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ssessment of the Government Policy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33초

전략환경영향평가와 지속가능한 발전 지표의 연계방안 (Implication Measures between Strategi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 홍상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25권1호
    • /
    • pp.63-76
    • /
    • 2016
  • 2015년 9월에 세계 각국의 정상이 UN 총회에 모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2030 Agenda를 구축하기로 합의하였다. 2030 Agenda에는 사회적 안전성, 경제적 효율성 및 환경적 건전성이라는 3대축을 달성하기 위한 17개의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가 채택되었다. UN 지속가능 발전 구축연합(UN SDSN)에서는 SDG 실행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속가능 발전지표(SDI)를 개발하여 빈곤퇴치, 사회적 통합, 환경관리 같은 총체적 접근을 통하여 지속가능성의 달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평가(SA)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전략환경영향평가(SEIA)를 PPP(정책, 계획, 프로그램)에 환경부가 시행하는 반면에, 전략환경평가(SEA)의 일종인 국토계획평가(NLPA)는 국토교통부 자체의 계획에 적용되고 있다. SEIA와 NLPA가 고위 정책당국자를 포함한 이해당사자들에게 의사결정 지원도구로 활용되어 왔지만, 이들 SEA 제도의 핵심원리인 최적 대안 선정의 평가기준은 구체성이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하게 고안된 SDI를 SEIA에 반영하면 지속가능성을 비교적 간략하게 평가하여 SDG 실행의 실효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국의 재난관리체계 및 재난위험성 평가제도의 도입 및 적용에 관한 연구 (Learning from the UK Disaster Management and Risk Assessment Systems)

  • 김학경;강욱
    • 시큐리티연구
    • /
    • 제50호
    • /
    • pp.11-32
    • /
    • 2017
  • 영국은 2004년 국가재난관리법(Civil Contingencies Act 2004)을 통하여 "Emergency"라는 결과중심의 단일 재난개념을 확립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형과 관계없이 다양한 위험에 대비/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는, 평시 재난관리체계와 민방위 체계가 서로 합쳐져 오늘날의 통합형 재난관리체계(Integrated Emergency Management)로 이어진 것이다. 영국의 재난관리체계는 지역단위에서의 대비 및 대응을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각 대응기관 간의 상호협력과 정보공유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 및 영국 전체에서 재난위험성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제도, 즉 지역사회 위험목록(Community Risk Register) 및 국가위험목록(National Risk Register) 제도가 잘 구축되어 있으며, 그 평가결과 역시 국민들에게 공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재난위험성 평가 제도를 비롯하여 영국 재난관리체계의 전체 특징 및 특히 최근 변화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가 나갈 방향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 (영국에서 기이 이루어진) 완전 통합형 재난관리체계의 도입 그리고 이에 따른 민방위 조직의 발전적 해체 및 단일 재난개념의 사용, (2) 경찰을 비롯한 각 긴급대응기관 간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확보를 위한 법제도 개선, (3) (영국의 지역사회 위험목록 및 국가위험목록과 같은) 지역 및 국가단위의 재난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이라는 세 가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해보았다.

  • PDF

Suggestions for Resolving the Social Conflict in Affordable Housing

  • Park, Tae Soon;Lee, Mihong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3호
    • /
    • pp.179-19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loy a method called 'conflict impact assessment' to analyze the progress, background, cause and relevant issues of conflicts related with affordable housing for youth (Happiness Housing Project), a project that has been implemented since last May 2013, thereby identifying the relevant problems and draw out objectives for improvement. The researchers expect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olving the current issues regarding Happiness Housing,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government's policies. For the above purpose, literatures on Happiness Housing produc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3 were reviewed, in-depth telephone or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ersonnel associated with project implementation in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and LH, etc., and major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Yangcheon-gu residents. Key issues identified regarding Happiness Housing construction include: the way that the project was implemented, living quality of residents, impact on educational environment, inconsistence with existing plans, relatively high construction cost, insolvency of public corporations, land use fee issue with Korail, need of preliminary feasibility survey, securing sufficient amount for supply and issue of additional designation, likelihood of finishing construction in time and issues related with actual source of demand, etc. Through analysis of conflict development and positions of interested parties, the main causes of the conflicts were identified as follows: lack of deliberation on pledges during election, lack of viability review on pledges, lack of conflict management plans, one-way implementation without consent of interested parties, project plans established with no regard to local circumstances, frequent project revision, underwehlming level of conflict management. In order to address issues above, the following measures need to be taken: selecting election pledges based on actual effectiveness, thorough assessment on pledges by relevant departments, gradual implementation based o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circumstances, participation of key interested parties, consistent policy and adopting conflict management techniques that reflect the reality.

