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ragalus specie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초

목초자원(牧草資源)의 수집(蒐集) 보존(保存) 및 특성조사(特性調査) (Collection, Conservation and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of Pasture Plant Genetic Resources)

  • 이병현;조진기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8권
    • /
    • pp.59-64
    • /
    • 1990
  • 경북지방일대(慶北地方一帶)에 자생(自生)하는 산야초(山野草) 중(中) 목초자원(牧草資源)으로서의 활용가치(活用價値)가 높은 자원(資源)을 수집(蒐集)하였다. 수집(蒐集)된 목초자원(牧草資源)은 본(本) 대학(大學) 포장(圃場)에 재배(栽培)하여 각각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 기록(記錄)하였다. 수집자원(蒐集資源)의 종자(種子)는 정선(精選), 선별(選別) 한 후(後), 천립중(千粒重)을 측정(測定)하고 포장(包裝)하여 $4^{\circ}C$ 냉장고(冷藏庫)에 보관(保管)하였다. 수집(蒐集) 및 특성조사(特性調査)된 수집자원(蒐集資源)은 다음과 같다.

  • PDF

천정기보단(天精氣保丹)의 자외선에 의한 세포 손상 억제 효과 (Protective Effect of Cheonjeongkibo-Dan UV-Induced Cellular Damage in Human Dermal Fibroblast)

  • 이강태;박시준;이정로;이광식;김대성;문연자;이건국;우원홍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50-955
    • /
    • 2010
  • In this study, we prepared CheonJeongKiBo-Dan(7 oriental medicinal plants, 7OMP: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Panax Ginseng root, Glycyrrhiza Glabra (licorice) root, Schizandra Chinensis fruit, Polygonatum Odoratum, Rehmannia Glutinosa root, Paeonia Albiflora root) by extracting them in one reactor and studied its efficacies on skin. UV irradiation has been suggested as a major cause of photoaging in skin. In order to investigate protective effects against UV-B induced cellular damage, 7OMP was extracted with 70% ethanol and dissolved in DMSO. The protective effect was detected by MTT assay,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phosphorylation of ATR and p53 in human dermal fibroblast cell system after UV-B irradiation. 7OMP reduced UV-B-induced cellular damage in HDFs cells, and inhibited ROS generation. UV-B-induced toxicity accompanying ROS production and the resultant DNA damage are responsible for activation of ATR, p53 and Bad. In this study, 7OMP hampered phosphorylations of ATR and p53 in human dermal fibroblasts. Therefore, 7OMP may be protective against UV-induced skin photoaging.

Differences of Soil Enzyme Activity after Incorporation with Chinese Milk Vetch Litter Cut at Different Growth Stages

  • Lee, Ji-Hyun;Shim, Sang-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41-347
    • /
    • 2007
  • Chinese milk vetch (CMV) is a winter legume that is commonly used as cover crop in Korea. Kill date of cover crop for addition into soil affects N content in cover crop and N availability in so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MV as green manure cover crop according to kill dates before growing corn without artificial fertilizer. Top of CMV cut three times on 13 April, 27 April, and 11 May were added into soil at a rate of 600 kg per 10a. Sugar content in CMV litter was persistently decreased from mid-April to late-May. The decrease of sugar content might be due to the transformation into starch and/or other storage or structural constituents. The decreased amount of sugars was greater than 12% and the increased amount of starch was less than 0.2%. Concentration of $NH_4^+$ in soil treated by CMV litter cut on May 11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the treatment with early-cut (April 13) CMV, the concentration at 28 and 49 DAT (days after treatment) was higher in the treatment with late-cut CMV litter. Regardless of cut (kill) date of CMV, the phosphatase activity in the treatment of CMV litter was higher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Soil dehydrogenase activity was increased steadily by addition of CMV litter implying total microbial activities in the soil were increased.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tatus of cover crop species at kill dat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soil enzyme activitie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Therefore, the optimal kill date of cover crop should be examin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ver crop as green manure crop regarding the practical sequence in cropping system.

