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terias amurensi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4초

불가사리 구제기구의 개발과 그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xtermination gear for Starfish, Asterias amurensis and its Efficiency)

  • 박성욱;김태호;오희국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3호
    • /
    • pp.166-172
    • /
    • 1997
  • 우리나라 연안 해역의 패류 양식장과 마을어장에 서식하는 불가사리를 효율적으로 구제하기위하여 자루걸레형과 썰매형 구제 기구를 설계, 제작하여 1995년 4월부터 5월까지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로리 연안에서 민간 형망어선 (복성호, 4.95톤)을 사용하여 구제 기구별 포획 성능과 예인 거리에 따른 포획 효율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루걸레형과 썰매형 구제 기구는 해저의 암초에 걸리지 않고 계속 예인하면서 불가사리를 구제할 수 있었고, 적정 예인 거리는 300~500m였다. 썰매형에 의한 불가사리류의 포획비율은 57%로 자루걸레형의 43%보다 다소 우수 하였으나 어패류의 흔획 포획비율은 자루걸레형보다 21배 정도 높았다. 썰매형은 자갈인 암초가 산재된 마을어장에 적합한 밤년, 자루걸레형은 어패류의 흔획과 유용 패류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면적이 작아 패류 양삭장에 효과적이었다.

  • PDF

통영 인근 가두리 양식장 지역의 저서동물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Fauna under Marine Fish Culture Cages near Tong-yong, Southern Coast of Korea)

  • 박흥식;최진우;이형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
    • /
    • 2000
  • 본 조사는 1995년 8월부터 1996년 2월까지 계절별로 3차례에 걸쳐 통영주변 가두리 밑의 환경 및 저서동물 군집조사를 통해 가두리 운영에 따른 저서생물 군집구조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지역의 가두리 밑은 주변 해역과 유사한 퇴적상과 용존산소량을 나타낸 반면 높은 유기물 함량을 나타냈다. 종 수의 경우 가두리 밑이 대조구에 비해 적었지만 서식밀도에서는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가두리 밑의 경우 Capitella capitata 와 Nebalia bipes등이, 대조구의 경우 Lumbrineris longifolia와 Amphioplus sp.가 우점 종을 나타냈다. 특히 가두리 밑에서는 Asterina pectinifera와 Asterias amurensis 등 표서성 초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양도에서 가두리 밑은 계절적인 차이를 보인 반면, 대조구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군집구조에서 가두리 밑과 대조구는 상이한 구조를 나타냈다. 본 조사결과 가두리 양식은 유기물 증가와 시설물에 의한 유해 패각 가입 등 생물학적 영향에 의해 가두리 밑 저서환경과 저서동물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불가사리를 이용하여 제조한 칼슘보충제의 이화학적 특성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lcium Supplement Manufactured using Starfish)

  • 박희연;이정임;남기호;장미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27-734
    • /
    • 2012
  • 수산업의 해적생물인 불가사리를 이용하여 칼슘보충제를 개발하기위해 불가사리 소화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조건과 불가사리 골판 분말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불가사리 소화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조건은 온도 $55^{\circ}C$에서 12시간동안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불가사리 골판 분말의 겉보기밀도는 아무르불가사리 $1.1{\pm}0.0g/cm^3$, 별 불가사리 $1.2{\pm}0.0g/cm^3$이었으며 median size는 아무르불가사리 $10.738{\mu}m$, 별불가사리 $11.799{\mu}m$이었다.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의 첨가농도에 따른 불가사리 골판 분말의 분산성은 0.0%에서 6시간, 0.1%에서 3일, 0.2%에서 20일, 0.4%에서 30일까지 양호하였으며 염산에 대한 화학반응속도는 별불가사리 0.053 mL/sec, 아무르불가사리 0.057 mL/sec, 탄산칼슘 0.063 mL/sec이었다. 불가사리 골판 분말의 원소 조성은 칼슘이 아무르불가사리 98.95%, 별불가사리 98.52%이었으며 XRD상 분석결과, 탄산칼슘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불가사리 골판은 칼슘보충제의 소재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도 주변 해역에서 새우조망으로 조사한 수산자원의 분포 및 계절 변화 (Distribu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ies resources captured by the beam trawl in Namhae island, Korea)

