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sistive Devices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1초

FIATS-AS를 활용한 자세보조기구의 기능적 효과평가 (Clinical Outcomes of Associated with Adaptive Seating Device Using FIATS-AS)

  • 권혁철;공진용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207-220
    • /
    • 2014
  • 본 연구는 지체 및 뇌병변 장애를 가진 아동(1~13세)에게 제공된 자세보조기구의 효과를 아동을 보살피는 보호자 관점에서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장애아동의 보호자 42명을 대상으로 FIATS-AS(Family Impact Assistive Technology Scale for Adaptive Seating)를 이용하여 자세보조기구의 효과성을 보호자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기구 지원전 2번의 조사, 기구 지원 이후 2번의 조사 총 4번의 조사를 실시하여 반복측정을 통한 FIATS-AS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영유아(1~3세), 미취학(4~7세), 취학(8~13세)으로 3가지 연령대로 분류하여 연령대 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검증결과 자세보조기구의 제공은 장애아동의 보호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에 따른 변화차이를 본 결과 1~7세의 취학 전 어린 연령대의 장애아동 보호자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세보조기구는 아동에게 환경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아동에 대한 보호자의 지원수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의미있는 도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자세보조기구와 같은 환경조정은 장애인과 보호자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장애인을 위한 데이지 도서 기반 독서보조기기 개발의 경제적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Feasibility of Developing Daisy Book Based Reading Assistive De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임순범;박주현;이종우;육주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9-285
    • /
    • 2017
  • 본 연구는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과 효과를 추정하여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수 기능만을 탑재한 저가의 데이지플레이어기기의 경우 하드웨어/시제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비용은 총 \307,101,664원으로 추정 되며, 생산비는 대당 \112,000원이 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데이지뷰어소프트웨어 및 입출력 보조기기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개발비용은 총 \284,294,080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입출력보조기기는 대당 \6,600원에 구매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적 파급 효과를 파악하여 데이지 독서보조기기 개발 사업 추진이 장애인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사업의 추진여부에 대한 검토의 근거 자료로 향후 사업 진행 시 환경 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처를 위해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기대한다.

모바일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및 모바일 기기의 크기에 대한 선호도 조사 (Usability Testing for a Mobile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Software and Users' Preference for the Size of Mobile Devices)

  • 이희연;홍기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37-43
    • /
    • 2012
  • 본 논문은 안드로이드기반 모바일 보완대체의사소통시스템(AAC)의 기능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에 대한 사용성 평가에 대한 것이다. 시나리오를 사용한 평가를 통해 특정 기능실행의 용이성, 기능사용의 만족도, 정보찾기의 용이성 등을 살펴보았고, 설문조사를 통해 모바일 AAC의 개발목적, 내용, 교수학습 전략, 활용가능성, 편집/설정 기능과 사용자인터페이스 등이 무발화아동의 의사소통 요구에 적합한지를 평가하였으며, 자유 피드백을 통하여 사용자의 선호도, 만족도, 요구분석 사항 등에 대한 피드백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5인치, 7인치, 4.3인치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안드로이드기반 모바일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 PDF

착용형 유헬스 디바이스의 전기·기계적 안전성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i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Safety of the Wearable U-Health devices)

  • 황인호;강보규;김동근;유선국;차지훈;허찬회;박기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8
    • /
    • 2010
  • 의료기기와 IT융합기술의 접목으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건강에 대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형태의 유헬스 의료기기가 개발되어 일상생활과 가정에서 자연스러우며 편리한 건강변수 측정이 가능하며, 디바이스의 보급과 더불어 이를 응용한 유헬스 디바이스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우선되고 있는 현재, 이에 대한 안전성 확보 및 성능평가 기준 마련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판전의 시험검사나 시판후의 수거 검사시에 안전성 및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헬스 디바이스에 대한 전기적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필수시험 및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을 연구하였다.

스웨덴 장애인 보조기구 제공 시스템에 대한 소고 (A Report of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Operating System for the Disabled in Sweden)

  • 최영순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25-4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스웨덴의 장애인 보조기구 제공 시스템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장애인 보장구건강보험 급여정책 대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스웨덴에서는 장애인구의 약 10%가 보조기구를 사용하고 있는데, 보조기구 제공을 위해서 중앙정부, 지역정부(란스팅 21개)와 지방정부(콤뮨 290개)의 역할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보건사회부 산하의 보건복지국가위원회에서는 지식기반 지침을 개발하고, 장애인정책개발국에서는 장애인 보조기구 정책을 모니터링하며, 장애인 보조기구기술연구소에서는 보조기구 개발연구 및 평가와 보조기구 전시장을 운영한다. 또한, 지역정부(란스팅)와 지방정부(콤뮨)는 보조기구 대여 및 추후관리를 담당하는데, 지역정부(란스팅)별로 보조기구센터를 운영하며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심리치료사, 간호사가 처방을 담당한다. 특기할 점은 장애인 보조기구를 무료로 대여하고 추후 관리를 하고 있다는 것과 사용이 끝난 보조기구는 회수하여 재활용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처방자격자가 장애진단 담당의(우리나라 시스템)가 아니라 지역 및 지방정부에서 고용한 전문 인력이므로 대상자의 상태를 잘 파악하여 처방을 하고 추후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재활치료를 위한 능동형 기립-보행 보조기구 설계 방법 (Design Method of Active Standing-to-Walking Assistiv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 김성준;김세진;강윤모;전유신;안채헌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6_3호
    • /
    • pp.1315-1323
    • /
    • 2023
  • Rehabilitation assistive devices not only assist the rehabilitation therapy and daily life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but also assist the labor of their caregivers, so various functions are require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a design method considering its practicality is introduced for an active rehabilitation assistive device that can perform both standing and walking assistance by driving various actuators. For this purpose, the force required to assist standing was calculated using statics with the body segmentation method. Also, the overturning stability of the device was verified for various physical conditions and postures. The actuator in the active rehabilitation assistive device was operated by a patient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n embedded computer and a touch panel for easy usage. The detailed design was performed for implementation through the help of 3D-CAD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a prototype was produced. Finally, it was proven that the design goal was satisfied by experimental validation.