두만강 접경지역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around Tuman River in China)

  • 안영희;김봉찬;강기호;조동광;이철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7-200
    • /
    • 2003
  • 중국과 북한의 국경을 이루는 두만강 접경지역을 따라 중국 측에서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92과 287속 470종 57변종 4품종, 총 531 분류군의 관속식물이 나타났다. 식물상 조사는 고층습지, 해안사구, 하천, 고산초원, 낙엽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혼효림, 노방식물군 등 다양한 생태환경의 대상지에서 수행되었다. 본 조사지역에서 환경부가 지정한 보호식물로 솔나리, 산작약. 깽깽이풀, 가시오갈피, 대청부채, 큰연령초 등 6종이 조사되었으며 산림청 지정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돌쩌귀, 창포, 끈끈이주걱, 부채붓꽃. 깽깽이풀, 날개하늘나리. 솔나리. 말나리, 산작약, 낙지다리, 모새달, 층층둥굴레, 붉은인가목, 흑삼릉, 백리향, 큰연령초, 통발, 덩굴용담, 들쭉나무, 월귤, 가시오갈피 등 21종이 나타났다. 조사된 관속식물 가운데 종비나무, 잎갈나무, 만주자작나무, 비술나무, 물황철나무, 백산차, 황산차, 닥장버들, 부전자작나무, 회령사초, 양뿔사초, 산부채, 하늘매발톱, 황기, 달구지풀, 방풍, 꽃고비, 황금, 린네풀, 왕과, 목향. 금혼초, 누른진범, 키다리바꽃. 끈끈이딱지꽃 등은 남한에 자생하지 않는 중국의 동북지역 특산식물로 조사되었다.

배수불량 농경지에서 토양수분별 연차간 잡초발생 군락 특성 (Yearly Variation of Ecological Traits of Weed Flora on Soils Having Different Drainage Property)

  • 황재복;윤을수;정기열;박창영;최영대;이용환;남민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1-48
    • /
    • 2011
  • 배수방법별 연차간 잡초발생 군락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분함량은 배수불량지는 10.2~18.2%, 약간불량지는 11.8~14.3%이었고, 표토에서 10cm깊이까지 토양 3상 중에 기상은 배수불량지가 15.3%인데 비해 약간불량지는 19.8%로 높았다. 2009년도에 약간불량지에서는 16초종이 발생하였으며, 적산우점도는 뽀리뱅이(97.0%) > 망초(92.1%) > 갈퀴덩굴(35.3%) > 지칭개(28.4%) > 쑥(23.3%) 순이었다. 배수불량지에서는 12초종이 발생하였으며, 적산우점도가 뚝새풀(100%) > 벼룩나물(55.2%) > 뽀리뱅이(38.3%) > 물냉이(28.5%) > 망초(20.9%)이었다. 또 2010년도에 약간불량지에서는 14초종이 발생하였으며, 적산우점도는 벼룩나물(86.8%) > 뚝새풀(77.7%) > 자운영(68.7%) > 뽀리뱅이(46.3%) > 망초와 지칭개(35.6%) 순이었다. 배수불량지에서는 12초종이 발생하였으며, 적산우점도가 벼룩나물(93.7%) > 뚝새풀(78.6%) > 물냉이(31.3%) > 뽀리뱅이(30.4%) > 쑥(25.7%)이었다. 배수방법별 연차간 발생초종의 다양화 정도를 나타내는 Simpson 지수는 배수불량지가 0.18~0.23으로 약간불량지에서는 0.12~0.18에 비해 높아서 토양수분 함량이 높은 곳에서 특정 초종이 우점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잡초의 다양성 지수는 2009년에는 43.0% 이었으나 2010년에는 74.2%로 연차간 차이가 많았다.

우포늪의 교란된 제방에서 식생 구조의 계절적 변화와 1차생산 (Seasonal Change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Primary Production in the Disturbed Banks of the Upo Wetland)

  • 강은영;김태근;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1-70
    • /
    • 2009
  • 우포늪의 제방 보강공사로 식생이 교란된 대대제에서 2005년 10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구조물을 설치한 지역과 설치하지 않은 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구조의 계절적 변화 및 1차생산량을 조사, 비교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8 종류로 구조물 지역과 비구조물 지역에서 각각 72 종류 및 75 종류가 각각 확인되었다. 관속식물을 생활형별로 구분하면 수생식물 3 종류, 습생식물 33 종류, 중생식물 42 종류 등이었으며, 귀화식물은 20종으로 전체의 25.6%로서 구조물 지역 17 종류(23.6%) 및 비구조물 지역 18 종류(24.0%)로 두 지역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구조물 지역은 쇠뜨기가, 비구조물 지역은 토끼풀이 각각 우점하는데, 두 지역 모두 개망초, 환삼덩굴, 자운영, 돼지풀 등 귀화식물의 중요치가 비교적 높았다. 종다양성지수는 1.010~1.450으로 구조물 지역 및 비구조물 지역 모두 10월에 높고 3월에 가장 낮았으며, 조사기간 중 비구조물 지역이 구조물 지역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두 지역간의 군집유사도는 0.359~0.456으로서 3월에 가장 낮고 식물의 최대 번성기인 8월에 가장 높았다. 구조물 지역에서 관속식물의 단위면적당 순1차생산량은 $417.1\;g/m^2$로서 갈대 179.5, 달맞이꽃 84.0, 물억새 $66.1\;g/m^2$ 등의 순이었으며, 비구조물 지역의 순1차생산량은 $392.7\;g/m^2$로서 망초 102.5, 물억새 87.4, 갈대 $81.6\;g/m^2$ 등의 순이었다.