  • 서영일;이종희;오택윤;이재봉;최영민;이동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4호
    • /
    • pp.419-431
    • /
    • 2013
  • It was turned out by the beam trawl survey in 2009 that flora of three phylum 16 species and fauna of eight taxa 68 families 97 species were inhabite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nd western coastal waters of Namhae island. Winter season showed the most various appearance of species with 63 species and markedly several kinds of algae species, while summer season showed the lowest number of species with 44 species. However, the indices of species diversity and evenness were highest in summer, and vice versa in winter. Major dominant species were Crangon hakodatei, Leiognathus nuchalis, Asterias amurensis, Thryssa kammalensis, Luidia quinaria, Amblychaeturichthys hexanema, Oratosquilla oratoria, Charybdis bimaculata, Cynoglossus joyneri, Pennahia agentata. The 10 dominant species occupied at 81.4% of catch in number and 49.0% of catch in weight. There were seasonal fluctuations and differences by station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nd western coastal waters of Namhae island, which brought to the difference of length structures, that is, bigger-sized individuals of major dominant species at station A (near to river estuary) than station C (near to ocean). Species compositions by season and by station were separated to two groups. Winter season showed a separated species composition from other seasons and station A exhibited a different species composition from other stations, which was located at near to the Seomjin River estuary.

여자만 저층트롤 어획실태와 종조성 (Fishing investig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catch caught by a bottom trawl in the Yeo-ja bay, Korea)

  • 김주일;서영일;이선길;김성태;주현;장선익;오택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4호
    • /
    • pp.241-250
    • /
    • 2007
  • Fishes were caught by a bottom trawl in the Yeo-ja bay of Korea by every three month(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and seasonal variation of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studied in 2005. The catches were 1,187kg and were composed of 115 species with 20 hauls by 5 stations. The dominant species caught were Charybdis bimcaulata, Crangon hakodatei, Parapenaeus fissurus, Oratosguilla oratoria, and Thryssa purava. One hundred fifty species were identified as fish(38%), crustacea(20%), mollusca(4%) and others(38%) which including of Asterias amurensis. The amount of species was high in June and September and low in March and December. The diversity index(H') was about 1.2-2.5 and station similarity of fishes caught among the community was 0.009-0.230.

미역 및 불가사리 추출 혼합물의 피부활성 증진 효능 (Enhancement effects of sea mustard and starfish mixtures on skin activity)

  • 김소정;강민경;김강은;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10-417
    • /
    • 2019
  • 해양생물 추출물의 화장품 첨가제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미역 추출물,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 및 혼합물의 피부 활성증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피부 활성 증진 평가를 위하여 항염 활성, 미백효과 및 피부탄성 증진 활성을 분석하였다. 피부활성증진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로는 NO 생성 저해, 티로시나제 및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법을 적용하였다. 미역 추출물,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 및 혼합물은 실험구간인 1.0-50 ㎍/mL까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미역 추출물,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 및 혼합물은 농도의존적으로 NO 생성 저해, 티로시나제 및 엘라스타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혼합물를 사용하는 경우 미역 추출물 및 불가사리 콜라겐 펩티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크게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합해 보았을 때, 생물유래 천연추출물이 화장품 첨가제로 적용할 경우,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단일 추출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보다 더 좋은 시너지 효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천연추출물을 화장품 첨가로써 활용하는 경우 추출물의 종류 및 배합 연구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영일만에서 수산자원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ies Resourc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Yongil Bay, Korea)

  • 이재봉;신영재;이수정;이종희;최영민;이동우;김상우;양재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275-1286
    • /
    • 2012
  • Coastal marine ecosystem plays important role of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for fisheries resources. Yongil Bay is one of major coastal marine ecosystems, which i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of Korea.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marine organism in the Yongil Bay were investigated by season from March to November 2009. Gill net and pot fisheries were used for survey of pelagic and demersal species composition, and collected 106 species, 67 families, and 7 taxa of fisheries resources from the coastal ecosystem. Species were included 2 species in Ascidiacea, 2 species in Bivalvia, 6 in Cephalopoda, 22 in Crustacea, 5 in Echinodermata, 12 in Gastropoda, and 57 in Pisces. Diversity indices (Shannon index, H') showed seasonal variation with low value of 2.11 in winter, and high value of 2.63 in autumn. Main dominant species were Asterias amurensis, Pleuronectes yokohamae, Siphonalia spadicea fuscolineata, Trachurus japonicas, Sillago japonica, Conger myriaster, Volutharpa ampullaceal, Engraulis japonicus, Asterina pectinifera, and Portunus (Portunus) sanguinolentus that were occupied over 71.5% of total individuals, and 52.9% of wet weight. Seasonal variations of fisheries resources composition were discussed on correlationships with thos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coastal ecosystem of the Yongil Bay in Korea. Thos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scientific data and information to develop the ecosystem-based coastal fisheries assessment and management system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