u-헬스케어 응용을 위한 전도성 섬유 심전도 전극의 섬유적 특성 시험 연구 (A Study on Fabric Material Test of Conductive-Fabric Type ECG Electrode for u-Healthcare Application)

  • 강보규;황인호;유선국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31-41
    • /
    • 2012
  • 의료기기의 발전과 IT융합기술의 접목으로 때와 장소에 관계없이 생체신호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u-헬스케어 기기가 개발되어 일상생활과 가정에서 불편함이 없이 건강변수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사용자를 고려해 의복처럼 착용하고 생활하며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의류에 전도성 섬유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u-헬스케어 기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우선되고 있는 반면 성능평가 기준 마련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시판전의 시험검사나 시판후의 수거 검사 시에 성능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 등에 따른 가이드라인 마련에 힘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섬유적 특성 시험을 통해 전도성 섬유의 착용형 u-헬스케어 기기에 전극으로 접목 가능성 여부를 연구하였다.

  • PDF

이중 체임버 구조가 내장된 뇌졸중 환자용 컵의 개발과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운동 형상학적 유용성 검증: 전향적 예비연구 (Development and Tree-Dimensional Kinematic Analysis of the Dual Chamber-based Drinking Aid for Stroke Patients: A Prospective Pilot Study)

  • 허서윤;김경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2호
    • /
    • pp.180-190
    • /
    • 2016
  • 본 전향적 예비 임상연구를 통하여 이중 체임버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뇌졸중 환자용 컵을 개발하고 임상적으로 유용한지 검증하고자 했다. 체계적 과정을 거쳐 컵을 개발하고, 남녀 동수의 뇌졸중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컵을 사용하여 이들의 제한된 운동기능을 보완 할 수 있는지 3차원 동작 분석(3-dimensional motion analysis), 표면 근전도 검사(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3차원 체간 움직임 분석(3-dimensional trunk movement analysis)의 운동 형상학적 방법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했다. 실험 결과, 이중 체임버 컵(dual chamber based assistive cups; DC) 데이터 그룹에서 플라시보 컵(placebo-cups; PC)의 경우 보다 어깨부위의 ROM(range of motion)이 더 적게 사용되었고, sEMG에서는 상부 승모근, 삼각근, 삼두근에서 근 활성도가 낮게 나타났다. 체간 분석에서 전방, 후방의 방향에서 체간의 개입이 더 적게 관찰되었다.

교통약자를 위한 전동 이동 보조기기 안전 경로 서비스의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afe Route Service of Electric Personal Assistive Mobility Devices for the Mobility Impaired People)

  • 우제승;홍순기;유상경;김회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85-96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이동권 개선을 위해 교통약자들을 중심으로 이용되고 있는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안전 경로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평가하였다.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교통약자들과 관련 기관 종사자(부산광역시 내 장애인 자립 생활센터, 장애인 협회 정회원, 전동 이동 보조기기 수리기사, 활동 보조사)들과의 설문을 통해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13종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요인들에 안전성 점수를 부여하고 현장에서 수집된 데이터로 객체 인식 AI 모델을 학습시켜 해당 요인들을 판별한 후, 최적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통해 전동 이동 보조기기 경로 안내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동일한 출도착 경로를 대상으로 T-map에서 제공하는 일반 경로와 본 연구의 추천 경로를 비교한 결과, 일반 경로에서는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주행에 방해가 되거나 승차감을 불편하게 하는 장애물이 많았고 가파른 경사로 인해 이동이 불편했지만, 본 연구의 추천 경로에서는 상대적으로 장애물이 적었고 경사도 완만하여 전동 이동 보조기기의 주행에 무리가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동 이동 보조기기 이용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경로 안내 서비스를 구현하고 다수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현장 실증테스트를 진행하여 사회적 수용성 평가 및 검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노인의 보행보조기구 사용 보행시 보행패턴의 변화연구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Elderly Gait with a Walking Assistive Device)

  • 윤석훈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
    • /
    • 2007
  • Walking is not only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human mobility, but also is a good exercise. Inability to walk freely can reduce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independence substantially. Being a relatively low impact activity, walking is particularly good for the elderly and research has shown that regular walking in the elderly reduces the chance of fall-related injuries and mental diseases as well. In spite of the documented benefits of regular walking, it is still difficult to walk without the aid of assistive devices for the frail elderly who have lower extremity problems. Assistive walking devices(AWD), such as crutches, canes, hiking-poles, T-Poles and walkers, are often prescribed to the elderly to make their walking be safe and efficient. Many researcher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AWDs such as reducing lower extremity loading, improved dynamic/gait stability, yet, no study has been done for gait pattern when the elderly gait with AW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Poles, one of the AWDs, change the elderly gait pattern. Eight community-dwelling female elder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Laboratory kinematics during walking with T-Poles(PW) and with out T-Poles(NPW) was assessed. PW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step width, stride length, gait velocity and decrease in swing time. No significances were found in lower body joint angles but meaningful trend and pattern were found. Maybe the reason was due to the participants. Our participants were healthy enough so that the effect of T-Poles was minimum. PW also showed typical gait phases which are no single support phase during a gait cycle. It indicates that walking with T-Poles may guarantee safe and confident walking to the frail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