  • PDF

생약재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물질 탐색 (${\alpha}$-Glucosidase Inhibitory Substances Exploration Isolated from the Herb Extract)

  • 최길용;한갑조;하상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20-625
    • /
    • 2011
  • 당뇨병에 효과가 있는 식품소재의 탐색과 그 소재를 이용한 기능성 빵제품 개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소장흡수 저해효소인 ${\alpha}$-glucosidase를 target로 시중에 유통되는 다양한 생약재를 대상으로 탐색을 하였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을 조사하고자 생약재 200여종을 대상으로 물층과 메탄올 층으로 구분하여 탐색한 결과 물층에서는 황기(70.9%)가, MeOH층에서는 구인(72.9%)이 70%이상의 강력한 저해효과를 나타났으며 60%이상으로는 물층에서는 육두구(69%), 상백피(66.9%), 오미자(65%), 삼칠(63.9%), 전호(62.9%), 천문동(62.1%), 정공등(60.9%), 호장근(60.7%), 창출(60.2%), 소자(60.2%)등 이었으며, MeOH층으로는 만삼(67.8%), 도인(67.6%), 방기(63.5%), 동규자(61.6%) 순으로 활성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0%이상의 저해효과를 보인 것으로는 물층에서는 황정(59.8%), 신곡(59.7%), 택사(59.5%), 의인(59.2%), 세신(59.0%), 시호(53.0%)를 포함한 31여종, MeOH층에서는 사군자(58.8%), 구기자(58.3%), 과루인(58.0%), 백자인(55.9%), 백강잠(55.6%), 계내금(55.4%), 독활(55.3%), 구척(52.7%), 대극(52.7%), 백편두(52.5%) 10종이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기능성 소재로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작물 재배에 의한 인삼 뿌리썩음병 발생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n Root Rot Disease of Panax ginseng by Crop Cultivation in Soil Occurring Replant Failure)

  • 이성우;이승호;박경훈;;장인복;김기홍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3-230
    • /
    • 2015
  • To study the effect of crop rotation on the control of ginseng root rot, growth characteristics and root rot ratio of 2-year-old ginseng was investigated after the crops of 18 species were cultured for one year in soil contaminated by the pathogen of root rot. Fusarium solani and Cylindrocarpon destructans were detected by 53.2% and 37.7%, respectively, from infected root of 4-year-old ginseng cultivated in soil occurring the 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Content of $NO_3$, Na, and $P_2O_5$ were distinctly changed, while content of pH, Ca, and Mg were slightly changed when whole plant of crops cultured for one year were buried in the ground. All of EC, $NO_3$, $P_2O_5$, and K were distinctly increased in soil cultured sudangrass, peanut, soybean, sunnhemp, and pepper. All of EC, $NO_3$, $P_2O_5$, and K among inorganic component showed negative effect on the growth of ginseng when they were excessively applied on soil. The growth of ginseng was promoted in soil cultivated perilla, sweet potato, sudangrass, and welsh onion, while suppressed in Hwanggi (Astragalus mongholicus),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Gamcho (Glycyrrhiza uralensis), Soybean. All of chicory, lettuce, radish, sunnhemp, and welsh onion had effective on the inhibition of ginseng root rot, while legume such as soybean, Hwanggi, Gamcho, peanut promoted the incidence of root rot.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NO_3$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N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cidence of root rot.

대추나무 빗자루병(病)의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한 매개전염(媒介伝染) (Transmission of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 by the Leafhopper Hishimonus sellatus Uhler)

