백출의 기원 감별 및 품질기준 설정을 위하여 atractylenolide III과 atracylodin을 지표성분으로 설정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선정된 지표물질인 atractylenolide III과 atracylodin의 특이성, 직선성, 범위,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성, 정밀성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결과 모두 양호한 결과가 나타나 분석법에 문제는 없었으며, 백출과 창출을 각각 분석한 결과 위품인 창출에서만 atracylodin이 검출이 되어 위품 구별이 가능한 지표물질로 손색이 없었다.

출류(朮類) 한약재의 외.내부형태와 이화학패턴 연구 (A Study on External.Internal Morphology and Pattern Analysis of Atractylodes Rhizomes)

  • 김정훈;이금산;최고야;황성연;김홍준;정승일;주영승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7-85
    • /
    • 2009
  • Objectives : To determine the discriminative criteria for Atractylodes rhizomes, the experiment of externalinternal characteristics and physicochemical pattern analysis were performed. Methods : External characteristics was observed using stereoscope. The sectioned materials which were covered with parffin were stained by Ju's method. Physicochemical patterns were analyzed using HPLC/DAD. Results : 1. External shape of original plant : Atractylodes maaocephala and A. japonica had relatively long petioles and 3-5 parted leaves. A. macrocephala had big purple flowers whereas A. japonica had relatively small white flowers and pinnate bracts. A. lancea had sessile leaves and white flowers, and the end parts of degenerated stamens were bent. 2. External shape of herbal medicine: A. macrocephala which was fist-shaped rhizome had pa-pillate processes and the cross section was light gray and sulcate. A. japonica and A. lancea were connected-beady or tubercular rhizomes, and the cross sections were both yellow-colored white. However, the cross section of A. japonica was fibrous, the width of cortex was narro-wer than that of stele, and radial shape in cortex was rare, whereas the width of cortex in A. lancea was similar to that of stele in size, and radial shape in cortex was obvious. 3. Internal shape of herbal medicine: A. macrocephala and A. lancea did not have lignified fascicles in cortex. However, the vascular bundles and vessels of A. macrocephala were wedge shaped and radial arrangement, and vascular bundles were densely populated in stele whereas those of A. lancea were repeatedly arranged and thinly extended to cortex. A. japonica had lignified fascicles in cortex and the width of vascular bundles was conspicuously thick with narrow intervals. 4. Physicochemical pattern analysis : A. macrocephala and A. lancea contained atractylenolide I and atractylenolide Ill whereas A. japonica contained atractylenolide I, atractylenolide Ill. diacetyl-atractylodiol, compound-4, compound-5. The three species of Atractylodes rhizomes showed different chromatogram patterns. Conclusions : The results could be used as discriminative criteria for Atractylodes rhizomes and as fundamental materials to researches of further pattern analysis and biological reaction.

Anticancer Activity of Atractylodes lancea (Thunb.) DC in a Hamster Model and Application of PET-CT for Early Detection and Monitoring Progression of Cholangiocarcinoma

  • Plengsuriyakarn, Tullayakorn;Matsuda, Naoki;Karbwang, Juntra;Viyanant, Vithoon;Hirayama, Kenji;Na-Bangchang, Kesar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279-6284
    • /
    • 2015
  • Opisthorchis viverrini (OV)-induced cholangiocarcinoma (CCA) is an important cancer in the Great Mekong region, particularly in Thailand. Limitations of treatment options and the lack of an effective diagnostic tool for early detection of CCA are major concerns for the control of this type of cancer.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CCA activity of the ethanolic extract of Atractylodes lancea (Thunb.) DC., and the applicability of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as a tool for detection and monitoring the progression of CCA in Opisthorchis viverrini (OV)/dimethylnitrosamine (DMN)-induced CCA hamsters. Male Syrian hamsters were used for toxicity tests and anti-CCA activity evaluation. Development of CCA was induced by initial feeding of 50 metacercariae of OV, followed by drinking water containing 12.5 ppm of DMN in hamsters. The ethanolic extract of A. lancea (Thunb.) DC. was administered orally for 30 days. PET-CT was performed every 4 weeks after initiation of CCA using 18F-fluorodeoxyglucose ($^{18}F-FDG$).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ethanolic extract of A. lancea (Thunb.) DC. rhizome exhibited promising anti-CCA activity and safety profile in the OV/DMN-induced hamster model. To successfully apply PET-CT as a tool for early detection of tumor development and progression, modification of radiolabeling approach is required to improve its specificity for CCA cells.