보호지역 관리를 위한 생물다양성 평가 (The biodiversity representation assessment in South Korea's protected area network)

  • 최혜영;;주우영;권혁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7-87
    • /
    • 2020
  • National parks and other protected areas often do not adequately protect national biodiversity because they were originally created for socio-economic and/or aesthetic values. The Korean government has committed to expanding the extent of protected areas to fulfill its commitments to the Aichi Biodiversity Convention. To do so, it is necessary to quantify the current levels of biodiversity representation within existing protected areas and to identify additional conservation needs for vulnerable species and ecological systems. In this study, we assess the proportion of species ranges found in South Korea's protected areas, for the species documented in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We modeled the range distribution of 3,645 species in the following taxonomic groups; plants (1,545 species), mammals (35), birds (132), herptiles (35), and insects (1,898) using the MaxEnt species distribution model and calculated how much of each species' range is within protected areas. On average, 17.4% of plant species' ranges are represented in protected areas, while for mammals and insects an average 12.0% is currently conserved. Conservation representation for herptiles averages 9.3%, while it is 8.6% for birds. Although large proportions of species that have restricted distributions should be represented in protected areas, 17 plant species, two insects (Parnassius bremeri and Lasioglossum occidens), and one bird species (Phylloscopus inornatus) with ranges smaller than 1,000 ㎢ have less than 10% of their ranges within protected areas. Establishing specific conservation goals such as the protection of endangered species or vulnerable taxonomic groups will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In addition, lowland coastal areas are critical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because the protected areas in South Korea are mainly composed of high mountainous areas.

이동식수소스테이션 정량적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f Mobile Hydrogen Refueling Station)

  • 김동환;이수민;조충희;강승규;허윤실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1권6호
    • /
    • pp.605-613
    • /
    • 2020
  • In July and October of this year,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Green new deal plan within the Korean new deal policy' and 'Strategies for proliferation of future vehicles and market preoccupation'. An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global climate agreement, it has decided to expand green mobility such as electric vehicles and hydrogen electric vehicles with the aim of a "net-zero" society. Accordingly, the goal is to build 310 hydrogen refueling stations along with the supply of 60,000 hydrogen vehicles in 2022, a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 being expand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cure hydrogen infrastructure due to expensive construction costs and difficulty the selection of a site. In Korea, it is possible to build a mobile hydrogen station according to the safety standards covering special case of the Ministry of Industry. Since the mobile hydrogen station can be charged while moving between authorized pla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et a large number of demands with only one hydrogen refueling station, so it is proposed as a model suitable for the early market of hydrogen infrastructur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stablishment of a hydrogen refueling station by deriving a virtual accident scenario for leakage and catastrupture for each facility for the risk factors in a mobile hydrogen station, and performing a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through the derived scenario. Through the virtual accident scenario, direction of demonstr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mobile hydrogen refueling station were derived.

조선총독부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의 분류와 평가 (Archival Appraisal and Classification of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on Related to Urban District Planning)

  • 이송순
    • 기록학연구
    • /
    • 제14호
    • /
    • pp.53-89
    • /
    • 2006
  • 현존 총독부 공문서는 이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영구보존문서로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 문서의 실태는 부분적이고 불균등하여 기록(archives)으로서의 가치평가와 활용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고에서 살펴본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 역시 이를 통해 일제 시기 진행된 시가지계획의 모든 상을 도큐멘테이션하는 데는 상당한 한계를 갖는다. 이에 이러한 불균형 잔존 행정기록에 대해서는 당대의 정책 제도 변화에 대한 컨텍스트를 파악하고, 이를 수행한 조직의 핵심기능을 종합하여 거시 평가의 틀을 만들어, 여기에 현존 문서를 배치하는 도큐멘테이션 과정, 이 과정에서 가치가 높은 기능과 관련된 기록이 소수라는 점, 즉 기록의 재현성이 불완전한 것을 보충하기 위한 다른 역사적 자료의 적극적 이용과 적극적인 기록수집 방안을 함께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일제시기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 중에서도 시가지계획관련 문서라는 하나의 문서군(series)에 대한 기록 평가를 시도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총독부 공문서 전반에 대한 평가 방법을 도출하기는 한계가 있으나, 시가지계획이라는 총독부 식민정책의 집행과정에서 생산된 문서의 맥락을 이해하여 기록의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문서 활용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총독부 공문서와 같이 이미 영구보존기록으로 결정되어 보존되고 있는 역사기록에 대한 평가는 처분을 위한 평가로서의 기능은 갖지 못한다. 이에 역사기록에 대한 평가는 향후 기록의 접근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DB화나 정보콘텐츠화와 연계하는 방안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Vision Transformer를 활용한 비전 데이터 기반 자율주행자동차 사고 취약상황 예측 및 시나리오 도출 (Predicting Accident Vulnerable Situation and Extracting Scenarios of Automated Vehicleusing Vision Transformer Method Based on Vision Data)