  • 라용준;우건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9-39
    • /
    • 1980
  • 대추나무빗자루병(病)의 전염경로(傳染經路)를 구명(究明)할 목적(目的)으로 실험(実驗)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추나무에서 38종(種)의 가해충(加害虫)이 채집동정(採集同定)되었으며 이 중(中)에서 Mycoplasma의 매개가능성(媒介可能性)이 있는 흡수성(吸收性) 매비충류(類)는 8종(種)이었다. 이들 매미충류중(類中)에서 6~10월(月)까지 어느 지역(地域)에서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가장 높았던 종류(種類)는 마름무늬매미충이었고, 마름무늬매미충은 건전(健全)한 대추나무에서 보다 빗자루병(病)에 이병(罹病)된 대추나무에서 그 발생밀도(發生密度)가 훨씬 높았다. 2. 빗자루병(病)에 이병(罹病)된 대추나무분근묘(分根苗)에 14~21일간(日間) 흡즙(吸汁)시킨 마름무늬매미충을 대추나무실생유묘(實生幼苗)에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접종(接種)을 개시(開始)한지 40~60일후(日后)에 상엽(上葉)이 소형화(小形化)하고, 황화(黃化)하는 이상증상(異常症狀)이 나타났다. 이들 상이증상(異常症狀)이 나타난 잎의 주맥(主脈)과 엽병조직(葉炳組織)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사관(篩管)에서 Mycoplasma가 다수(多数) 검출(検出)되었다. 그러나 건전엽(健全葉)의 조직(組織)에서는 Mycoplasma 가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추나무빗자루병(病)은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해 매개(媒介)된다는 사실(事実)이 구명(究明)되었다. 3. 대추나무빗자루병(病)의 검정식물(檢定植物)을 찾을 목적(目的)으로 마름무늬매미충의 식이식물(食餌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대추나무, 일일초(日日草), 당근, 셀러리, 가지, 메꽃, 호프, 자운영, 한삼넝쿨 등에서 30일이상(日以上)의 장기간(長期間) 생존(生存)을 보였고, 또 이들 식물체(植物体) 상(上)에서 산란부화(産卵孵化)를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4. 일일초(日日草)에 대추나무빗자루병(病) 보독(保毒) 마름무늬매미충을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접종개시후(接種開始后) 25~28일(日)에 엽맥(葉脈)이 투화(透化)되고 잎이 황화(黃化)하는 이상증상(異常症狀) 나타났다. 이들 이상증상(異常症狀)이 나타난 잎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사관(篩管)에서 Mycoplasma가 검출(検出)되었으나 건전엽(健全葉)에서는 Mycoplasma가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따라서 일일초(日日草)에 나타난 증상(症狀)은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해 매개(媒介)된 대추나무빗자루병(病) Mycoplasma의 감염(感染)에 의(依)한 것임이 확인(確認)되었다. 5. 대추나무빗자루병(病)에 걸린 나무에서 종자(種子)를 채취(採取)하여 본병(本病)의 종자전염여부(種子傳染与否)를 조사(調査)하였으나 종자전염(種子傳染)은 확인(確認)할 수 없었다.

  • PDF

충북지역의 천연 자원을 활용한 화장품 산업의 발전 전망 (Prospects for development of cosmetic industry using natural products in Chungbuk)

  • 황형서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6-27
    • /
    • 2018
  • 유전 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용에 따른 이익의 공정한 공유를 표방하는 나고야 의정서가 발효되면서, 최근 국내 천연자원을 이용한 바이오 소재 및 제품 개발 연구에 많은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국내 화장품 연구 및 개발 동향은 기존의 합성 화합물 중심에서 벗어나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 바이오 소재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기능성화장품의 범위가 기존에 크게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3가지에서 염모, 탈모 완화, 여드름 완화, 아토피성 피부의 보습 등으로 세분화 및 추가됨으로써 화장품 연구 개발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기능성 화장품 범위 확대, 화장품 소재에 대한 안전성 규제 강화, 동물실험 금지 등 화장품 연구 환경 변화로 인해 다양한 천연물 기반의 생물학적 활성을 갖는 유효 성분들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연구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충북은 바이오산업을 지역 특화산업으로 선정하여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한 중부권의 오송생명과학단지/오창과학산업단지와 북부권 제천 바이오벨리 조성, 충주기업도시 등을 통해 바이오 제약 및 화장품 기업 유치 와 바이오 산업클러스터를 완성해 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오송생명과학단지 내에 위치한 오송화장품임상연구지원센터는 충북 지역 중소 화장품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 및 동남아 수출 지원을 위해 임상시험, 효능평가, 해외 인증, 해외시장 박람회 등의 지원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인프라 조성과 함께 충북의 천연 소재를 이용한 다양한 국책 연구 개발 사업을 추진하여 충북 특화자원인 황기, 오미자 뿐 아니라 두충, 익지인, 소목 등을 이용한 화장품 소재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충북지역 기업체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천연물의 지표 및 유효 물질 원료 확보와 이를 활용한 기능성 화장품 제품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향후 충북 천연물 산업은 화장품 산업을 중심으로 더욱 성장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