창출(蒼朮) 에탄올 추출물이 비만세포 매개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Atractylodes Chinensis Rhizome on the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 김선민;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5-63
    • /
    • 2011
  • Objective : Atractyloides Chinensis Rhizome (ACR) is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as a remedy for an inflammation and an allergic disease. However, as yet there is no clear explanation of how ACR affects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CR on the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Method : The amount of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duced by the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plus calcium ionophore(A23187) in the human mast cell line (HMC-1)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CR was measured. The TNF-${\alpha}$ protein levels were analysised by Western blots. The TNF-${\alpha}$, IL-6 and IL-8 secreted protein levels were measured by the ELISA assay. The TNF-${\alpha}$, IL-6 and IL-8 mRNA levels were measured by the RT-PCR analysis. NF-${\kappa}$B, phospho-I${\kappa}$B and MAPKs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NF-${\kappa}$B promoter activity was examined by a luciferase assay. Results : 1. The expressions of TNF-${\alpha}$ and TNF-${\alpha}$ mRNA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 at 0.05-0.2mg/$m\ell$ of ACR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t 0.2mg/$m\ell$. 2. The expressions of IL-6 and IL-6 mRNA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 at 0.05-0.2mg/$m\ell$ of ACR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t 0.2mg/$m\ell$. 3. The expressions of IL-8 and IL-8 mRNA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 at 0.05-0.2mg/$m\ell$ of ACR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t 0.2mg/$m\ell$ specially. 4. The expressions of Phosphorylated-JNK were decreased, not p38, ERK 5. The expressions of NF-${\kappa}$B were decreased dose-dependently at 0.1-0.2mg/$m\ell$ of ACR. The expressions of Phosphorylated I${\kappa}$B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0.2mg/$m\ell$. In addition, ACR suppressed PMA plus A23187-induced NF-${\kappa}$B promoting activity.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ACR should suppress through inhibition of NF-${\kappa}$B activity and cytokine production.

포장조건에 따른 백출의 역병 발생 (Occurrence of Phytophthora Root Rot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in field contitions)

  • 조준형;김용욱;박춘근;방경환;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1-219
    • /
    • 2001
  • 1999년과 2000년 수원 작물시험장 백출 시험재배포장에서 시기별 P. drechsleri에 의한 역병 이병주율을 조사한 결과 파종 후 약 30-45일의 유묘기와 하절기 장마 이후 두 시기에 크게 증가하였다. 유묘기의 역병 발생은 20일간 $15^{\circ}C$ 이상의 평균 기온과 100mm이상의 강우 조건하에서 발생하며, 하절기 장마로 인한 토양 과습 조건에서 다시 증가하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역병 이병주율은 종근 이식재배가 56.0%로 종자파종재배 18.6%보다 역병발생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조건 및 포장조건이 다른 5개 포장의 역병 이병주율과 토양내 역병 균밀도를 조사한 결과 객토포장이 연작포장에 비해, 무피복포장이 피복포장에 비해 역병 발생에 의한 피해가 적었으며, 역병 이병주의 확산은 재배방법 및 포장조건에 따라 다르나 토양 내 역병 원인균인 P. drechsleri의 균밀도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종근 파종 후 각각 재배 2년 차와 재배 3년 차인 안동 북부 시험장과 영주 개인농가의 백출 포장의 토양내 역병 균밀도는 수원 작물시험장 백출 재배포장에 비해 비교적 낮았으나, 역병 발생에 의한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나 백출 재배 시 2년 이상의 연작은 적합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삽주의 어린순 채취(採取)회수 및 질소분시(窒素分施)가 생육(生育)과 수양(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Sprouts Cutting Times and Nitrogen Split Application on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 장계현;안동춘;김동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41-246
    • /
    • 1996
  • 자생(自生) 상태(狀態)로 채취(採取) 이용되거나 수입(輸入)되어 사용되는 창출(蒼朮), 백출(白朮)의 기원식물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의 효과적인 재배기술을 확립하여 생약(生藥)의 수입(輸入)대체 기술(技術)을 개발하고자 산채용 삽주싹을 무채취(無採取), 1회(回) 채취(採取), 2회(回) 채취(採取)후 질소질 비료를 전양기복(全量基服), 50-30-20%, 40-30-30% 분시(分施) 처리(處理)하여 채험(採驗)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생육(草長生育)은 어린싹을 채취(採取)함에 따라 철저히 억제되었으나 삽주 생육(生育)에는 1회 채취시(採取時)가 적절할 것으로 보였다. 2.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은 생육후기 질소 분시율이 많을수록 무채취 및 1회 채취에서는 증가하였으나 2회 채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3. 어린싹 수양(收量)은 1회(回) 채취시(採取時) 평균(平均) $269{\sim}288kg/10a$ 수준이었으며, 2회(回) 채취시(採取時)는 싹의 수양(收量)이 적고 거칠어 이용성이 떨어졌다. 4. 근경(根莖) 수양(收量)은 무채취(無埰取)(전양기비(全量基肥)) 대비 어린싹 2회(回) 채취시(採取時)는 7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1회(回) 채취(採取) 및 질소(窒素), 50-30-20%로 분시(分施)한 처리(處理) 수양(收量)은 100% (471kg/10a) 증수되었다. 5. 삽주는 5월말${\sim}$6월초 지상부(地上部) 생육(生育)이 완료되고 $6{\sim}7$월경 잠아로부터 신초가 재형성되어지므로 5월상 - 하순경에 절단자극에 의해 일찍 신초를 형성시키는 것이 근경수량(根莖收量)의 증대에 효과적인 기술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