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ragali radix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33초

십전대보탕에서 황기.육계의 함량 변화에 따른 약리활성 비교 연구 (Study on Pharmacological Activity of Sipjeondaebotang by Difference in Component Ratio between Astragali Radix and Cinnamomi Cortex)

  • 이호영;하혜경;정다영;최지윤;이남헌;마진열;유영법;신현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6-166
    • /
    • 2008
  • Objective : Pamooltang (PM) and Sipjeondaebotang (SC) are used in Korea to treat many diseases such as sterility, menstrual disorder, and general prostration. We made a comparative study of PM and SC which are different in component ratio between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AC) and Cinnamomum cassia PRESL. (CC). Methods : Anti-oxidation was studi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ssay and anti-inflammation was investigated by prostaglandin $E_2\;(PGE_2)$ and nitric oxide (NO) inhibition assay. For immune response activities, this study used NO synthesis on RAW 264.7 cells and splenocyte proliferation.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PM and SC components had no significant effect of anti-oxidation or anti-inflammation. However, we observed their effects upon inducible NO synthesis in Raw 264.7 cells. The SC2 stimulated NO synthesis $11.42\pm1.36{\mu}M$ (control; $0.89\pm0.00{\mu}M$). PM and SC components had the effect of immune response which in a dose-dependent manner significantly induced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The splenocyte proliferation induced by SC2 was higher than others at the concentration of 1, 10, 100, 1000 and 2000 ${\mu}g/ml$. The SC8 was shown to up-regulate IgG, 100 ${\mu}g/ml$ 3.3 times, 1000 ${\mu}g/ml$ 2.6 times as a control. Conclusions : These results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ratios of AC and CC in SC.

  • PDF

랫드를 이용한 황기의 지상부 추출물에 대한 90일 반복경구투여 독성시험 (A 90 Day Repeated Dose-Oral Toxicity Study of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in Rats)

  • 박영철;이지선;김동윤;손혜영;이정우;최유순;김광기;유창연;정일민;임무혁;이경재;최리나;심훈섭;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74-485
    • /
    • 2013
  • Pharmacological studies and clinical practices have indicated that Radix Astragali, a dried roo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ssesses a lot of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hepatoprotective, anti-diabetic, tonic, diuretic, antimicrobial, antiviral,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These biological activities approved by the modern pharmacological studies are mainly due to the constituen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including polysaccharides, saponins, flavonoids, amino acids, and trace elements. In resent, the main constituents in the root part showing a lot of biological activities has been isolated also from the aboveground parts such as leaves and sprouts in our laboratory. However, the safety evaluation for the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should be checked before expanding their application as one of food. In the study, a 90-day rat oral gavage study has been conducted with the 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at doses of 1000, 3000, and 5000mg/kg/day. The following endpoints were evaluated: clinical observations, body weight, gross and microscopic pathology, clinical chemistry, and hematolog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endpoints, it was estimated that NOEL (no observed effect level) for male rats and NOAEL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for female rats are 5000mg/kg/day of the water-extracts from Astragalus membranaceus-aboveground parts.

황저(黃茋)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뿌리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대한 N, P, K 의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s of N, P2O5, and K2O Application on the Yield and Qual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Root)

  • 박노권;최대웅;장상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50-454
    • /
    • 1988
  • 황저(黃茋)의 품질(品質) 및 수량(收量)을 향상(向上)시키기 위한 합리적(合理的)인 3요소(要素) 시용량(施用量)을 결정(決定)하기 위하여, 질소(窒素), 인산(燐酸) 및 가리(加里)의 시용량(施用量)이 건조근(乾燥根)의 수량(收量) 및 회분(灰分), 엑기스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을 5kg/10a 이상 증가(增加)할 경우 산불용성(酸不溶性) 회분함량(灰分含量)은 증가(增加)하였지만 엑기스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인산시용량(燐酸施用量)은 회분(灰分) 및 엑기스함량(含量)과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가리(加里)는 7kg/10a 이상 시용(施用)할 경우 산불용성(酸不溶性) 회분함량(灰分含量)이 증가(增加)하였으며, Diethyl ether 엑기스의 함량(含量)은 14kg/10a 이상 시용(施用)할 경우 감소(減少)하였다. 건조근(乾燥根)의 수량(收量)은 질소(窒素) 5kg/10a 시용량(施用量)에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다. 회분(灰分) 및 산불용성(酸不溶性) 회분함량(灰分含量)은 가리시용량(加里施用量)과 정(正)의 상관(相關)($r=0.746^*$, $r=0.858^{**}$)이 각각(各各) 인정(認定)되었으며, 엑기스함량(含量)은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과 부(負)의 상관(相關)($C_2H_5OH:r=-0.778^*$, $(C_2H_5O)_2O:r=-0.848^{**}$)이, 가리시용량(加里施用量)과도 부(負)의 상관(相關)($(C_2H_5O)_2O:r=-0.722^*$)이 각각(各各) 인정(認定)되었다. 그러므로 본작물(本作物)의 재배(栽培) 1년차(年次)에서 질소(窒素), 인산(燐酸) 및 가리(加里)의 시용량(施用量)은 5kg, 7~14kg, 7kg/10a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수집 두과식물의 부위별 pinitol 함량 변이 (Variation of Pinitol Content for Domestic Legume Species in Korea)

  • 서승민;정연신;;신동현;이인중;박은숙;이정동;황영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0-5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일원에서 수집한 자귀나부(Albizia julibrissin)를 포함한 두과식물 17종에서 인체의 혈당저하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pinitol 함량을 식물체 부위별로 조사하였는 바,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집한 17개 두과식물 종간에는 pinitol 함량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종별 총 pinitol 함량에서는 비수리(Lespedeza cuneata)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식물체 부위별로 pinitol 함량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잎, 줄기, 꼬투리, 종자, 뿌리의 순으로 많았다. 2. 잎에서 비교적 많은 pinitol 함량을 보인 식물은 골담초, 족제비싸리, 돌동부 및 비수리로 각각 59.9 mg/g, 62.2 mg/g, 69.6 mg/g, 65.4 mg/g으로 약 60 mg/g이상을 나타내었고, 줄기의 경우는 황기가 34.0 mg/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뿌리에서는 칡이 24.6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감초와 골담초가 16.9 mg/g, 16.5 mg/g으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그러나 꼬투리나 종자에서는 제비콩(52.5 mg/g)과 비수리(24.9 mg/g)를 제외하고 pinitol 함량은 잎이나 줄기에 비해 모든 조사식물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3. 조사대상 식물체의 pinitol 함량과 수확 가능한 식물체량을 고려할 때, 실제 약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비수리이었다. 비수리의 경우 전국적인 수집을 통해 pinitol 함량이 높은 계통을 선발한다면 이용가능성 이 높은 pinitol 추출용 계통의 선발이나 보다 이용가치가 높은 새로운 품종의 육성도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