  • 이우섭;강민희;윤영;황기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233-252
    • /
    • 2022
  •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위해 자율주행자동차 안전성 제고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그 중 시나리오 연구가 안전성 평가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필수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시나리오 제시의 경우 데이터 부재 및 전문가 개입으로 인해 객관성 및 설명력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고 데이터 및 설명력 있는 인공지능 방법론인 ViT 모델을 활용하여 확장된 자율주행자동차 안전성 평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활용 데이터에 최적화시킨 ViT 모델 학습 결과, 94% 정확도가 확인되었으며 Attention Map을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설명력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시나리오 접근법의 한계를 보완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새로운 안전성 평가 시나리오 수립 프레임워크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거복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I - 객관적 측면의 주거복지 지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Objective Indicators of Housing Welfare)

  • 홍형옥;채혜원;최은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77-8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housing welfare indicators for evaluating housing welfare policies conduc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as a phrase of setting up the development of housing welfare indicators, the scope of housing welfare and the direction of developing housing welfare indicators were settled. Second, as a phrase of drawing the housing welfare indicators, the indicators were categorized and selected. Third, as a phrase of applying the housing welfare indicators, the indicators in this research were quantified, and suggest the housing welfare from 2000 to 2005.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elected housing welfare indicators were settled as follows: the housing welfare indicators comprise 9 in the department of 'House', 4 in the department of 'Community', and 6 in the department of 'Policy Environment' (19 in total). Indicators were (1) Ratio of housing with Flush Toilets (2) Ratio of housing with Kitchen Sink (3) Ratio of housing with Bath facilities (4) Ratio of housing provided water supply (5) Ratio of housing supplied a sewage system (6) Floor Space per person (7) Number of persons per Room (8) PIR (9) RIR (10) Community Facilities Space per person (11) Urban Park Space per person (12) Journey to work (13) Crime Ratio (14) Number of Houses per 1,000 persons (15) Ratio of Substandard housing of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16) Ratio of Irregular Dwelling Households (17) Ratio of Owner Occupant (18) Ratio of compulsory immigration (19) Ratio of Long-term Public Social Houses. The housing welfare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results of housing welfare policies and the establishment of housing policies as a basic material in the future.

우리나라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핵심요소와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Assessment Factors and Direction of Progress for New Technologies in South Korea)

  • 황보원주;박영일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2호
    • /
    • pp.173-214
    • /
    • 2023
  • 신기술에 대한 투자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과학기술이 사회 전반적으로 대규모·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신기술이 사회에 수용되려면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큰 만큼 기술이 국민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잘 평가할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기술영향평가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50년째 지속되고 있고, 다양한 학술연구와 수많은 신기술 대응 정책을 통해 논의 된 이후 시대적 변화와 흐름이 있었기에 글로벌 학계와 정책에서 신기술의 미래사회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분석 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진국의 기술영향평가 창안 방식과 우리나라에서 발전된 방식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고려되어야 하는 예측요소와 단계 등 연구 변화에 주목하였다. 연구결과 인식도에 대해 기술 이해도, 전문성, 성별특성 세 개 요소를 도출하고, 기존 요소에 추가해 신기술 예측요소로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과학기술기본법에 의거 개선된 기술영향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학술 및 정책적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on the morbidity and mortality and its assessment of economic costs

  • Ramazanova, Elmira;Tokazhanov, Galym;Kerimray, Aiymgul;Lee, Woojin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7-41
    • /
    • 2021
  • Kazakhstan's cities experience high concentrations levels of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which is well-known for its highly detrimental effect on the human health. A further increase in PM concentrations in the future could lead to a higher air pollution-caused morbidity and mortality, causing an increase in healthcare expenditures by the government. However, to prevent elevated PM concentrations in the future, more stringent standards could be implemented by lowering current maximum allowable PM concentration limit to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s limi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impact this change in environmental policy towards PM has on state economy in the long run. Future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were estimat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based on gross regional product (GRP) and population growth parameters. Dose-response model was based on World Health Organization's approach for the identification of mortality, morbidity and healthcare costs due to air pollution. Analysis of concentrations revealed that only 6 out of 21 cities of Kazakhstan did not exceed the EU limit on PM10 concentration. Changing environmental standards resulted in the 71.7% decrease in mortality and 77% decrease in morbidity cases in all cities compared to the case without changes in environmental policy. Moreover, the cost of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air pollution decreased by $669 million in 2030 and $2183 million in 2050 in case of implementation of OECD standards. Thus, chang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will be beneficial in terms of both of mortality reduction and state budget saving.